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3 05:33:00

한국의학교육평가원

<colcolor=#ffffff>
한국의학교육평가원 (의평원)
韓國醫學敎育評價院(醫評院)
Korean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and Evaluation
(KIMEE)
파일:한국의학교육평가원 CI.svg
<colbgcolor=#04457a> 설립일 2004년 2월 27일
설립목적 국민 의료복지의 증진과 국민 보건 향상의 이념을 바탕으로, 의료 관련 서비스의 질 향상과 의료인력의 질적 보장을 위한 사업의 수행[1]
법적 근거 고등교육법》제11조의2 제2항[2]
《고등교육기관의 평가•인증 등에 관한 규정》제6조 제3항
의료법》제5조[3]
업종 의학 교육 관련 자문 및 평가업
전신 한국의학교육협의회 산하 한국의과대학인정평가위원회(1998년 7월 2일 ~ 2004년 2월 26일)
원장 허정식[4]
주무기관 교육부
기업구분 비영리단체
비전 신뢰받는 의학교육 평가인증 전문기관
소재지 서울특별시 중구 무교로 32 효령빌딩 602호
홈페이지 한국의학교육평가원 홈페이지
SNS
대표전화 02-795-159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기업 정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4457a><colcolor=#FFF> 주요 주주 해당사항 없음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직원 수 (2025년 기준)
자본금 (2025년 기준)
매출액 (2025년 기준)
영업이익 (2025년 기준)
순이익 (2025년 기준)
자산총액 (2025년 기준)
부채총액 (2025년 기준)
부채비율 (2025년 기준) }}}}}}}}}

1. 개요2. 연혁3. 이사회4. 역대 원장5. 인증기준6. 평가 인증의 역사7. 평가 인증 절차


1. 개요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은 한국 의학교육이 잘 이루어지는지 평가하는 기관이다.

