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30 00:24:27

Deep Cross Gaming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01725><tablebgcolor=#101725> 파일:PCS Square white.pngPCS
참가팀
}}}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파일:Talon Esports 엠블럼.svg 파일:CTBC_Flying_Oyster_Academy_logo.png 파일:Frank_Esports_fulllogo.png파일:Frank_Esports_fulllogo_white.png 파일:Deep_Cross_Gaminglogo_square.webp파일:Deep_Cross_Gaminglogo_squarewhite.png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Talon Academy 파일:대만 국기.svg CFO Academy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Frank Esports 파일:대만 국기.svg Deep Cross Gaming
파일:HELL_PIGS_newlogo_profile.webp파일:HELL_PIGS_full_darkmode.png 파일:West_Point_Esportslogo_square.png 파일:GroudZeroLOGO.png 파일:Hungkuang_Falconlogo_profile.png
파일:대만 국기.svg Hell Pigs 파일:필리핀 국기.svg West Point Esports 파일:호주 국기.svg Ground Zero Gaming 파일:대만 국기.svg Hungkuang Falcon
LCP 참가팀 해체된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 ||
파일:Deep_Cross_Gaming_lightmode_full.png파일:Deep_Cross_Gaming_darkmode_full.png
<colbgcolor=#1168d2><colcolor=#fff> 딥 크로스 게이밍
Deep Cross Gaming
창단 2022년 1월 29일
소속 리그 PCS
매니저 쑨딩쉬안
HighPeter
[1]
감독 추량룽
Lxz
약칭 DC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로스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1168d2><colcolor=#fff>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홍콩 국기.svg 로우짝킨
Flauren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대만 국기.svg 우이한
665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대만 국기.svg [[궈베이이|궈베이이
HongSuo
]]
파일:대만 국기.svg 랴오이샹
XiaoXiang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대만 국기.svg 천쥔펑
Feng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파일:대만 국기.svg [[류자하오|류자하오
ShiauC
]]
}}}}}}}}}
팀 컬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 개요2. 역사 및 역대 시즌3. 멤버4. Deep Cross Gaming Academy5. 전 멤버
5.1. Leaky(리키, 張祖嘉, Chang Tsu-Chia, 창주지아)5.2. Woody(우디, 林弘裕, Lin Hung-Yu, 린훙위)5.3. Hanabi(하나비, 蘇嘉祥, Su Chia-Hsiang, 쑤자샹)5.4. Hana(하나, 陳志豪, Chen Chih-Hao, 천즈하오)5.5. Nestea(네스티, 許寶遠, Hsu Pao-Yuan, 쉬바오위안)
6. 기타

[clearfix]

1. 개요

파일:Deep_Cross_Gaming_darkmode_full.png
파일:2024SUMMERDCG.jpg
#SeizeYourGloryAndWriteOurStory
대만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팀 약자는 DCG.

2022년 1월 29일 창단하였다. LCP 참여에 실패하면서 해체를 발표했으나 철회 후, 2부 리그가 된 PCS에 참가하게 되었다.

2. 역사 및 역대 시즌

Deep Cross Gaming
파일:Deep_Cross_Gaminglogo_square.webp파일:Deep_Cross_Gaminglogo_squarewhite.png
2022 2023

3. 멤버


4. Deep Cross Gaming Academy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c6d7><tablebgcolor=#00c6d7> 파일:PCL_logo.pngPCL
참가팀
}}} ||
'''{{{#!wiki style="color: #1a2745 ;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파일:Impunitylogo_square.png 파일:TNU_Eaglelogo_square.png 파일:Frank_Esports_fulllogo.png파일:Frank_Esports_fulllogo_white.png
파일:대만 국기.svg Impunity Alternative 파일:대만 국기.svg TNU Eagle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FAK Academy
파일:Deep_Cross_Gaminglogo_square.webp파일:Deep_Cross_Gaminglogo_squarewhite.png 파일:West_Point_Esports_Academy_logo.png 파일:PCL_logo.png
파일:대만 국기.svg DCG Academy 파일:필리핀 국기.svg WPE-Academy 파일:대만 국기.svg Chienhsin Bear
PCS 참가팀 해체된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 ||
파일:Deep_Cross_Gaminglogo_square.webp파일:Deep_Cross_Gaming_darkmode_full.png
<colbgcolor=#1168d2><colcolor=#fff> 딥 크로스 게이밍 아카데미
Deep Cross Gaming Academy
창단 2023년 8월 19일
소속 리그 PCL
매니저 쑨딩쉬안
HighPeter
감독 추량룽
Lx2
약칭 DCG.A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로스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1168d2><colcolor=#fff>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대만 국기.svg 류전하오
RenHao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쌈지충
MadDogg
파일:대만 국기.svg 장쯔화
Whale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파일:대만 국기.svg 궈빙신
OVERT1ME
}}}}}}}}}
팀 컬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learfix]

