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의 하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가오천 | 감이천 | 고덕천 | 공대천 | 굴포천 | |||||
구파발천 | 금호천 | 긴고랑천 | 난곡천 | 난지천 | ||||||
내곡천 | 녹번천 | 당현천 | 대동천 | 대방천 | ||||||
도림천 | 도봉천 | 동부간선수로 | 마장천 | 마전내 | ||||||
만초천 | 망월천 | 면목천 | 목감천 | 못자리골천 | ||||||
무수천 | 묵동천 | 반포천 | 방배천 (사당천) | 방학천 | ||||||
백운동천 | 봉원천 | 봉천천 | 불광천 | 사근천 | ||||||
상도천 | 새원천 | 샛강 | 선통물천 | 성내천 | ||||||
성북천 | 성수천 | 세곡천 | 세교천[1] | 아현천 | ||||||
안양천 | 양재천 | 여의천 | 역곡천 | 오류천 | ||||||
옥류동천 | 우면천 | 우이천 | 원지천 | 월곡천 | ||||||
장지천 | 전농천 | 정릉천 | 중랑천 | 진관천 | ||||||
창릉천 | 청계천 | 탄천 | 한강 | 한남천 | ||||||
행당천 | 현충천 | 홍제천 | 화계천 | 화랑천 | ||||||
회기천 | 후암천 | |||||||||
■ 복개천 |
[1] 사라짐
}}}}}}}}} ||顯忠川 Hyeonchung-Cheon
1. 개요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동 국립서울현충원 일대 서달산에서 발원하여 현충원 관내를 흐른 뒤 반포천에 합류하는 하천.[1]2. 특징
현충천이라는 이름은 동작동 일대가 서울 현충원으로 지정된 다음 붙여진 이름으로, 그 전의 자연하천으로서의 이름은 알 수 없다.독특하게도 서울 현충원 관내 박정희 대통령 묘소 인근에서 발원하여 한강 합류점까지 전 구간이 현충원 부지를 흐른다. 서울 현충원은 서달산, 구름산 등 산으로 둘러싸여 주변 지역으로부터 고립된 지형을 갖추고 있는데, 현충천의 유역이 현충원 부지와 정확히 일치한다.
이같은 사정 덕분에 현충천은 서울 중심부에서 발원하여 한강에 바로 합류하는 소하천임에도 도시개발에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복개를 피해갈 수 있었다. 비슷한 처지의 다른 하천들과 달리 최하류부 일부분만이 복개되었으며, 사실상 전 구간이 미복개 상태로 유지중이다. 복개된 부분은 현충원 주차장과 서울 지하철 9호선 동작역 역사 부지에 해당하는 곳이다.
유역 전역에 걸쳐 녹지가 보존되어 있고 하천 자체도 하류 일부분을 제외하면 자연하천 상태로 남아 있다. 그 덕에 짧은 길이에도 수량이 풍부하고 수질도 깨끗한 편이다. 상류에는 공작지라는 연못이 있으며, 하류에는 현충지라는 더 큰 연못이 있다.
현충원 관내에 위치하여 지자체 대신 국립서울현충원의 관리주체인 국가보훈부(2024년 7월 23일까지는 국방부)측에서 하천을 관리하는 것으로 보인다. 덕분에 전 구간 복개는 피했으나, 서울시 관내에 있는 몇 안되는 자연하천임에도 관련 정보가 적으며 한강의 지류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