2. 연혁

<rowcolor=#fff> 날짜 내용
2003.11.07. 재단법인 한국의학교육평가원 설립 발기인 대회
2003.11.21. 한국의학교육평가원 창립총회
2003.12.17. 제1차 정기 이사회(이사장: 김세곤, 원장: 이종욱 선출)
2004.01.25. 제1주기 5차년도 의과대학 인정평가 실시(14개 대학)
2004.02.27. 재단법인 한국의학교육평가원 설립 인가(보건복지부)
2004.04.29. 창립기념 심포지엄 개최(주제: 의료전문인 정신과 사회적 책무성)
2004.11.26. 의사면허 다단계시험 토론회
2005.01.19. 제2차 정기 이사회
2005.01.25. 의평원•의학원 DB구축사업(KOMSIS) 협약식
2005.02.23. 제1차 의과대학 인정평가 기준 개발 워크숍
2005.03. ~ 12. 제1주기 5차년도 조건부인증대학 재평가 실시(5개 대학)
2005.04.06. 제2차 의과대학 인정평가 기준 개발 워크숍
2005.11.03. 제2주기 인정평가를 위한 공청회
2006.01.25. 제3차 정기 이사회
2006.04.05. '기본의학교육평가사업단' 창단식
2006.06.14. KOMSIS 개발 실무자 설명회
2006.10.31. 의평원•의학원•학장협 DB구축사업(KOMSIS) 협약식
2006.12.01. 한국의학교육 현안에 관한 관계자 간담회
2007.01.24. 제4차 정기 이사회(이사장: 김성덕, 원장: 이무상 선출)
2007.03.27. 제2주기 1차년도 의과대학 인정평가 설명회
2007.03. ~ 12. 제2주기 1차년도 의과대학 인정평가 실시(5개 대학)
2007.10.29. 창립 3주년 기념 심포지엄 개최(주제: 의학교육의 국제화와 인정평가)
2007.12.07. 한국보건의료인인정평가기구 간담회
2008.01.29. 제5차 정기 이사회
2008.02.27. 2007년 인정평가 인정서 수여식 및 기자 간담회
2008.03.19. 제2주기 2차년도 의과대학 인정평가 설명회
2008.03. ~ 12. 제2주기 2차년도 의과대학 인정평가 실시(4개 대학)
2008.05.16. 학문분야별 전문평가인증기구 간담회
2008.06.14. 의학교육 평가의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워크숍
2008.10.13. 제6차 정기 이사회
2008.11.05. 전공의 교육의 국제화와 인정평가 심포지엄
2009.01.16. 인증평가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워크숍
2009.02.03. 제7차 정기 이사회
2009.02.10. 2008년 인증평가 인증서 전달식 및 2009년 인증평가 설명회
2009.03. ~ 12. 2009년도 의과대학 인증평가 실시(14개 대학)
2009.04.25. 제1차 의대/의전원 입학전형을 위한 입학사정관 양성 워크숍
2009.05.06. INQAAHE[5] 회원 가입
2009.05.29. 제1차 의대/의전원 입학전형을 위한 선발면접관 양성 워크숍
2009.06.11. 제25차 의학교육학술대회 Parallel Session 참여(주제: 의과대학 인증평가의 향후 활용방안)
2009.06.23. 바람직한 학생교육병원에 대한 공청회
2009.06.27. 제2차 의대/의전원 입학전형을 위한 입학사정관 양성 워크숍
2009.09.02. 제8차 정기 이사회
2009.09.05. 의학교육 학습평가의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워크숍
2009.09.11. 2009년 서면•현지방문평가단 워크숍
2009.10.30. 의대/의전원 입학전형을 위한 면접문항 개발 워크숍
2009.11.04. 평가인증결과 활용방안 심포지엄(한국의료인교육인증평가기구협의회 주최)
2009.11.18. 의평원 설립 5주년 및 인증평가 10주년 기념 심포지엄(주제: 인증평가의 현재와 미래)
2009.12.05. 컴퓨터 활용검사 이용을 위한 워크숍
2009.12.11. 제3~4차 인증평가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워크숍
2010.02.02. 제9차 정기 이사회(이사장: 이윤성, 원장: 안덕선 선출)
2010.02.10. 2009년 인증평가 인증서 전달식 및 2010년 인증평가 설명회
2010.03. ~ 12. 2010년도 의과대학 인증평가 실시(17개 대학)
2010.03.23. 2010년 전문위원 워크숍
2010.04.21. 2010년 발전위원 워크숍
2010.05.25. 제10차 정기 이사회
2010.05.28. 제5차 평가인증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워크숍
제2차 의대/의평원 입학전형을 위한 면접문항 개발 워크숍
2010.06.18. 제26차 의학교육학술대회 Parallel Session 참여(주제: 자체평가보고서 준비)
2010.06. ~ 09. 고려대 의대 교육과정 자문평가 연구 수행
2010.07.01. 제1차 의학교육인증단 전문위원 집중워크숍
2010.07.16. 2010년 제1차 방문평가단 워크숍
