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6 22:26:26

히메시마무라

파일:지구 아이콘_Black.svg 세계의 섬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제도나 열도, 섬의 일부만 점유하거나 통제하고 있는 경우
  
1: 범주 내에서 면적이 가장 큰 섬이나 제도
동아시아
제주도1 · 거제도 · 진도 · 강화도 · 남해도 · 영종도 · 안면도 · 완도 · 울릉도 · 돌산도 · 거금도 · 창선도 · 자은도 · 압해도 · 교동도 · 고금도 · 임자도 · 백령도 · 용호도 · 비금도 · 도초도 · 석모도 · 청산도 · 보길도 · 암태도 · 신지도 · 금호도 · 나로도 · 장산도 · 노화도 · 영흥도 · 가덕도 · 덕적도 · 하의도 · 흑산도 · 한산도 · 욕지도 · 독도 · 백마도 · 선유도 · 밤섬 · 여의도 · 노들섬 · 서래섬 · 당정섬 · 남이섬 · 뱀섬 · 영도 · 붕어섬 · 금구도 · 대부도 · 제부도 · 풍도 · 국화도 · 격렬비열도 · 저도 · 오륙도 · 조약도 · 생일도 · 여서도 · 소록도 · 사량도 · 소매물도 · 좌사리제도 · 칠천도 · 오동도 · 지심도 · 외도 · 망산도 · 을숙도 · 추자도 · 차귀도 · 비양도 · 범섬 · 우도 · 고군산군도 · 어청도 · 십이동파도 · 금란도 · 대청도 · 가의도 · 실미도 · 팔미도 · 운염도 · 안마 군도 · 굴업도 · 자월도 · 신시모도 · 관매도 · 여자도 · 해금강 · 우도(창원) · 대저도 · 눌차도 · 둔치도 · 고파도 · 외연도 · 우무도 · 원산도 · 유부도 · 녹도 · 삽시도 · 덕도 · 동백섬 · 맥도 · 명지도 · 중사도 · 진우도 · 다려도 · 가파도 · 마라도 · 사수도 · 토끼섬 · 형제섬 · 노랑섬 · 대무의도 · 매도랑 · 물치도 · 볼음도 · 증도 · 관매도 · 거문도 · 가우도 · 가거도 · 고이도 · 금오도 · 노력도 · 눌옥도 · 도초도 · 모황도 · 삼학도 · 소안도 · 영산도 · 우이도 · 지죽도 · 탄도 · 홍도 · 금란도 · 무녀도 · 위도 · 빙도 · 문갑도 · 미법도 · 신시도 · 시루섬 · 서검도 · 사렴도 · 사승봉도 · 선갑도 · 선재도 · 세어도 · 소무의도 · 소청도 · 수수떼기 · 승봉도 · 아암도 · 연평도 · 이작도 · 잠진도 · 장봉도 · 조름섬 · 주문도 · 팔미도 · 해녀도 · 하의도 · 하태도 · 우도(서해 5도) · 장고도 · 고구마섬 · 고하도 · 두미도 · 추봉도 · 나치도 · 방축도
비단섬1 · 초도 · 가도 · 기린도 · 반성열도 · 봉곳도 · 창린도 · 능라도 · 석도 · 소수압도 · 소초도 · 소화도 · 순위도 · 신미도 · 대계도 · 대수압도 · 대초도 · 대화도 · 두로도 · 황금평 · 황토도 · 마양도 · 마합도 · 양각도 · 양도 · 어화도 · 여도 · 용매도 · 우리도 · 운무도 · 웅도 · 월내도 · 위화도 · 검동도 · 관마도 · 구리도 · 다사도 · 벌등도 · 어적도 · 유초도 · 임도 · 막사도
혼슈1 · 홋카이도 · 규슈 · 시코쿠 · 오키나와섬 · 사도섬 · 아마미오섬 · 쓰시마섬 · 아와지섬 · 야쿠섬 · 다네가섬 · 이리오모테섬 · 이시가키섬 · 리시리섬 · 나카도리섬 · 히라도섬 · 미야코섬 · 쇼도섬 · 오쿠시리섬 · 이키섬 · 야시로섬 · 오키노에라부섬 · 에타섬 · 구라하시섬 · 오사키카미섬 · 하카타섬 · 이즈오섬 · 하시마섬 · 히메섬 · 요나구니섬 · 이츠쿠시마섬 · 오미섬 · 이쿠치섬 · 나오시마섬 · 도시마섬 · 니지마섬 · 미야케섬 · 미쿠라섬 · 고즈섬 · 하치조섬 · 아오가섬 · 오가사와라 제도 · 오키 제도 · 토리시마섬 · 미나미토리섬 · 마게섬 · 우니섬 · 레분섬 · 이헤야이제나 제도 · 게라마 제도 · 아구니 제도 · 사키시마