5. 전 멤버

5.1. Leaky[2](리키, 張祖嘉, Chang Tsu-Chia, 창주지아)

파일:220px-AHQ_Leaky_2020_Split_2.png

전 닉네임은 Zion이었으며 2017 서머 J Team의 형제팀 J Team 2에서 데뷔했다. 2019 시즌 알파 이스포츠에서 주전으로 활동했다. 2020 시즌부터 ahq에 합류했고 서머 시즌 두 번째 경기인 JT전부터 기용되었고 2라운드 첫 경기 마치전 패배 이후 지브에게 밀려 벤치로 갔다. 2021년 Rogue Warriors의 2군인 Rogue Warriors Shark으로 이적했고, 닉네임을 8917로 바꾸었다.

2021 서머 시즌 콜업되어 선발로 기용되었지만 1승 6패를 기록하며 후보로 밀려났다. LPL 최약체 탑솔러 중 한 명인 New를 상대로도 10분만에 고속도로 날 정도로 개인 기량이 부족한 선수이다. 라인전부터 LPL 수준이 아닌데 판단력 또한 LPL 수준이 아니다. RW 조차 꼴등 후보인 팀임에도 불구하고 그 팀에서 조차 압도적인 구멍으로 꼽히는 대단한 선수... 결국 이 선수가 후보로 밀려난 이후에 zdz가 합류한 RW는 쑤닝, RA 같은 강팀들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며 승승장구하고 있다. 2021 시즌이 끝난 뒤 팀을 떠났고 2022 시즌 리키로 다시 닉네임을 변경한 뒤 DCG에 합류했다.

DCG에서는 놀랍게 환골탈태(?)에 성공한 것인지 그게 아니라 PCS와 LPL의 수준차이겠지.[3] 높은 안정감과 높은 캐리력을 선보이며 대체탑급 퍼포먼스를 선보이고 있다.

닉네임의 유래는 케일애너그램이라고 한다.(Kayle → Leaky)

2022시즌이 끝난 뒤 팀을 떠났다. 이후 PSG Talon 2군 코치로 부임했으며, 은퇴한 것으로 보인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5.2. Woody(우디, 林弘裕, Lin Hung-Yu, 린훙위)

2019년 12월 16일 J Team 2에서 CTBC J Team으로 콜업됐다. #

5.3. Hanabi(하나비, 蘇嘉祥, Su Chia-Hsiang, 쑤자샹)

파일:PSG_Hanabi_2022_Split_2.png
문서 참조.

5.4. Hana(하나, 陳志豪, Chen Chih-Hao, 천즈하오)

파일:JT_Hana_2019_Split_1.png

릴파이브 대신 원딜로 들어갈 정도로 손이 좋지만, 뇌가 없는 정글러이다. 대만의 해커에서 낮게는 주에주에(...)까지 그 사이 어딘가에 있는 느낌.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0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0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5.5. Nestea(네스티, 許寶遠, Hsu Pao-Yuan, 쉬바오위안)

파일:AHQ Nestea 2018 Split 2.png
원래는 서포터였던 선수로 2017년 7월 HKA Mage 시절 잠시 미드로 변경했지만 1달 만에 다시 서포터로 복귀했다. ahq 이적 후 2018년 7월에 정글로 포지션을 변경했지만 이 또한 약 두 달 만에 서포터로 복귀.

2018년 9월 30일 ahq e-Sports Club을 떠났다. #

2019년 12월 16일 CTBC J Team에 입단하여 미드로 다시 포지션을 변경하여 출장하고 있다. # 2020 시즌 이후 미션이 영입되자 서포터로 포지션을 바꾸었으나 견고한 주전인 우디에 밀려 나오지 못하고 있다. 결국 2021년 4월 12일 팀을 떠났다. 이후 휴식기를 가지다 2022년 신생팀 DCG에 합류. 포지션은 미드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0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0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6. 기타

2023년 1월 9일, 왕자영요 팀을 창단하였다.

[1] 본래 닉은 Peter였으나 LCK에 같은 닉네임을 쓰는 선수가 있어서인지 닉네임을 바꿨다.[2] 前 8917[3] LMS의 짧은 중흥기와 LPL 암흑기가 겹칠 때만 해도 LMS가 원딜러가 없고 리그 뎁스가 얕을 뿐 타 포지션 최상위권 선수들은 LPL보다 낫다는 평가도 있었으나, 이젠 너무 먼 옛날 이야기고 PCS는 계속 쇠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