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 | |||
제1포병여단 | 제2포병여단 | 제3포병여단 | |||||
파일:제5포병여단 마크.png | | | |||||
제5포병여단 | 제7포병여단 | 화력여단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사단 포병여단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 | |||
수도기계화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1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3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5보병사단 포병여단 | ||||
| | | | ||||
제6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7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8기동사단 포병여단 | 제9보병사단 포병여단 | ||||
| | | | ||||
제11기동사단 포병여단 | 제12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15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17보병사단 포병여단 | ||||
| | | | ||||
제21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22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25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28보병사단 포병여단 | ||||
| | | | ||||
제60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66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72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73보병사단 포병여단 | ||||
| |||||||
제75보병사단 포병여단 |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 |||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1. 개요
포병여단(砲兵旅團, Artillery Brigade)은 여단급 포병 부대 편성이다. 군단 예하 독립이거나 사단 직할로 편성되어 있다.2. 편재
일반적으로 군단예하 포병여단장은 준장이 보임하며 사단예하 포병여단장은 대령이 보임한다.일부 군단 예하 독립포병여단의 경우 포병단이 편제되어 있으며 일부 크기가 작은 독립포병여단 및 사단 예하 포병여단의 경우 포병단 편제를 생략하고 포병여단-포병대대-포대 식으로 편성된다. 원래는 기계화보병사단 예하 포병제대들만 모종의 이유로 용어 통일을 위해 사단 포병여단으로 칭했으나, 국방개혁 2.0에 따라 한국군도 여단전투단 편제를 전 부대로 확대하기로 결정하였고 선제적으로 보병사단 포병연대를 포병여단으로 개칭했다.[1]
3. 대한민국 포병여단의 목록
3.1. 대한민국 육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 | |||
제1포병여단 | 제2포병여단 | 제3포병여단 | |||||
파일:제5포병여단 마크.png | | | |||||
제5포병여단 | 제7포병여단 | 화력여단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사단 포병여단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 | |||
수도기계화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1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3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5보병사단 포병여단 | ||||
| | | | ||||
제6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7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8기동사단 포병여단 | 제9보병사단 포병여단 | ||||
| | | | ||||
제11기동사단 포병여단 | 제12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15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17보병사단 포병여단 | ||||
| | | | ||||
제21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22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25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28보병사단 포병여단 | ||||
| | | | ||||
제60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66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72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73보병사단 포병여단 | ||||
| |||||||
제75보병사단 포병여단 |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 |||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 군단예하 독립여단
- 사단예하 여단[2]
- 수도기계화보병사단 포병여단 (수도기계화보병사단)
- 제1보병사단 포병여단 (제1보병사단)
- 제3보병사단 포병여단 (제3보병사단)
- 제5보병사단 포병여단 (제5보병사단)
- 제6보병사단 포병여단 (제6보병사단)
- 제7보병사단 포병여단 (제7보병사단)
- 제8기동사단 포병여단 (제8기동사단)
- 제9보병사단 포병여단 (제9보병사단)
- 제11기동사단 포병여단 (제11기동사단)
- 제12보병사단 포병여단 (제12보병사단)
- 제15보병사단 포병여단 (제15보병사단)
- 제17보병사단 포병여단 (제17보병사단)
- 제21보병사단 포병여단 (제21보병사단)
- 제22보병사단 포병여단 (제22보병사단)
- 제25보병사단 포병여단 (제25보병사단)
- 제28보병사단 포병여단 (제28보병사단)
- 제60보병사단 포병여단 (제60보병사단)
- 제66보병사단 포병여단 (제66보병사단)
- 제72보병사단 포병여단 (제72보병사단)
- 제73보병사단 포병여단 (제73보병사단)
- 제75보병사단 포병여단 (제75보병사단)
- 기타
3.2. 대한민국 해병대
3.3. 대한민국 공군
[1] 다만 연대에서 여단으로 이름만 바뀌고 끝이 아니라, KH-179를 비롯한 견인곡사포가 모조리 K9, K55A1으로 세대교체 되고, 여단본부에는 K-239 천무 감편대대(12문)와 자체 대포병레이더를 운용하는 관측반이 추가된다. 물론 지휘관은 포병연대 시절과 동일한 대령.[2] 한국식 BCT 계획 때문에 여단의 이름을 가지고 있을 뿐 기존 보병사단 예하 포병연대 시절과 똑같이 대령이 보임된다. 다만 국방개혁 2.0에 따라 각 사단 포병에도 K-239 천무 감편대대 12문이(지휘관 소령) 배치되며, 천무 차량을 기반으로 개발된 대포병레이더를 함께 운용하며 군단 포병여단의 관측대대가 도와주지 않아도 자체적으로 더욱 뛰어난 화력작전을 수행할 역량을 부여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