하이난섬1 · 홍콩섬 · 콜로아느섬 · 타이파섬 · 웨량섬 · 창허섬 · 란타우섬 · 샤먼섬 · 구랑위 · 충밍섬 · 핑탄섬 · 마완 · 스프래틀리 군도* · 파라셀 군도 · 완산 군도 · 창산 군도 · 먀오다오 군도 · 저우산 군도
타이완섬1 · 진먼섬 · 란위섬 · 둥사 군도 · 타이핑다오
동남아시아
티모르섬*1 · 아타우루섬
스프래틀리 군도* · 라부안 · 세바틱섬 · 보르네오(칼리만탄)*1 · 피낭섬
깟바섬 · 꼰선섬 · 박롱비섬 · 푸꾸옥섬1 · 혼쩨섬 · 쯔엉사 군도*
싱가포르 섬(폴라우 우종)1 · 센토사섬 · 페드라 브랑카섬
뉴기니섬*1 · 보르네오섬* · 수마트라섬 · 술라웨시섬 · 자바섬 · 티모르섬* · 할마헤라섬 · 스람섬 · 숨바와섬 · 플로레스섬 · 요스 수다르소섬 · 방카섬 · 숨바섬 · 부루섬 · 발리섬 · 니아스섬 · 롬복섬 · 벨리퉁섬 · 마두라섬 · 부톤섬 · 웨타르섬 · 와이게오섬 · 얌데나섬 · 탈리아부섬 · 무나섬 · 오비섬 · 펠렝섬 · 야펜섬 · 모로타이섬 · 바탐섬 · 부톤섬
푸켓1 · 사멧섬 · 따오섬 · 코 타푸 · 사무이섬 · 팡안섬
루손섬1 · 민다나오섬 · 비사야 제도 · 팔라완섬 · 보라카이섬 · 네그로스섬 · 세부섬 · 사마르섬 · 민도로섬 · 레이테섬 · 보홀섬 · 마스바테섬 · 파나이섬 · 술루 제도 · 칼라얀 군도*
남아시아
볼라섬1 · 모헤시칼리섬
실론(스리랑카)섬1
안다만 제도1 · 니코바르 제도 · 스리하리코타 · 노스센티널섬 · 사우스센티널섬
아스톨라섬1
서아시아
바레인섬1
파라산 군도1
아르와드섬1
더 월드 · 야스 섬 · 팜 아일랜드
소코트라섬1 · 페림섬
케슘섬1 · 호르무즈섬 · 아부무사섬
서유럽
아루바 · 퀴라소 · 사바 · 보네르 · 신트외스타티위스 · 세인트마틴섬* · 서프리슬란트 제도1
아일랜드섬*1 · 스켈리그 마이클 · 토리섬
아일랜드섬* · 그레이트브리튼섬1 · 와이트섬 · 몬트세랫 · 버뮤다 · 케이맨 제도 · 포클랜드 제도 · 세인트헬레나 · 어센션섬 ·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 트리스탄다쿠냐 · 앵귈라 · 채널 제도 · 맨섬 · 비숍 록
코르시카섬 · 누벨칼레도니1 · 몽생미셸 · 마르티니크 · 마요트 · 레위니옹 · 왈리스 푸투나 ·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 케르겔렌 제도 · 과들루프 · 생피에르 미클롱 · 클리퍼턴섬 · 세인트마틴섬* · 생바르텔레미 · 프랑스령 남방 및 남극 지역
중부유럽
뤼겐섬1 · 우제돔섬* · 페마른섬 · 쥘트섬 · 푀르섬 · 펠보름섬
우제돔섬* · 볼린섬1
남유럽
크레타섬1 · 에비아섬 · 레스보스섬 · 로도스섬 · 케팔로니아섬 · 키오스섬 · 케르키라섬 · 렘노스섬 · 산토리니섬 · 사모스섬 · 델로스섬 · 낙소스섬 · 자킨토스섬 · 타소스섬 · 안드로스섬 · 레프카다섬 · 카르파토스섬 · 코스섬 · 키티라섬 · 코르푸섬 · 히오스섬
몰타섬1 · 고조섬 · 코미노섬 · 필플라섬 · 마노엘섬 · 세인트 폴섬
마요르카섬1 · 메노르카섬 · 이비사섬 · 포르멘테라섬 · 테네리페섬 · 그란 카나리아섬 · 라팔마섬 · 란사로테섬 · 카브레라섬 · 푸에르테벤투라섬 · 라고메라섬 · 엘이에로섬
시칠리아1 · 사르데냐 · 엘바섬 · 카프리섬 · 토스카나 제도 · 판텔레리아섬 · 펠라지에 제도 · 람페두사섬
키프로스섬*1
크르크섬1 · 코르출라섬 · 브라치섬 · 흐바르섬 · 라브섬 · 파그섬 · 로시니섬 · 우글랸섬 · 치오보섬 · 무르테르섬 · 비스섬 · 츠레스섬 · 비르섬 · 파슈만섬 · 솔타섬 · 두기오토크섬 · 믈레트섬 · 라스토보섬 · 이주섬 · 시판섬 · 프리비크섬 · 실바섬 · 즐라린섬
괵체아다섬1 · 뷔위카다섬
아조레스 제도1 · 마데이라 제도
동유럽
쿤진살라섬1 · 킵살라섬
