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7-31 12:20:08

프로토콘


암호화폐
Cryptocurrency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암호화폐 목록(2024년 1월 12일 기준, 시가총액 순위로 정렬)
파일:비트코인 아이콘.svg 비트코인 | 파일:Ethereum_.png 이더리움 | 파일:ICON-USDT.png 테더 | 파일:BNBcoin.png BNB | 파일:솔라나로고.png 솔라나
파일:xrp-logo2.png 리플 | 파일:USDC-logo.png USDC | 파일:ada-coin-logo.png 에이다(카르다노) | 파일:dogecoin.png 도지코인 | 파일:비트캐시로고.png 비트코인 캐시
파일:Litecoin.png 라이트코인 | 파일:EthereumClassic.png 이더리움 클래식 | 파일:스텔라루멘 아이콘.svg 스텔라루멘 | 파일:HBAR.png 헤데라 | 파일:스택스로고3.png 스택스
파일:비트코인 아이콘.svg 비트코인 SV | 파일:알고랜드 아이콘.svg 알고랜드 | 파일:NEO(암호화폐) 아이콘.svg NEO | 파일:ICON-EOS.png 이오스 | 파일:IOTA Mark White.png 아이오타
파일:클레이튼 신로고.png 클레이튼 | 파일:비트코인 골드 아이콘.svg 비트코인 골드 | 파일:베이직 어텐션 토큰 아이콘.svg 베이직 어텐션 토큰 | 파일:Qtum 아이콘.svg Qtum | 파일:NEM 아이콘.svg NEM
파일:finschialogoonly.png 핀시아 | 파일:Creditcoin_2021_02_21_new_mark.png 크레딧코인 | 파일:스테이터스 네트워크 아이콘.svg SNT | 파일:ICON-omisego.png 오미세고 | 파일:ICON-CVC.png 시빅
파일:카이버 네트워크 로고.png 카이버 네트워크 | 파일:trustverse-logo2.png 트러스트버스 | 파일:xpc.png XP­Chain | 파일:Gluwacoin logo.png 글루와코인
{{{#!wiki style="margin:-11px -11px -16px"<colbgcolor=#0c8275,#333><colcolor=#fff>관련 용어블록체인 · 스마트 컨트랙트 · 작업 증명 · 지분 증명 · 알트코인 · ICO · P2E · NFT · 탈중앙화
국내 주요 거래소파일:업비트 로고.svg 업비트 · 파일:빗썸 아이콘.svg 빗썸 · 파일:코인원 아이콘.svg 코인원 · 파일:코빗 로고.svg 코빗 · 파일:고팍스 로고.svg 고팍스
상위권 주요 글로벌 거래소파일:바이낸스 로고.svg 바이낸스 · Bybit · OKX · Bitget · Gate.io · KuCoin · Bitfinex · Crypto.com · HTX
관련 이슈그래픽 카드 채굴 대란 (2021년 · 2022년) · 대한민국의 암호화폐 규제 논란 · 김치 프리미엄 ·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사건/사고비트코인 플래티넘 사건 · 2022년 LUNA 대폭락 · FTX 파산}}}}}}}}}}}}
프로토콘
Protocon
파일:프로토콘 로고.png
사용국 전 세계
분류 암호화폐
기호 PEN
발행 방식 PoC (Proof of Capability)
상장거래소 DigiFinexBibox
현재 발행량 5,000,000,000
공식 홈페이지
공식블로그
미디엄
트위터
텔레그램(글로벌)
텔레그램(한국)
유튜브
1. 개요2. 등장배경3. 특징
3.1. ISAAC+ 합의 프로토콜3.2. Mitum
3.2.1. Mitum의 특징
3.3. PoC (Proof of Capability)3.4. Model
3.4.1. 모델의 종류
3.5. FeeFi (Fee Financing)3.6. PEN (Protocol Economy)
4. 구성
4.1. 생태계
5. 주요활동6. 로드맵

[clearfix]

