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0 00:44:10

𡅸에서 넘어옴
어려울 간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11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7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カン
일본어 훈독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표준 중국어
jiā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상대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艱은 '어려울 간'이라는 한자로, '어렵다', '괴로워하다'를 뜻한다.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8271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TOAV(廿人日女)로 입력한다.

설문해자에서는 훈을 나타내는 𦰩과 음을 나타내는 (괘이름 간)이 합쳐진 형성자로 보았으나, 갑골문을 보면 북을 나타내는 와 팔이 묶인 사람을 나타내는 𦰩[1] 이 합쳐진 회의자로, 현대의 형태는 소전체가 되어서야 나타난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 계옥지간(艱) - 계수나무보다 비싼 장작과 옥보다 귀한 쌀로 생활하는 어려움. 물가가 비싼 도심이나 이국땅에서 학업하거나 생활하는데 어려움을 이르는 말.

4. 유의자

  • (어려울 난)

5. 상대자

  • (쉬울 이)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발꿈치 근)
  • (뿌리 근)
  • (어려울 난)
  • (은 은)
  • (잇몸 은)
  • (지경 은)
  • (탄식할 탄)
  • 退(물러날 퇴)
  • (한 한)
  • (한할 한)
  • (패려궂을 흔)

[1] 𦰩 대신 무릎꿇은 여자를 그린 나 무릎꿇은 사람을 그린 로 대체한 형태의 갑골문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