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히틀러 내각 Kabinett Hitler | Hitler Cabinet |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1933년 1월 30일 ~ 1945년 4월 30일 | ||
| 출범 이전 | 이후 | ||
| 슐라이허 내각 | 괴벨스 내각 | }}} | |
| <colbgcolor=#d00,#d00> 국가대통령 | 파울 폰 힌덴부르크 (1933.1.30.~1934.8.2) | ||
| 국가수상 | 아돌프 히틀러[1] (1933.1.30.~1945.4.30) | ||
| 부수상 | 프란츠 폰 파펜 (1933.1.30.~1934.8.7) | ||
| 여당 | |||
| 연립여당 | (1934.6.27 해산) | ||
1. 개요
1933년 1월 30일 파울 폰 힌덴부르크 대통령이 아돌프 히틀러를 수상으로 임명하며 출범한 독일의 내각이었다. 아돌프 히틀러가 사망한 1945년 4월 30일까지 총 12년간 존속하여 독일 역사상 장기 집권 내각 중 6위이다. 일반적으로 이 시기의 독일을 나치 독일이라고 부른다.2. 내각 구성
| <rowcolor=#fff> 직책 | 성명 | 정당 | 임기 |
| 국가수상 | 아돌프 히틀러 | | 1933년 1월 30일 ~ 1945년 4월 30일 |
| 국가부수상 | 프란츠 폰 파펜 | [2] | 1933년 1월 30일 ~ 1934년 8월 7일 |
| 국가외무장관 | 콘스탄틴 폰 노이라트 | | 1933년 1월 30일 ~ 1938년 8월 7일 |
|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 | | 1938년 2월 4일 ~ 1945년 4월 30일 | |
| 국가내무장관 | 빌헬름 프리크 | | 1933년 1월 30일 ~ 1943년 8월 24일 |
| 하인리히 힘러 | | 1943년 8월 24일 ~ 1945년 4월 29일 | |
| 국가재무장관 | 루츠 그라프 슈베린 폰 크로지크 | | 1933년 1월 30일 ~ 1945년 4월 30일 |
| 국가법무장관 | 프란츠 귀르트너 | | 1933년 1월 30일 ~ 1941년 1월 29일 |
| 프란츠 슐레겔베르거 (권한대행) | | 1941년 1월 29일 ~ 1942년 8월 24일 | |
| 오토 티라크 | | 1942년 8월 24일 ~ 1945년 4월 30일 | |
| 국가국방장관 | 베르너 폰 블롬베르크 | | 1933년 1월 30일 ~ 1938년 2월 4일 |
| 국가경제장관 | 알프레트 후겐베르크 | | 1933년 1월 30일 ~ 1933년 6월 29일 |
| 쿠르트 슈미트 | | 1933년 6월 29일 ~ 1934년 8월 3일 | |
| 얄마르 샤흐트 | | 1934년 8월 3일 ~ 1937년 11월 26일 | |
| 헤르만 괴링 | | 1937년 11월 26일 ~ 1938년 1월 15일 | |
| 발터 풍크 | | 1938년 2월 5일 ~ 1945년 4월 30일 | |
| 국가농무장관 | 알프레트 후겐베르크 | | 1933년 1월 30일 ~ 1933년 6월 29일 |
| 리하르트 발터 다레 | | 1933년 6월 29일 ~ 1944년 4월 6일 | |
| 헤르베르트 바케 | | 1944년 4월 6일 ~ 1945년 4월 30일 | |
| 국가노동장관 | 프란츠 젤테 | | 1933년 1월 30일 ~ 1945년 4월 30일 |
| 국가체신장관 | 파울 폰 엘츠-뤼베나흐 남작 | | 1933년 1월 30일 ~ 1937년 2월 2일 |
| 빌헬름 오네조르게 | | 1937년 2월 2일 ~ 1945년 4월 30일 | |
| 국가운수장관 | 파울 폰 엘츠-뤼베나흐 남작 | | 1933년 1월 30일 ~ 1937년 2월 2일 |
| 율리우스 도르프뮐러 | | 1937년 2월 2일 ~ 1945년 4월 30일 | |
| 국가국민계몽선전장관 | 파울 요제프 괴벨스 | | 1933년 3월 13일 ~ 1945년 4월 30일 |
| 국가항공장관 | 헤르만 괴링 | | 1933년 5월 1일 ~ 1945년 4월 23일 |
| 국가문교장관 | 베른하르트 루스트 | | 1934년 5월 1일 ~ 1945년 4월 30일 |
| 국가종무장관 | 한스 케를 | | 1935년 7월 16일 ~ 1941년 12월 15일 |
| 헤르만 무스 | | 1941년 12월 15일 ~ 1945년 4월 30일 | |
| 국가군수장관 | 프리츠 토트 | | 1940년 3월 17일 ~ 1942년 2월 8일 |
| 알베르트 슈페어 | | 1942년 2월 8일 ~ 1945년 4월 30일 | |
| 동방영토장관 |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 | 1941년 7월 17일 ~ 1945년 4월 30일 |
[1] 1934년 8월 2일에 파울 폰 힌덴부르크가 죽자 국가대통령직까지 물려받아 총통으로 취임하게 된다.[2] 1938년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