1. 개요

프로토콘(Protocon)은 “Protocol” 과 “Economy”의 합성어로 프로토콜 기반으로 스스로 운영되는 디지털 경제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블록체인 프로젝트이다. 프로토콘은 보안성 문제와 불안정한 수수료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한다. 보다 안전한 데이터 처리, 블록체인의 실사용성 확보 및 생태계 조성, 높은 접근성의 UX/UI 제공, 사용자 참여 유도 및 보상, 빠른 처리 성능과 탈중앙화 그리고 마지막으로 장기 지속 가능한 프로젝트 구조 구축을 우선으로 하고 있다. 사회 전체에 완전한 신뢰 레이어를 쌓아가는 작업을 통해 블록체인 기술이 사회 전반에 스며드는 ‘블록체인 3.0’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2. 등장배경

1세대 블록체인 비트코인을 시작으로 이후 등장한 2세대 블록체인인 이더리움 역시 DAO 사태와 하드포킹을 포함한 숱한 사고들을 겪으면서도, 디파이(DeFi)라는 새로운 산업 영역을 탄생시키며 토큰 발행 플랫폼에서 탈중앙화 자산관리 플랫폼으로 진화하는 중이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뒤를 잇는 3세대 블록체인들은 꾸준히 자신들이 정의한 문제를 풀기 위해 아직 존재하지 않는 길을 더듬어가는 중이다. 아쉽지만 이중 누군가가 블록체인 산업이 풀어야할 문제들에 대한 해답을 제시했다고 보기에는 아직 이르다.

공동체를 구성하는 개인들 사이의 또는 개인과 권력기관 사이의 약속, 합의, 계약이 중개인과 대리인의 개입이 최소화된 형태로 작동하는 프로토콜 경제, 공동체가 합의한 대로 시스템이 작동하는 프로토콜 기반 사회를 구축하기 위해서 프로토콘은 다음과 같은 몇가지 사항들이 보완되어야 한다고 판단했다.

첫번째, 데이터 처리 성능 측면에서 현수준의 경제나 사회 시스템을 작동시키기에 부족하지 않은 정도 혹은 그에 근접하는 정도의 성능을 확보해야 한다.

두번째, 비용 측면에서 비교적 저렴하고 안정적인 수준으로 블록체인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만약 블록체인 사용 비용이 급격하게 변동하며 널뛰기를 한다면 예측가능하고 지속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 이러한 급격한 변동성 덕분에 블록체인은 더디게 확산되고 있다.

세번째,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들을 안전하게 다룰 수 있고, 프로토콜의 확실한 작동을 보장하는 실행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통상 이것은 이더리움이 제안한 ‘스마트 컨트랙트’라는 방법론으로 구현되지만, 기간의 경험은 이더리움 방식의 스마트 컨트랙트가 가진 취약성을 반복적으로 확인해주었다. 따라서 스마트 컨트랙트의 보안 취약성을 보완할 수 있는 개선된 방법론이 필요하다.

네번째, 네트워크 운영권이 특정인 또는 소수에게 귀속될 수 없는 탈중앙화된 네트워크여야 한다. 한동안 정부와 기업들이 프라이빗 블록체인으로 다양한 프로젝트들을 진행해왔고 그것은 그것대로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이미 시장은 프라이빗 블록체인이 탈중앙화 블록체인의 신뢰성을 뛰어넘을 수 없다고 평가하고 있다. 블록체인에서 탈중앙성은 이상론자들의 고매한 이상이나 도덕적인 우위, 멋있는 선전문 수준이 아니라, 특정인 또는 생태계 내의 소수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장악하거나 독점적인 권력을 행사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단일지점 장애(Single-Point Failure) 문제를 상당한 수준으로 극복해주는 구조적 장치다. 따라서 탈중앙성 확보는 블록체인의 존재 목적인 ‘신뢰’와 직결되어 있는 과제다.

다섯번째, 블록체인이 적용된 서비스들의 UI/UX 문제를 반드시 짚어야 한다. 이것은 크게 두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하나는 블록체인을 사용할 때 각 개인들이 보안키 또는 개인키(Private Key)를 직접 관리하는 방법을 익히고 관리의 리스크를 떠안아야 한다는 점이다. 처음 접하는 사람에게는 굉장히 낯설고 번거로우며 부담스러운 일이다. 다른 하나는 dApp 서비스 토큰을 사용하는데 있어 메인넷 토큰을 수수료로 내야한다는 점이다. 이것은 비유하자면 원화를 지불하기 위해 어디선가 달러를 구해서 수수료로 입금해야 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사소해 보이는 수수료 문제는 블록체인의 사용성을 어렵게 만들고 dApp 서비스 및 블록체인 생태계의 확장을 가로막는 가장 큰 걸림돌 중 하나다.

