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4 13:13:41

프레드리크 아우르스네스


1 트루빈 · 3 오브라도르 · 4 [[안토니우 실바|안토니우 S.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83030; font-size: .8em"]] · 5 바레네체아 · 6 · 8 아우르스네스 · 9 이바노비치
10 수다코우 · 11 루케바키오 · 14 파블리디스 · 16 마누 · 17 데디치 · 18 바헤이루 · 20 리차르드 리오스
21 시엘데루프 · 24 사무엘 S. · 25 프레스티아니 · 26 · 27 브루마 · 30 [[니콜라스 오타멘디|오타멘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83030; font-size: .8em"]] · 39 H. 아라우주
44 토마스 A. · 60 N. 펠릭스 · 64 G. 올리베이라 · 68 J. 벨로주 · 71 레안드루 · 76 마르케스 · 84 헤구 · 86 프리오스테
<colcolor=#fff> 파일:UEFA EURO POR.png 주제 무리뉴 {{{#!folding [ 스태프 더보기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프레드리크 아우르스네스의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베스트팀
파일:프리메이라 리가 벳클릭 로고.svg
}}} ||
파일:Fredrik Aursnes(25-26).jpg
SL 벤피카 No. 8
프레드리크 아우르스네스
Fredrik Aursnes
<colbgcolor=#c30000> 출생 1995년 12월 10일 ([age(1995-12-10)]세)
노르웨이 하라이트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노르웨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노르웨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81cm / 체중 71kg
포지션 중앙 미드필더, 풀백[1], 윙백
주발 오른발 (양발)
등번호 노르웨이 대표팀 - 7번, 16번
몰데 FK - 17번, 35번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 8번, 17번
SL 벤피카 - 8번
유소년 클럽 FC 일베스 (2008~2011)
IL 호드 (2011)
소속 클럽 몰데 FK (2012~2021)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2021~2022)
SL 벤피카 (2022~ )
국가대표 20경기 1골 (노르웨이 / 2021~2024)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기록
5.1. 대회 기록5.2. 개인 수상
6. 같이 보기

1. 개요

노르웨이 국적의 SL 벤피카 소속 축구 선수. 주 포지션은 중앙 미드필더.

2. 클럽 경력

2.1. 몰데 FK

2012년 1월, 자국 유스팀 IL 호드에서 몰데 FK로 이적한 후 5년 동안 노르웨이 탑급 미드필더로 활약했다.

2.2.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2021년 8월 8일, 에레디비시의 페예노르트로 이적했다. 첫 해임에도 불구하고 팀의 미들 자원으로서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결승 진출에 크게 기여했다.

2022년 여름 이적시장 동안 SL 벤피카와의 링크가 진해진 상태였으며, 6월부터 이적설이 나오다가 7월 후반부터 협상에 들어갔다.

2022년 8월 22일, 로마노의 HWG가 뜨며 이적이 확실시 되었다.

2.3. SL 벤피카

현지 시각 2022년 8월 24일, SL 벤피카와 5년 계약을 체결했다. 이적료는 €13M.

2.3.1. 2022-23 시즌

첫 시즌부터 중앙 미드필더, 수비형 미드필더, 윙어, 풀백 등 여러 포지션을 오가며 좋은 활약을 보여주었다.

2.3.2. 2023-24 시즌

다음 시즌 역시 유틸리티 플레이어이자 주전으로서 대부분의 일정을 함께 했다.

2.3.3. 2024-25 시즌

2024년 12월 12일, 벤피카와 2029년까지 재계약을 하였다.

3. 국가대표 경력

노르웨이 연령대 대표팀을 거쳐왔고, 2021년 6월 6일 그리스와의 친선경기에서 후반 24분 파트리크 베르그 대신 교체 투입되며 성인 대표팀 데뷔전을 치렀다.

2024년 3월 12일, 국가대표팀에서 은퇴한다고 발표했다.#

4. 플레이 스타일

아우르스네스는 주 포지션은 3선에서 활약하는 중앙 미드필더지만, 전술에 따라서 좌측에서 뛰는 측면 미드필더나, 좌우 풀백까지 소화 가능하다. 4~5개 이상의 포지션을 소화할 수 있는 유틸리티 플레이어라는 점에서 스쿼드를 구성할 때 엄청난 이득을 가져다준다.

유틸리티성과 더불어, 아우르스네스의 가장 뚜렷한 강점은 바로 볼 배급 능력. 경기장을 바라보는 시야가 넓어서 패스를 통해 공을 배급하는 능력이 상당히 안정적이다. 경기당 65회의 패스를 시도할 만큼 패스를 많이 시도하는 선수인데, 매 시즌 80%가 넘는 전진 패스 성공률을 기록할 만큼 전방으로 공을 보내는 것에 자신감을 드러낸다. 패스 능력이 워낙 좋다 보니, 상술했던 다양한 포지션에서 가리지 않고 양질의 패스를 뿌려줄 수 있다. 중앙 미드필더로는 좌우중앙을 가리지 않는 양질의 중장거리 패스를 뿌려줄 수 있고, 풀백으로 나올 때에는 후방 빌드업을 주도하는 핵심으로서 안정감을 불어넣어준다.

미드필더로서 많은 활동량을 가져가는 선수로, 뛰어난 체력과 전술적 이해도를 지닌 덕분에 90분 동안 감독이 요구하는 전술적인 움직임과 압박을 성실하게 수행한다. 수비 시에는 압박뿐만 아니라, 역습 상황에서 위치를 선점하고 배후 공간을 커버하는 움직임 역시 우수하다.

다만, 미드필더로서 직접적인 스탯을 생산하는 능력은 부족하고 화려한 개인 기술이나 빠른 속도, 압도적인 신체 능력을 보유하고 있지는 않아서 솔로 플레이를 통한 번뜩임을 기대하기는 힘들다.

5. 기록

5.1. 대회 기록

5.2. 개인 수상

6. 같이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등번호 국적 포지션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비고
1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GK 아나톨리 트루빈 Anatoliy Trubin
3 파일:스페인 국기.svg DF 라파엘 오브라도르 Rafael Obrador
4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DF 안토니우 실바 António Silva 부주장
5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MF 엔소 바레네체아 Enzo Barrenechea [a]
6 파일:덴마크 국기.svg DF 알렉산데르 바 Alexander Bah
8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MF 프레드리크 아우르스네스 Fredrik Aursnes
9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FW 프란요 이바노비치 Franjo Ivanovic
11 파일:벨기에 국기.svg MF 도디 루케바키오 Dodi Lukebakio
14 파일:그리스 국기.svg FW 반젤리스 파블리디스 Vangelis Pavlidis
16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MF 마누 실바 Manu Silva
17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DF 아마르 데디치 Amar Dedic
18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MF 레안드루 바헤이루 Leandro Barreiro
20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MF 리차르드 리오스 Richard Ríos
21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MF 안드레아스 시엘데루프 Andreas Schjelderup
24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GK 사무엘 소아르스 Samuel Soares
25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FW 잔루카 프레스티아니 Gianluca Prestianni
26 파일:스웨덴 국기.svg DF 사무엘 달 Samuel Dahl
27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FW 브루마 Bruma
30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DF 니콜라스 오타멘디 Nicolás Otamendi 주장
44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DF 토마스 아라우주 Tomás Araújo
64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DF 곤살루 올리베이라 Gonçalo Oliveira
76 파일:브라질 국기.svg DF 구스타부 마르케스 Gustavo Marques
84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MF 주앙 헤구 João Rego

[a] 아스톤 빌라 FC에서 임대

}}}}}}}}} ||

[1] 좌우 풀백 모두 소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