사할린섬1 · 쿠릴 열도 · 노바야제믈랴 · 브란겔랴섬 · 유즈니섬 · 모네론섬 · 코틀린섬 · 고글란트섬 · 다이오메드 제도* · 루스키섬 · 벨콥스키섬 · 제믈랴프란차이오시파 · 코만도르스키예 제도 · 콜구예프 섬
키아울레스 누가나섬1 · 루스네섬
사레마섬1 · 무후섬 · 보름시섬 · 히우마섬 · 루흐누섬
즈미이니섬
북유럽
스발바르 제도1 · 트롬쇠위아섬 · 우튀위아섬 · 얀마옌섬
그린란드섬1 · 셸란섬 · 벤쉬셀티섬 · 퓐섬 · 롤란섬 · 보른홀름섬 · 팔스테르섬 · 모르스섬 · 알스섬 · 랑엘란섬 · 묀섬
고틀란드섬1 · 오루스트섬 · 히싱엔섬 · 베름되섬 · 쇠른섬 · 욀란드섬
아이슬란드섬1
파스타 올란드*1
북아메리카
히스파니올라섬*1
티뷰론섬1
하와이 제도1 · 푸에르토 리코 · · · 알류샨 열도 · 마리아나 제도 · 다이오메드 제도* · 아메리칸 사모아 · 라인 제도 ·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 맨해튼 · 롱아일랜드 · 염소 섬
히스파니올라섬*1 · 토르투가섬
자메이카섬1
멜빌섬 · 빅토리아섬 · 데번섬 · 엘즈미어섬 · 배서스트섬 · 콘월리스섬 · 배핀섬1 · 뉴펀들랜드섬 · 뱅크스섬 · 밴쿠버 섬 · 액슬하이버그 섬
쿠바섬1 · 카요라르고델수르섬 · 후벤투드섬
남아메리카
베네수엘라 연방 속지1
마라조섬1 · 케이마다 그란지섬
로스에스타도스섬 · 티에라델푸에고*1
갈라파고스 제도1
티에라델푸에고*1 · 이스터섬 · 디에고 라미레스 제도 · 후안페르난데스 제도 · 칠로에섬
아프리카
쿤타 킨테섬
로벤섬 · 프린스 에드워드 제도1
마다가스카르섬1 · 노지베섬 · 생트마리섬 · 주앙데노바섬
모리셔스섬1 · 로드리게스섬
상투메섬 · 프린시페섬
마에섬
비오코섬1 · 코리스코섬 · 엘로베이그란데섬 · 엘로베이치코섬 · 안노본섬
산티아구섬
잔지바르1 · 펨바섬 · 우케레웨섬
제르바섬
오세아니아
뉴질랜드(남섬·북섬)1 · 쿡 제도 · 니우에 · 토켈라우 · 채텀 제도 · 뉴질랜드 남극 연안 섬
통가타푸섬1 · 에우아섬 · 하파이 제도 · 바바우 제도 · 니우아섬
푸나푸티섬 · 나누메아섬 · 누이섬 · 누쿠페타우섬 · 누쿨라엘라에섬 · 바이투푸섬1 · 나누망가섬 · 니울라키타섬 · 니우타오섬
뉴기니섬*1 · 뉴브리튼섬 · 뉴아일랜드섬 · 부건빌섬 · 비스마르크 제도 · 애드미럴티 제도 · 당트르카스토 제도
비티 레부섬1 · 바누아 레부섬 · 로투마섬
캥거루섬 · 태즈메이니아섬1 · 멜빌섬 · 배서스트섬 · 코코스 제도 · 크리스마스섬 · 허드 맥도널드 제도
남극
킹 조지섬 · 페테르 1세섬 · 조인빌섬 · 사우스셰틀랜드 제도1 · 부베섬
}}}}}}}}}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e60012>
파일:오이타현 문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Oita_Logo2.png
현청
중핵
오이타시
파일:Usa.png
우사시
파일:Usuki.png
파일:Kitsuki.png
파일:Kunisaki.png
파일:Saiki.png
파일:Taketa.png
파일:Tsukumi.png
파일:Nakatsu.jpg
파일:Hita.png
히타시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Bungoono.png
분고오노시
파일:Bungotakada.jpg
파일:벳푸시 시장.png
벳푸시
파일:유후시 시장.png
유후시
}}}
⬛︎ : 중핵시
{{{#!wiki style="margin: -16px -11px" 쿠스군 하야미군
파일:Kusu.png
쿠스마치
파일:Kokonoe.png
코코노에마치
파일:Hiji.png
히지마치
}}}
히가시쿠니사키군
파일:Himeshima.jpg
히메시마무라
}}}}}}}}}