위 다섯 가지 문제들은 이미 블록체인 산업에서 오래전부터 풀어야 할 ‘숙제’로 제시되어 온 것들이다. 프로토콘은 위 문제들을 종합적으로 풀어낼 것이다.

3. 특징

3.1. ISAAC+ 합의 프로토콜

ISAAC+는 PBFT(Practical Byzantine Fault Tolerance) 알고리즘을 수정 개선한 합의 프로토콜로, 블록의 Finality를 보장하고 제한된 Fault Tolerance 안에서 Liveness와 Safety를 보장한다. 프로토콘은 블록체인을 산업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빠른 처리 속도와 대용량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PBFT 기반 합의 프로토콜이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3.2. Mitum

파일:미텀 레이어.png
프로토콘은 블록체인 미텀(Mitum)을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로, 미텀의 합의 프로토콜인 ISAAC+는 PBFT를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미텀 메인넷은 실제 산업에 사용할 수 있도록 대규모 데이터 처리에 적합하게 설계 되었으며, 블록체인 기술을 필요로하는 모든 영역에 사용될 수 있도록 범용성을 확보했다.

3.2.1. Mitum의 특징

  •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노드들을 Consensus Node에서 자동으로 탈퇴 시키거나 가입시켜 탈중앙화 네트워크를 유지하고 PBFT 모델의 취약점인 Liveness 보완
  • Suffrage Group은 오롯이 Consensus와 모델 데이터 처리에만 집중함으로써 불필요한 트래픽을 줄여 처리 성능 상승
  • Non-Consensus Node Group을 도입해 커뮤니티 참여 활성화

3.3. PoC (Proof of Capability)

PBFT 알고리즘의 본질적인 측면에서 보자면 블록 생성 확률을 최대한 랜덤하게 분포시키는 것이 보안상 더 유리하기에, 전체 네트워크의 안전성과 신뢰성이라는 측면에서 보자면 합의 알고리즘에 지분의 이해관계를 결합시켜 블록 생성의 랜덤성을 훼손하는 PoS 또는 DPoS는 PBFT와 궁합이 잘 맞는 구조는 아니다. 이런 측면에서 우리는 PoS나 DPOS 구조가 아니라 순수하게 노드들의 처리 능력과 네트워크의 안전성을 중심으로 노드들을 선별하는 PoC(Proof of Capability) 구조를 채택했다.

PoS나 DPOS와 같은 블록체인의 알고리즘 구조는 단순히 블록 생성 및 블록 보상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생태계 구성 방법 및 생태계 참여에 대한 보상 구조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즉 PoS나 DPOS 구조에서는 노드가 보유한 지분량이 중요하기 때문에 토큰 예치(Staking) 구조가 노드들을 중심으로 짜여지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생태계 전체에서 토큰 보유자들이 노드 운영자들에게 의존하도록 함으로써 노드 운영자들의 권한을 더 강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우리는 모든 노드들이 동등한 권한과 책임 그리고 동등한 보상을 받을 수 있는 PoC 구조를 선택함으로써 노드들을 중심으로 한 토큰 예치 구조를 채택하지 않을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노드 운영자들 중심의 거버넌스 구조를 만들지 않고 생태계 이해관계자 전체가 참여하는 거버넌스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되었다.

3.4. Model

모델(Model)은 블록체인 코어가 제공하는 기능들을 활용하는 프레임워크를 통해 다양한 비즈니스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형태의 오퍼레이션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이다. '모델' 역시 이더리움의 스마트 컨트랙트의 특징들을 모두 호환하고 있다. 다만, 이 두 가지의 가장 큰 차이점은 '누구나 블록체인 상에서 트랜잭션을 일으킬 수 있는가’에서 구분된다. 이더리움의 스마트 컨트랙트는 가스 수수료만 지불한다면 누구든지 제한 없이 스마트 컨트랙트를 작성할 수 있으나, 언뜻 자유로워 보이는 이 방식에는 크게 두 가지 문제점이 발생한다.
  • 적절치 못하거나 악의적인 스마트 컨트랙트가 작성되더라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실행된 이후에야 알 수 있다. 페널티 역시 부과되지 않는다.
  • 옳지 않은 스마트 컨트랙트가 배포되는 경우 스마트 컨트랙트 작성자, 노드 운영자, dApp 운영자 그리고 사용자 등 네트워크 생태계 전체가 피해를 보게된다.

