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한량(동음이의어) 문서 참고하십시오.
1. 개요
조선시대의 계층.한량(閑良) 혹은 활량(弓尺)은 무과의 합격자로서 전직(前職)이 없던 사람을 이른다.
2. 상세
선비가 문과반 일원으로서 벼슬을 하지 않았다면, 한량은 무과반 일원으로서 벼슬을 하지 않은 사람을 일컫는다.조선 초기 지방의 토호들의 자식 들 중 벼슬을 하지 않으나 무에 뜻이 있는 사람들에게 품계를 주어, 왜적들을 토벌하게 한 한량과가 한량의 기원이다. 즉, 현대로 치면 싸움을 잘하는 시의원 군의원 아들들에게 지역 방비에 힘쓰라고 예비역 장교 자리를 준 것이니, 이를 현대의 공무원 준비생으로 비유하는 것은 큰 잘못이다. 애초에 시의원 군의원 아들 정도 되려면 지역 유지정도는 되어야 했다.
과거시험이 있던 당시에는 생업을 종사하지 않고 무과를 준비하려면 어느정도 재산이 있는 집에서나 준비가 가능하였기에 규모가 꽤 있는 집안의 자재들이 많았으며 그렇기에 당시 지역 사회의 치안과 안보를 의외로 한량들이 담당하기도 했다. 실제로 과거 의병들의 중추적 역할을 맡은 게 이 한량이기도 했다.
단, 조선 후기에는 무과에 합격했지만 부임할 자리가 없어서 대기하는 사람을 한량으로 부르는 사례도 있었다고 한다.
현재는, 이성 간의 관계가 건전하지 못한 사람이나, 돈을 흥청망청 쓰고 노는 사람, 또는 백수처럼 직업을 구하지 못하고 노는 사람을 비하하는 말이기도 하다. '놈팽이'라는 말도 있다.
실질적으로 건달의 쓰임새와 유사한데, 건달이 하류계층의 무직자나 혹은 실제 폭력배를 에둘러 말할 때와 같이 가난하고 부정적인 의미로 쓰인다면 한량은 그와는 다르게 법의 테두리 안에서 돈 잘 쓰며 노는, 비교적 부유한 집안 출신의 젊은 무직자를 일컫는 말로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