파일:Himeshima_Logo.png
[ruby(姫島, ruby=ひめしま)][ruby(村, ruby=むら)]
히메시마무라 / Himeshima Village
파일:Himeshima.jpg
촌 기장(村章)
국가 일본
지방 규슈
도도부현 오이타현
면적 6.99 km²
인구 1,692명[1]
상징
시화 들국화(ノジギク)
시목 (黒松)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Himeshima_Townhall.jpg
히메시마촌청

1. 개요2. 지리3. 역사4. 교통
4.1. 도로 교통4.2. 해상 교통
5. 산업6.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일본 오이타현에 위치한 유일한 촌(村). 오이타현에서 유일하게 섬으로 이루어진 지자체이다.

2. 지리

히메시마섬은 구니사키반도 위에 위치하며, 스오 해협과 이요 해협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다. 관내에는 3개의 산이 있으며, 야하즈(矢筈)산이 266m로 가장 높다.

3. 역사

헤이안 시대부터 우사 신궁이 지배하던 곳이다. 그 뒤 전국시대에는 분고국을 다스리던 오토모씨가의 영역이 되었고, 에도 시대에는 하야미국의 기쓰키번에 속한 지역이었다.

폐번치현 이후에는 기쓰키현에 속했다가 기쓰키현이 오이타현에 합병되면서 오이타현 히가시쿠니사키군의 히메시마무라가 되었다.

이후 1950년대 후지모토 가문의 후지모토 겐키치(藤本憲吉)와 시카노 가문의 시카노 가메타로(鹿野龜太郞)가 이 섬의 권력을 양분하고 있었다. 이 두 가문과 그들을 지지하는 파벌은 6.25 전쟁 시기에 그 전쟁 못지 않게 치열하게 싸워댔는데 결국 1955년에 촌장선거를 실시했다. 이 선거에서 두 당주들 모두 동일하게 상대 가문의 씨를 완벽히 말려버리겠다는 공약을 내걸었다. 이 선거에서 후지모토 겐키치가 당선되었으며 당연히 후지모토 가문은 시카노 가문과 그 지지자들을 섬을 떠나지 않고는 못 배기도록 괴롭혀댔다. 결국 시카노 가문의 지지자들은 거의 다 섬을 떠났고 시카노 가문의 구성원들은 숨어 지냈다.