프로토콘은 이더리움의 스마트 컨트랙트가 가진 기능들을 적용하는 것과 덧붙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방법론을 모델에 적용하였다. 바로 '모델'의 채택, 운영, 보완 및 업데이트와 더불어 블록체인의 안정성 및 가치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들은 노드 운영자들의 승인을 통해서만 가능하도록 보안 장치를 도입했다. 이를 통해 프로토콘은 스마트 컨트랙트의 '배포 자유도'의 기능은 제한하지만 개발과 관련된 '구현 자유도'는 보장하며 이더리움의 스마트 컨트랙트 대비 높은 보안성을 확보했다.

3.4.1. 모델의 종류

  • 토큰 모델: 메인넷 위에서 토큰의 발행 및 전송, 그리고 복수의 토큰 생성 기능을 지원하는 모델 (Multi-token issuing)
  • 수수료 모델: 토큰 홀더들이 직접 토큰을 예치하고 유동성과 사용성 개선에 가담하는 대가를 나누어 갖는 모델
  • 데이터 모델: 데이터나 문서의 원본 확인, 문서 수정 이력 관리 등 디지털 데이터의 원본, 고유성, 유일성 등을 보장하는 모델
  • 디지털 자산 모델: 현실의 자산을 기반으로 현실 자산에 대응하는 고유한 디지털 자산을 생성 및 기존에 보유하고 있는 디지털 자산의 관리를 지원하는 모델
  • 투표 모델: 일반적인 온라인 투표에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모델로, 블록체인 상에서 기명 투표 및 무기명 투표 기능을 지원하는 모델
  • DID 모델: 글로벌 사용자 ID, 인증 서비스를 제공. 데이터를 인증하는 용도뿐만 아니라 모든 dApp과 연동하여 디지털 신원 인증의 도구로 활용

3.5. FeeFi (Fee Financing)

프로토콘은 아래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Fee Financing(FeeFi)이라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한다.
  • 사용자들이 별도의 메인넷 토큰을 구하지 않고 dApp 토큰 자체로 수수료를 지불
  • 블록 보상 및 수수료 등 블록체인이 만들어낸 부가가치를 생태계 참여자 전체에 배분
  • 수수료를 법정화폐(달러) 기준 일정하게 유지하여 ‘서비스로서의 블록체인’을 가능하게 함
프로토콘은 사용성 개선을 위해 dApp 사용자들이 메인넷(PEN) 토큰 없이, dApp 토큰만을 가지고 수수료를 지불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구조를 구축한다. 우선 PEN 토큰을 예치하는 수수료 교환소를 만들어 PEN 토큰 보유자들이 PEN을 예치하여 유동성을 공급할 수 있는 풀을 생성한다. 이 교환소에서 dApp 사용자들이 dApp 토큰으로 지불한 수수료를 PEN 토큰으로 자동으로 교환해 준다. dApp 사용자들은 PEN 토큰으로 교환해야 하는 번거로움을덜 수 있고, PEN 홀더들은 PEN 토큰 예치를 통해 수수료 문제 해결 참여에 대한 보상을 얻을 수 있다.

3.6. PEN (Protocol Economy)

PEN토큰은 프로토콘의 메인넷 토큰으로, PEN은 Protocol Economy의 약자이기도 하다. PEN토큰은 dApp 사업자 및 사용자들이 dApp 서비스와 토큰을 사용하기 위한 블록체인 메인넷 사용 수수료 지불 용도로 주로 쓰이며. 또한 노드 운영에 참가하기 위한 담보 예치금으로도 활용된다.