2010.08.01. 안덕선 원장, 서태평양의학교육협회(AWEWPR) 회장 당선 및 취임
2010.08.31. 제2차 의학교육인증단 전문위원 집중 워크숍
2010.09.10. 2010년 제2차 방문평가단 워크숍
2010.09.13. 제1차 의과대학 인증평가기준 개정을 위한 공청회
2010.11.15. 제2차 의과대학 인증평가기준 개정을 위한 공청회
2010.11.19. 인증평가 기준 및 규정 개정안 검토를 위한 집중 워크숍
2010.11.30. 2010년 의평원 심포지엄(주제: Post 2주기 평가인증)
2011.02.15. 2010년 인증서 전달식 및 기자 간담회
의료인 교육기관 인증 의무화를 위한 토론회
제11차 정기 이사회
2011.02.24. 제1차 졸업후 교육 합동워크숍
2011.03.17. 2011년 인증평가 설명회
2011.04.01. 제1차 교과부 고등교육 평가인증 인정기관 지정 관련 집중작업
2011.04.29. 제1차 교과부 인정기관 지정 관련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컨설팅
2011.06.06. 서태평양의학교육협회(AWEWPR) 의학교육 국제워크숍 주관
2011.06.11. 제27차 의학교육학술대회 Parallel Session 참여(주제: WFME Global Project)
2011.06.24. 제6차 평가인증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워크숍
2011.07.15. 제2차 교과부 고등교육 평가인증 인정기관 지정 관련 집중작업
2011.08.18. 제2차 졸업후교육 합동 워크숍
2011.08.23. 의료계 평가인증 제도 법제화를 위한 토론회
2011.09.17. 제1차 평가인증 학생보고서 TFT 워크숍
2011.10.10. 의료윤리연구회 창립 1주년 기념 심포지엄 참여(주제: 좋은 의사의 역할과 덕목)
2011.10.28. 의학교육 평가인증 기준 및 제도에 대한 워크숍
2011.10.29. 제2차 평가인증 학생보고서 TFT 워크숍
2011.11.09. 의료계 평가인증제도 법제화를 위한 기자 간담회
2011.11.16. 2011년 의평원 심포지엄(주제: 전문직업성 평생개발)
2011.12.06. 제2차 교과부 인정기관 지정 관련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컨설팅
2012.02.17. 제12차 정기 이사회
2012.02.21. 2011년 평가인증 인증서 전달식 및 2012년 의학교육 평가인증 설명회
2012.03. ~ 12. 2012년도 의학교육 평가인증 실시(6개 대학)
2012.03.30. 2012년 의평원 합동워크숍
지정기부금단체 지정
2012.04.04. 보건의료 5개 평가기관과 함께 '한국보건의료인평가원연합회' 출범
2012.05.31. 2012년 AMEWPR 이사회 개최(회장: 안덕선 원장)
2012.06.02. 제28차 의학교육학술대회 Parallel Session 참여(주제: Post 2주기 평가인증 제도, 무엇이 바뀌었나?)
2012.06.19. 의료인 국가시험 합격선 설정 현대화를 위한 국회 토론회(한국보건의료인평가원연합회 주최)
2012.07.14. 전공의 교육 심포지엄
2012.09.06. 2012년 신임위원 워크숍 및 서면•현지방문평가단 워크숍
2012.09.19. 보건의료 인력 양성과 질 관리 체계 현대화 방안 국회 정책 간담회(한국보건의료인평가원연합회 주최)
2012.09.20. 의학교육 평가인증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워크숍(고급과정)
2012.10.19. 제13차 정기 이사회
2012.12.10. 의평원 사무국 이전(서울 종로구 연지동)
2012.12.13. 2012년 의평원 심포지엄(주제: 의학교육의 수월성)
2013.01.14. 부실의대 학생 교육권 보호를 위한 국회 정책 간담회(한국보건의료인평가원연합회 주최)
2013.02.14. 서남대 의대 학생 교육권 보호를 위한 국회 정책 간담회(한국보건의료인평가원연합회 주최)
2013.02.21. 2012년 평가인증 인증서 전달식 및 2013년 의학교육 평가인증 설명회
2013.02.25. 제14차 정기 이사회(이사장: 이윤성, 원장: 안덕선 연임)
2013.03.26. 2013년 의평원 위원워크숍
2013.03. ~ 12. 2013년도 의학교육 평가인증 실시(8개 대학)
2013.04.26. 2013년 제1차 자체평가보고서 작성을 위한 워크숍
2013.05.03. 2013년 의평원 합동 워크숍
2013.05.31. 제29차 의학교육학술대회 Parallel Session 참여(주제: 위기의 의대 부속병원 교육체제)
2013.06.25. 교육병원 인증기준 개발을 위한 심포지엄
2013.06.27. 의학교육인증단 내부워크숍
2013.07.05. 2013년 제2차 자체평가보고서 작성을 위한 워크숍
2013.07.25. 전공의 사회적 역량교육을 위한 심포지엄
2013.09.06. 2013년 의학교육 평가인증 서면•현지방문평가단 워크숍