1957년, 촌장 후지모토 겐키치는 건강상의 이유를 들어 사임했으며, 이에 시카노 가문에서 시카노 가메타로를 선거 없이 촌장에 취임시켰다. 하지만 촌장만 시카노 가메타로일 뿐 촌의원들[2]이 죄다 후지모토 가문의 일당들이었으며 시카노 가메타로는 완전히 바지사장이 되고 말았다. 결국 바지사장으로 지내는 것을 견디다 못한 시카노 가메타로는 1959년 12월 촌장직에서 사임했다. 그리고 시카노 가문은 전부 섬을 떠났다.

시카노 가메타로가 투표 없이 촌장에 올랐다는 점을 내걸어 후지모토 겐키치의 장남 후지모토 쿠마오(藤本熊雄[3], 1911년 2월 26일 ~ 1984년 10월 25일)가 똑같이 선거를 치르지 않고 새 촌장에 취임했다. 그리고 이젠 촌장선거 안 한다라고 선언했다. 즉, 종신집권인 셈이다. 그리고 2016년까지 촌장투표는 없었으며, 그렇게 후지모토 쿠마오는 1984년에 사망할 때까지 종신집권 했다. 이후 후지모토 쿠마오의 아들이자 후지모토 겐키치의 손자인 후지모토 아키오(藤本 昭夫, 1943년 5월 24일 ~ )가 새 촌장에 취임했다. 이게 가능했던 것은 후지모토 쿠마오가 살아생전 히메시마무라의 경제를 개발시켰기 때문이었다. 누군가와 닮은 것 같기도 하고 경애하는 와타시타치노 영도자 후지모토 만세!

후지모토 쿠마오는 촌장에 취임한 직후, 히메시마무라의 주 산업인 염전 산업이 망해가는 것을 인식하고 이를 대체하기 위해 히메시마무라의 공적자금 1억 8300만 엔을 단 한 푼도 남김없이 모두 투자해서 보리새우[4] 양식 사업에 뛰어들었다.[5] 그렇게 후지모토 쿠마오는 10년 이상 보리새우 양식에 매달리며 많은 시행착오 끝에 결국 일본의 보리새우 생산량의 10%를 생산하는 데에 성공하는 기염을 토하게 되었고 대부분의 주민들이 후지모토 쿠마오의 보리새우 회사에 취직해 직원이 되었다. 이들 중에서는 1949년 일본 중의원 선거에서 당선된 니시무라 에이이치의 일가친척들도 있었다. 그리고 그 니시무라 에이이치는 훗날 자유민주당 부총재에 오르는 등 정계에서 승승장구하면서 촌장인 후지모토 가문의 든든한 빽이 되어줬다.

이렇게 돈도 많이 벌고 히메시마무라 내부에서 절대 권력도 휘두를 수 있게 된 후지모토 쿠마오 촌장은 히메시마무라의 유일한 항구를 접수한 뒤 1972년에 민간 해운사를 설립했다. 그리고 이 해운사는 오직 단 한 척의 페리선으로만 운항을 했는데 그것이 '히메시마마루'라는 페리선이다. 그리고 나머지 선박은 모조리 입항을 금지시켰고 오직 히메시마마루만이 이 섬을 들어올 수 있는 유일한 통로로 만들었다. 당연히 헬기를 비롯한 항공 수단도 입도(入島)를 금지시켰다. 이 히메시마마루는 명목상으로는 히메시마무라의 소유로 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후지모토 쿠마오 개인 사유물이었다. 그 선박이 유일한 통로였으니, 반(反) 후지모토 가문 성향을 띄면 섬에 얼씬거리지조차 못하게 했다. 이렇게 히메시마무라는 일본 속의 북조선이 되어갔다. 이후 후지모토 쿠마오는 모든 주민들의 재산을 평준화 시킨다는 이유로 공무원을 많이 고용하는 대신 급여는 크게 삭감해서 전 주민 7명 중 1명을 공무원으로 만들었다.