4. 구성

4.1. 생태계

파일:프로토콘넷 생태계 구조.png

프로토콘의 블록체인 생태계는 재단을 중심으로 하는 프로젝트 리더 그룹,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운영 및 관리하는 노드 운영자들, 오픈소스 개발에 참여하는 개발자 커뮤니티, 토큰 보유자를 중심으로 한 커뮤니티, dApp 서비스 파트너 등 다양한 참여자들이 존재하며, 이들은 생태계 내에서 각각 서로 다른 역할을 담당하는 여러 참여자들이 명시적으로 또는 암묵적으로 협력하고 경쟁하고 견제하면서 작동한다.
프로토콘에는 3가지 유형의 노드가 존재한다. 첫번째는 블록체인에서 가장 중요한 ‘합의’를 만들어내는 역할을 담당하는 Suffrage Group 노드로, 프로토콘에서는 이들을 일꾼(Worker)이라 부른다. PBFT 알고리즘의 특성상 Suffrage Group의 노드 숫자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PoW는 비록 노드수는 제한이 없지만 처리 성능 자체에 한계가 있고, 잘 구현된 PBFT 알고리즘은 최대 수천 tps까지 처리가 가능 하지만 노드수를 무한대로 늘릴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일반적으로 PBFT는 노드수와 성능이 반비례하기 때문에, 안정성, 경제성, 탈중앙성 등을 고려해 최적의 조합을 찾아내야 한다. 프로토콘은 베타넷 단계에서 점진적으로 네트워크를 확대해 가면서 여러가지 테스트와 최적화 작업을 통해 적절한 수준의 노드수를 확보할 예정이다. 아울러 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수준의 네트워크 성능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따라서 Suffrage 노드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 이상의 처리 성능과 안정적인 네트워크 대역폭을 확보해야 한다.
  • Non-Consensus Node Group: 노드 운영이 가능한 수준의 기술 지식을 가진 일반인들이 참여하는 그룹으로 합의된 블록을 백업하고 외부에서 데이터 조회 요청이 올 경우 데이터를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 Suffrage Group: 일정 수준 이상의 처리 성능과 안정적인 네트워크 대역폭을 확보한 노드 그룹으로 특정 시점에 Consensus에 참여하여 블록(block) 생성에 기여한다.
  • Acting Suffrage Group: Suffrage Group 중 Round가 바뀔 때마다 Random하게 선택되는 그룹으로 그룹의 멤버 중 하나가 Proposer가 되어 나머지 노드들에게 메세지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5. 주요활동