3. 이사회

4. 역대 원장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ffffff,#cccccc><table bgcolor=#ffffff,#cccccc>
파일:한국의학교육평가원 CI.svg
한국의학교육평가원
역대 원장
}}}
대수 성명 재임 기간
초대
이종욱 2004. 3. ~ 2007. 2.
제2대
이무상 2007. 3. ~ 2010. 2.
제3·4대
안덕선[6] 2010. 3. ~ 2016. 2.
제5·6대
김영창 2016. 3. ~ 2022. 2.
제7대
안덕선[7] 2022. 3. ~ 2025. 2.
제8대
허정식 2025. 3. ~ 현재

5. 인증기준

ASK 2019
평가영역 평가부문 평가인증기준 수
기본기준 우수기준 합계
1. 사명과 성과 1.1 사명 3 1 4
1.2 대학의 자율성 1 - 1
1.3 교육 성과 3 1 4
1.4 사명과 교육 성과 수립 1 1 2
소계 8 3 11
2. 교육과정 2.1 교육과정 3 1 4
2.2 과학적 방법 3 - 3
2.3 기초의학 2 1 3
2.4 의료인문학 1 1 2
2.5 임상의학술기 4 3 7
2.6 교육과정의 구조, 구성, 시간 2 2 4
2.7 교육과정 관리 2 - 2
2.8 의료행위와 보건의료분야의 연계 1 1 2
소계 18 9 27
3. 학생평가 3.1 평가방법 4 1 5
3.2 평가와 학습의 관계 4 2 6
소계 8 3 11
4. 학생 4.1 입학정책과 선발 1 3 4
4.2 입학정원 1 - 1
4.3 학생상담과 지원 6 3 9
4.4 학생대표 2 - 2
소계 10 6 16
5. 교수 5.1 채용과 선발 정책 6 1 7
5.2 교수활동과 개발 정책 6 1 7
소계 12 2 14
6. 교육자원 6.1 시설 8 1 9
6.2 임상실습 지원 3 1 4
6.3 정보 기술 1 2 3
6.4 의학연구와 의과학자 양성 3 1 4
6.5 교육 전문성 2 3 5
6.6 교육적 교류 1 1 2
소계 18 9 27
7. 교육평가 7.1 교육 모니터링과 평가에 대한 체제 3 1 4
7.2 교육자와 학생의 피드백 1 1 2
7.3 학생과 졸업생의 수행 능력 1 1 2
7.4 이해관계자의 참여 1 - 1
소계 6 3 9
8. 대학운영체계와 행정 8.1 대학운영체계 4 2 6
8.2 학장과 보직자 1 1 2
8.3 교육예산과 자원 할당 2 - 2
8.4 행정직원과 관리 1 1 2
8.5 보건의료분야와의 상호작용 1 1 2
소계 9 5 14
9. 지속적 개선 9.0 지속적 개선 3 11 14
소계 3 11 14
합계 36(개) 92 51 143

6. 평가 인증의 역사

  • 1997. 11. 27
한국의과대학신임제도(의과대학인정평가제도) 도입 결정
한국의과대학장협의회와 한국의학교육학회가 협동으로 개최한 제5차 의학교육 합동학술대회에서 의과대학 인정평가 제도를 도입하기로 합의하고, 한국의학교육협의회에 설립 추진을 위임함.
  • 1997. 12. 10
의과대학 신임평가위원회 구성 간담회
한국의학교육협의회, 한국의과대학장협의회 및 한국의학교육학회 임원간에 의과대학 신임평가위원회 구성을 위한 간담회에서 사업의 기초작업에 관하여 논의함.
  • 1997. 12. 20
의과대학 신임제도 추진위원회 및 추진실무위원회 구성
한국의학교육협의회 제3차 회의에서 의과대학 신임제도 추진위원회와 의과대학 신임제도 추진실무위원회를 구성하고 인준함.
  • 1998. 04. 08
의과대학 인정평가 시행에 관한 공청회 개최
의과대학 인정평가 시행에 관한 공청회를 가톨릭대학교에서 개최함.
  • 1998. 07. 02
한국의과대학인정평가위원회(ABMEK) 17인 위원 구성
대한의사협회 상임이사회에 17인의 한국의과대학인정평가위원회 위원을 추천하고 인준을 받음.

7. 평가 인증 절차

신청 > 자체평가 > 평가 실시 > 판정
* 신청* 1월 - 평가대학 결정 및 일정 등 통보* 2월 - 의학교육 평가인증 신청서 접수* 자체 평가* 3월 - 의학교육 평가인증 설명회* 5월 - 자체평가연구보고서 작성 워크숍* 7월 - 자체평가연구보고서 및 학생보고서 접수* 평가 실시* 8월 - 방문평가위원 선정 및 위촉* 8월 - 방문평가단 워크숍* 8 ~ 9월 - 서면평가* 9 ~ 10월 - 방문평가* 11월 - 최종평가 결과보고서 작성 및 검토* 판정* 12월 - 판정위원회 판정 및 결과 통보* 판정 후 15일 이내 - 재심사 신청* 재심 접수 후 45일 이내 - 재심사 및 재심사 결과보고서 작성* 보고서 접수 이후 - 이사회 판정 및 결과 통보* 판정 15일 후 - 평가인증 결과 외부 공시

2023년까지는 위 절차대로 했으나 2024년부터는 의대 증원으로 인해 절차가 많이 바뀌었다.
[1] 한국의학교육평가원 정관 제1장 제2조 "이 법인은 국민 의료복지의 증진과 국민 보건 향상의 이념을 바탕으로, 의료 관련 서비스의 질 향상과 의료인력의 질적 보장을 위한 사업의 수행을 목적으로 한다."[2] 교육프로그램 평가인증 인정기관 지정 제도[3] 평가인증기구의 인증을 받은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졸업자에 한하여 의사국가시험에 응시할 수 있도록 한 조항[4] 제주대 의대교수, 제주대병원 비뇨의학과[5] International Network for Quality Assurance Agencies in Higher Education[6] 고려의대[7] 연세의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