{{{#!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01725><tablebgcolor=#101725> | Pacific Championship Series 역대 대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20 스프링 | 서머 | 2021 스프링 | 서머 | 2022 스프링 | 서머 | 2023 스프링 | 서머 | 2024 스프링 | 서머 | }}}}}}}}} |
역대 Pacific Championship Series 일람 | ||||
CTBC Flying Oyster | → | PSG Talon | → | PSG Talon |
2022 PCS Summer Split | 2023 PCS Spring Split | 2023 PCS Summer Split |
<colbgcolor=#cb0004><colcolor=#fff> 2023 Pacific Championship Series Spring | |||||
대회 기간 | 2023년 2월 3일 ~ 4월 9일 | ||||
주최 | 라이엇 게임즈 | ||||
주관 | |||||
경기장 | [[대만| ]][[틀:국기| ]][[틀:국기| ]] Carry Studio | ||||
일정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cb0004><colcolor=#fff> 정규시즌 | 1라운드 | |||
2월 3일 ~ 2월 19일 | |||||
2라운드 | |||||
2월 24일 ~ 3월 11일 | |||||
플레이오프 | 승자조 1라운드 | ||||
3월 23일 ~ 3월 24일 | |||||
패자조 1라운드 | |||||
3월 25일 ~ 3월 26일 | |||||
승자조 2라운드 | |||||
3월 30일 ~ 3월 31일 | |||||
패자조 2라운드 | |||||
4월 1일 ~ 4월 2일 | |||||
승자조 결승전 | |||||
4월 6일 | |||||
3라운드 | |||||
4월 7일 | |||||
패자조 결승전 | |||||
4월 8일 | |||||
결승전 | |||||
4월 9일 | |||||
결승전 | 대진 | ||||
PSG vs FAK | |||||
경기장 | |||||
[[대만| ]][[틀:국기| ]][[틀:국기| ]] Carry Studio |
결과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cb0004><colcolor=#fff> 우승 | PSG Talon | |||
준우승 | Frank Esports | ||||
파이널 MVP | 위쥔자 (PSG JunJia) | ||||
All-PCS 1st Team | TOP | ||||
막푸컹 (FAK Solokill) | |||||
JGL | |||||
위쥔자 (PSG JunJia) | |||||
MID | |||||
천샤오셴 (IMP Mission) | |||||
BOT | |||||
저우웨이양 (PSG Wako) | |||||
SPT | |||||
링카이윙 (FAK Kaiwing) |
[clearfix]
1. 개요
2023년 2월 3일에 개막한 Pacific Championship Series 스프링 스플릿에 대한 문서이다.2. 참가팀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cb0004> | 2023 Pacific Championship Series Spring Split 참가팀 |
CTBC Flying Oyster CFO | Mega Bank Beyond Gaming BYG | PSG Talon PSG | Deep Cross Gaming DCG |
Taipei J Team JT | Frank Esports FAK | HELL PIGS HPS | Impunity Esports IMP |
SEM9 WPE S9W | Dewish Team DWT | Team Bliss TB | The Chiefs CHF |
해체된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
3. 전체 시즌 변경점
- 오세아니아 리그인 LCO가 PCS에 통합되었다. 이에 따라 2023년부터 LCO 상위 2개 팀이 PCS 플레이오프에 참가해 MSI 및 월드 챔피언십 출전권을 두고 경쟁할 예정이다.
- 상술한 변화로 인해 PCS의 플레이오프 진출권이 8장에서 6장으로 감소하였다. 이번 시즌부터 PCS 5위 팀과 6위 팀은 단 하나의 코인만 받고 패자조에서 시작하게 되며, 승자조 1라운드에서는 LCO 1위 팀이 PCS 4위 팀, LCO 2위 팀이 PCS 3위 팀과 대결한다. 진행 방식 자체는 동일하다.
- 기존에 가레나가 맡던 리그 오브 레전드의 PCS 지역 서버를 2023년 1월 6일부터 라이엇 게임즈가 직접 운영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이번 시즌부터 가레나는 리그 주관사를 맡지 않게 되었다.
- Player of the Week가 폐지되었다.
4. 2022년 대비 로스터 변경
Pacific Championship Series 정규시즌에 참가하는 선수들만 기재한다.4.1. 팀 매각 및 창단
- 2023년 1월 13일, HELL PIGS가 Meta Falcon Team의 시드권을 승계했다.
