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20 00:21:34

함부르크 지하철 3호선


파일:U반 로고.svg 함부르크 지하철 운행 노선
파일:Hamburg U1.svg 파일:Hamburg U2.svg 파일:Hamburg U3.svg 파일:Hamburg U4.svg

파일:Hochbahn_Logo.svg{{{#!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파일:Hamburg U3.svg U-Bahn linie 3
Hamburg Metro Line 3
함부르크 지하철 3호선
}}}
노선 정보
분류 지하철
기종점 바름베크
기종점 반츠베크 가르텐슈타트
역 수 26
노선기호 U3
노선번호 3호선
개업일 1912년 3월 1일 (시청 - 바름베크)
소유자 파일:함부르크 주기.svg
운영자 파일:Hochbahn_Logo.svg
사용차량 HHA DT5
노선 제원
노선연장 20.6 km (순환선 구간 17.4 km, 순환선 외부 구간 3.2 km)
궤간 1435mm 표준궤
선로구성 복선: 전체
사용전류 직류 750V 제3궤조 집전식
규격 Großprofil (대형)
최고속도 70km/h
1. 개요2. 역 목록

1. 개요


함부르크 북쪽 함부르크노르트 구 바름베크 노르트 구역에서 출발하여 중앙역을 거쳐 함부르크 북동쪽 반츠베크 구 반츠베크 구역까지 가는 노선. 기점 바름베크에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한바퀴 크게 돈 후에 바름베크로 다시 돌아와서 정차한 후, 종점 반츠베크 가르텐슈타트까지 가는 변형된 순환선이다.[1] 바름베크 - 슐룸프 구간, 란둥스브뤼켄 - 시청 구간, 베를리너 토어 - 반츠베크 가르텐슈타트 구간은 지상 노선이다.

노선색은 황색.

함부르크 지하철에서 가장 많은 승객들이 몰려드는 인기 노선이다. 특히 슈테른샨체 - 란둥스브뤼켄 - 시청 - 중앙역(남) 구간은 함부르크의 인기 관광지인 엘프필하모니, 하펜시티, 함부르크 항구, 슈테른샨체, 시청 등을 전부 지나가기 때문에 일년내내 관광객들로 꽉꽉 들어찬다고 보면 된다. 그밖에도 바름베크, 켈링후젠슈트라세, 슐룸프, 문츠부르크 등의 교통 집결지를 이어주는 반순환선이기 때문에 많은 경우에 이 노선 말고는 대안이 별로 없다.

또한 대부분의 구간이 1910년대에 함부르크 지하철 초창기부터 건설된 유서깊은 구간들로서 상당수가 지상 고가철도 구간이다. 독일어로 "고가철도"를 뜻하는 호흐반(Hochbahn)이라는 이름에 가장 잘 어울리는 게 이 노선인 셈이다.

2. 역 목록

역명 승강장 환승 노선 비고
바름베크 Barmbek │■││■│ S1
자를란트슈트라세 Saarlandstraße │■││■│
보르크베크 Borgweg │■│
지리히슈트라세 Sierichstraße │■│
켈링후젠슈트라세 Kellinghusenstraße │■││■│ U1
에펜도르퍼 바움 Eppendorfer Baum │■│
호에루프트브뤼케 Hoheluftbrücke │■│
슐룸프 Schlump │■││■│ U2
슈테른샨체 Sternschanze │■│ S2 S5
펠트슈트라세 Feldstraße (Heiligengeistfeld) │■│
장크트 파울리 St. Pauli │■│
란둥스브뤼켄 Landungsbrücken ■││■ S1 S3
바움발 Baumwall (Elbphilharmonie) ■││■
뢰딩스마크트 Rödingsmarkt ■││■
시청 Rathaus (Hamburg) ■││■
묀케베르크슈트라세 Mönckebergstraße ■││■
중앙역 Hamburg Hauptbahnhof Süd │■│ S1 S2 S3 S5 U1
베를리너 토어 Berliner Tor │■│ S1 S2 U2 U4
뤼베커 슈트라세 Lübecker Straße ■││■ U1
울란트슈트라세 Uhlandstraße (Hamburg) ■││■
문츠부르크 Mundsburg ■││■
함부르거 슈트라세 Hamburger Straße ■││■
덴하이데 Dehnhaide ■││■
바름베크[2] Barmbek │■││■│ S1
하비히트슈트라세 Habichtstraße │■│
반츠베크 가르텐슈타트 Wandsbek-Gartenstadt │■││■│ U1

[1] 도쿄도에이 오에도선과 비슷한 형태이다.[2] 이곳까지 오면 순환선을 따라 한바퀴 돌아서 기점으로 돌아온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