* 프로토콘넷·BTS-WALLET, 블록체인 기술 협력 사업 추진을 위한 협약 체결
2021년 06월 18일, 블록체인 프로젝트 프로토콘넷이 DID 플랫폼 BTS Wallet과 DID 기술 관련 사업 기회 및 협력 사업 추진을 위한 전략적 제휴 양해 협약서(MOU)를 체결하였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프로토콘넷의 블록체인 기술과 BTS-WALLET의 디지털 신원분산증명 (Decentralized Identifier, 이하 DID) 서비스를 접목하여 안정적인 DID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협약에 따라 양사는 ▲DID 서비스 개발 및 확산을 위한 협조 ▲DID 솔루션 지원 ▲블록체인 기술 지원 ▲블록체인 기술 공동 개발 등 상호 발전적 관계로 긴밀히 협의하기로 하였다.
* 프로토콘넷, 히든픽과 MOU "NFT 시장 활성화
2021년 07월 07일, 프로토콘넷(Protocon)이 NFT(대체불가능토큰) 아이템 거래 플랫폼 '히든픽'(Hidden Pick)을 운영하는 아타르애드와 NFT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양사는 ▲블록체인 기반 NFT의 제작 및 유통 ▲히든픽의 NFT 서비스 관련 협력 ▲블록체인 기술 협력 ▲블록체인 기술 공동 개발 등에 긴밀히 협의할 방침이다. 히든픽(Hidden Pick)은 블록체인을 통해 게임 아이템, 한정판 카드, 디지털 굿즈 등을 쉽고 재밌게 생성해 판매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NFT 기획부터 제작까지 지원하며 위변조가 불가능한 NFT 서비스를 지원한다. 특히 블라인드 박스, 랜덤 카드와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 프로토콘 메인넷, 크립토 전문펀드 블록워터로부터 전략적 투자 유치
프로토콘은 크립토펀드 블록워터 매니지먼트로부터 전략적 투자를 유치했다고 8일 밝혔다. 투자를 진행한 블록워터 매니지먼트는 지난 2018년 출범한 크립토 전문 헤지펀드다. 이오스(EOS) 프로젝트에 초기 투자를 단행했던 곳으로, 이후 팬텀 등 블록체인 프로젝트 30여 개를 이끈 바 있다. 슈퍼트리의 플레이댑(PLA) 토큰 세일을 자문하기도 했다. 이이삭 블록워터 이사는 “프로토콘은 블록체인 원천기술을 직접 개발한 프로젝트로, 글로벌 메인넷 시장에서 충분한 경쟁력을 보유한 상태”라고 전했다.
* 프로토콘-크립월드 “블록체인과 메타버스의 결합”
블록체인 프로젝트 ‘프로토콘’이 메타버스 플랫폼 ‘크립월드’와 블록체인과 메타버스 기술 관련 다양한 사업 기회를 모색하기 위한 전략적 제휴 양해 협약서(MOU)를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협약에 따라 양사는 ▲메인넷 운영 기술 제공 ▲크립토 펀드 조성 ▲노드 및 서버 운영 관리 등 상호 발전적 관계로 긴밀히 협의하기로 했다.
* 700만 이용자 확보 '아싸 노래방', 블록체인·메타버스 타고 글로벌 확장”
'매직씽 아싸 노래방'으로 700만 사용자를 확보한 유명 브랜드 '아싸(ASSA)'가 한국 토종 메인넷 프로토콘(Protocon)과 손잡고 '블록체인 및 메타버스 사업'에 본격 진출한다. 음악테마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아싸플레이(ASSAPLAY)' 이경호 회장은 10일 "세계를 휩쓰는 한류 물결에 힘입어 온라인·오프라인 연계(O2O) 융합 브랜드로 거듭난 아싸가 블록체인과 메타버스를 결합,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시장으로 나아갈 절호의 기회"라며 "탁월한 기술력을 가진 프로토콘과 함께 세계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 프로토콘 기술 적용한 크립월드용 메인넷 공식 가동
프로토콘은 지난 2019년 5월부터 블록체인 원천기술을 개발해온 메인넷 프로젝트다. 프로토콘 메인넷은 PBFT 기반으로 최대 5,000tps의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며 블록체인의 고질적 문제인 수수료 문제를 해결한 프로젝트로 알려져 있다. 프로토콘과 기술 협력을 맺은 크립월드는 현물자산인 금을 기반으로 한 암호화폐 거래와 현물 거래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금 거래 서비스다. 오프라인 중심의 금 거래 시장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해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연결된 ‘미래형 디지털 금은방 시스템’을 표방한다. 메타버스와 결합해 디지털 금은방 시스템을 구현하고 있으며 금지금 기반 스테이블 코인 CWG가 주요 거래 수단으로 활용된다.
* 프로토콘–코리아앱과 블록체인 사업 협력 MOU 체결
퍼블릭 블록체인 프로토콘의 주 개발사 소셜인프라테크(대표이사 전명산)가 블록체인 기반 응용 프로그램 개발 회사인 코리아앱(대표이사 정학수)과 블록체인 기술 관련 다양한 사업 기회를 모색하기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협약에 따라 양사는 ▲NFT 및 메타버스 생태계 내에 신규사업 모색 ▲온/오프라인 결제 솔루션 개발 협력 ▲블록체인 기술 협력 ▲KIOSK 결제 관련 기술 및 인프라 지원 등을 협력하게 된다. 전명산 대표는 “코리아앱은 뛰어난 기술력을 바탕으로 블록체인 기반 사업 분야에서 온·오프라인을 잇는 다양한 경험과 운영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며 “앞으로 NFT 및 메타버스 기술 고도화, 블록체인 기반 결제 시스템 구축 등에 걸쳐 협력을 공고히 하고 프로토콘 생태계를 넓혀가는데 역량을 집중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6. 로드맵

프로토콘의 로드맵은 공식 홈페이지와 백서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