4.2. 신규 등록
4.2.1. 선수
- 양위젠(RenYe/JGL): Beyond Gaming Academy에서 콜업
- 치엔마오안(1116/MID): Beyond Gaming Academy에서 콜업
- 천춘(Feng/ADC): Beyond Gaming Academy에서 콜업
- 궈베이이(HongSuo/MID): PSG Talon Academy에서 콜업
- 궈청한(Orca/SPT): 아마추어팀 → Deep Cross Gaming
- 천칭웨(RYue/TOP): J Team 2에서 콜업
- 황신위(Lauva/JGL): 아마추어팀 → Taipei J Team
4.2.2. 코칭스태프
- 리셴밍(Butter): BUFF → 은퇴 후 코치 전향 → Mega Bank Beyond Gaming 감독
4.3. 로스터 말소
- 정승환(Burry/JGL): PSG Talon → 계약 종료
- 웡춘킷(Unified/ADC): PSG Talon → 계약 종료
- 우량더(Liang/TOP): Mega Bank Beyond Gaming → 계약 종료
- 우쓰위(SeNBon/MID): Mega Bank Beyond Gaming → 계약 종료
- 황포웨이(TNS/SPT): Mega Bank Beyond Gaming → 계약 종료
- 창주지아(Leaky/TOP): Deep Cross Gaming → 계약 종료
- 위민샹(Coldicee): Deep Cross Gaming 감독 → 계약 종료
- 쉬치쥔(Yuwan): PSG Talon 분석 및 PSG Talon Academy 감독 → 계약 종료
- 옹카르키안(AhWood): SEM9 감독 → 계약 종료
- 천치아웨이(N0Name/TOP): SEM9 → 계약 종료
- 베컴 앙징언(Arashi/JGL): SEM9 → 계약 종료
- 에릭 시아제핀(QaspieL/JGL): SEM9 → 계약 종료
- 림웨이룬(Lezar/MID): SEM9 → 계약 종료
- 치앙퉁춘(XieDoDo/ADC): SEM9 → 계약 종료
- 앨빈 림밍상(Felia/SPT): SEM9 → 계약 종료
- 황덩신(Axin/SPT): SEM9 플레잉 코치 → 계약 종료
4.4. 내부 이동
- 린천(Enzz/BOT): Deep Cross Gaming 플레잉 코치 → 코치
- 린즈창(Koala/SPT) CTBC Flying Oyster → 은퇴 후 코치 전향
4.5. 이적
- 김태우(Gori/MID): PSG Talon → Golden Guardians
- 차우슈탁(YSKM/TOP): Frank Esports → Invictus Gaming
- 임재현(Tom): PSG Talon 코치 → T1 코치
- 청하오춘(JimieN/MID): 100 Academy → CTBC Flying Oyster
- 샤오런쭤(Kongyue/JGL): Taipei J Team → Mega Bank Beyond Gaming
- 린셩포(s1aytrue/SPT): Oh My Dream → CTBC Flying Oyster
- 황쯔웨이(Husha/JGL): Mega Bank Beyond Gaming → PSG Talon
- 천창쥐(Uniboy → ubao/MID) Taipei J Team → PSG Talon
- 저우웨이양(Wako/ADC): Mega Bank Beyond Gaming → PSG Talon
- 린훙위(Woody/SPT): Deep Cross Gaming → PSG Talon
- 쑤자샹(Hanabi/TOP): PSG Talon → Deep Cross Gaming
- 우이한(665/JGL): Meta Falcon Team → Deep Cross Gaming
- 천관팅(REFRA1N): Impunity Esports 코치 → Deep Cross Gaming 감독
- 뤼보웨이(Minji/MID): Mega Bank Beyond Gaming → Taipei J Team
- 장쯔화(Whale/ADC): Meta Falcon Team → Taipei J Team
- 천쭝화(Driver/TOP): Taipei J Team → Impunity Esports
- 천샤오셴(Mission/MID): CTBC Flying Oyster → Impunity Esports
- 쑹야룬(Atlen/ADC): CTBC Flying Oyster → Impunity Esports
- 로치킷(Keres/SPT): Frank Esports → SEM9 WPE
- 링카이윙(Kaiwing/SPT): PSG Talon → Frank Esports
4.6. 닉네임 변경
- 저우쥔안(Anex → An/ADC)[1]
4.7. 팀명 변경
5. 대회 진행
5.1. 정규시즌
2023 Pacific Championship Series Spring 정규시즌 순위표 | ||||||
순위 | 팀 | 승 | 패 | 연속 | 비고 | |
1 | PSG | 15 | 3 | 1패 | 우승 | |
2 | FAK | 12 | 6 | 1승 | 준우승 2위 TB 승 | |
3 | CFO | 12 | 6 | 1패 | 2위 TB 패 | |
4 | IMP | 11 | 7 | 3승 | ||
5 | BYG | 10 | 8 | 1승 | 5위 TB 승 | |
6 | DCG | 10 | 8 | 2승 | 5위 TB 패 | |
7 | JT | 8 | 10 | 1승 | ||
8 | HPS | 6 | 12 | 1패 | ||
9 | DWT | 3 | 15 | 6패 | vs. S9W 우세 | |
10 | S9W | 3 | 15 | 2패 | vs. DWT 열세 | |
파란색: 승자조 2라운드 진출 | 초록색: 승자조 1라운드 진출 연두색: 패자조 진출 | 노란색: PO 진출 실패 | 볼드체: 순위 확정 |
5.2. 플레이오프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cb0004> | 2023 Pacific Championship Series Spring 플레이오프 대진표 |
6. 주요 기록
6.1. MVP
PCS Spring Split 2023 MVP 순위 | |||||
순위 | 이름 | 아이디 | 소속 팀 | 포지션 | 선정 횟수 |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LoL e스포츠 2023 시즌 | ||
국제 대회 | ||
2023 SKE | 2023 MSI | 2023 Worlds |
지역 대회 | ||
스프링 서머 선발전 | 스프링 서머 선발전 | 윈터 스프링 서머 시즌 파이널 WQS |
스프링 서머 챔피언십 WQS | 스프링 서머 | 스프링 서머 |
스프링 서머 | 오프닝 클로징 | 스플릿 1 스플릿 2 |
기타 국제 대회 | ||
2023 ASCI | 2022 AG | 2023 ECEA |
기타 지역 대회 | ||
스프링 서머 | 스플릿 1 스플릿 2 | 윈터 서머 |
[1] 원래 An이라는 닉네임을 썼다가 팀에 Alex, Apex가 있어서 -ex 돌림자를 맞추기 위해 잠시 닉네임 변경을 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