일이 이지경까지 가자 이젠 히메시마무라는 후지모토 가문에 100% 의존해야만 하는 상황이 되었다. 이를 이용해 후지모토 쿠마오는 거의 주체사상급 세뇌를 해서 후지모토 쿠마오에 대한 대대적인 우상화를 실시했다. 히메시마무라에는 대학교와 고등학교는 없고, 초등학교 1개교, 중학교 1개교, 이렇게 학교가 단 2개교 뿐이지만 여기에서는 후지모토 쿠마오에 대한 우상화 과목까지 존재할 정도로 세뇌에 열을 올렸다. 하지만 아이들이 고등학교를 진학하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섬 밖으로 나가야만 했고, 그렇게 섬 밖에 있는 고등학교에 재학하면서 이 아이들은 극심한 문화충격에 빠지게 되었다. 실제로도 히메시마무라는 매년 10월 후지모토 쿠마오를 반쯤 신으로 숭배하다시피하는 행사를 개최했다.

이후 후지모토 쿠마오의 아들인 후지모토 아키오가 촌장에 취임하자 자기 아버지 동상을 건립하는가 하면 가문의 재산을 아낌없이 들이부어 하수도 공사, 요양원 건립, 광케이블 설치, 무료 급식 등 섬에 아낌없이 투자하는 한편 그걸 빌미로 자신의 권력을 더욱 공고히 했다. 그러나...

후지모토 가문 내부에서 후지모토 쿠마오식 지배에 반기를 든 인물이 나타났으니, 그가 바로 후지모토 도시카즈(藤本敏和, 1949년 ~ )이다. 후지모토 도시카즈는 NHK에서 아나운서로 일하다가 대한민국으로 건너가서 경희대학교 교수로 일한 재원이었다. 후지모토 도시카즈는 히메시마무라가 뭔가 잘못 돌아가고 있다고 느껴서 후지모토 아키오에게 이를 말하고 히메시마무라의 상태를 바로잡으라고 요구했으나 후지모토 아키오는 엿을 날리며 거절했다. 결국 2016년에 후지모토 아키오와 후지모토 도시카즈가 촌장선거로 맞붙었으나 당연히 이북식 지배체계에 익숙한 히메시마무라 주민들은 후지모토 아키오에게 몰표를 줬다. 그렇게 후지모토 도시카즈는 간단하게 낙선되었지만 완벽한 패배는 아니었다. 61년 만에 선거를 맛본 히메시마무라 주민들은 마음속에서 무언가 감정이 생기기 시작했으며, 2020년 다시 촌장선거가 실시되었으며 이 때 역시 후지모토 아키오가 후지모토 도시카즈를 이겼으나 927표 대 594표로 표 차이는 현저하게 줄어들었다. 2024년 후지모토 아키오가 고령을 이유로 사임하고 히메시마무라 출생인 다이카이 야스하루(大海靖治)가 새 촌장에 취임했으나, 일각에서는 이 '다이카이 야스하루'라는 자를 후지모토 아키오의 바지사장이라 주장하기도 한다.

이와같은 일로 인해 일본 내부에서 히메시마무라는 일본의 북조선이라는 별명이 생겼다. #

4. 교통

4.1. 도로 교통

606번 지방도와 683번 지방도가 놓여 있으며, 촌에서 운영하는 히메시마 순회버스(姫島巡回バス)가 일 6회 운행 중에 있다.

4.2. 해상 교통

육지로 나가는 유일한 방법이며, 쿠니사키시에 있는 '이미항'(伊美港)으로 가는 페리를 촌에서 운영하고 있다. 선박 역시 '히메시마마루'라는 페리호 단 한 척만 존재한다.

5. 산업

섬이기 때문에 어업이 활발하다. 가자미도미등이 유명하며, 양식업 또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과거에는 염전도 있었다고 한다. 염전이 망하면서 생긴 보리새우 양식업이 대박이 났으며 이는 전일본 보리새우 생산량의 10%를 차지하고 있다.

6. 출신 인물

자유민주당 부총재였던 니시무라 에이이치가 이곳 출신이다.


[1] 추계인구 2021년 6월 1일 기준[2] 히메시마무라 촌의원의 정원은 8명이다.[3] 한국어식 독음을 하면 별난 이름이 되는데 등본웅웅이다. 즉, "윤철철(尹鐵哲)", "박용용(朴勇龍)", "황태태(黃泰態)" 같은 괴상한 느낌의 이름이다.[4] 일본에서 보리새우는 초밥 재료로 엄청나게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보리새우 양식만 잘하면 금방 돈방석에 앉을 수 있는 엄청 좋은 사업이다.[5] 이 섬 지도를 보면 곳곳에 사각형의 호수나 둥근 호수가 있는데 이게 다 보리새우 양식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