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리스트 == null
{{{#!html 플라톤이 저술한 동명의 책}}}에 대한 내용은 [[파이돈(대화편)]]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파이돈(대화편)#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파이돈(대화편)#|]]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리스트 != null
한시적 넘겨주기로 연결되는 다른 문서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플라톤이 저술한 동명의 책: }}}[[파이돈(대화편)]]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파이돈(대화편)#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파이돈(대화편)#|]]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고전 그리스 · 헬레니즘 철학 학파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545454><colcolor=#ffffff> 소(小) 소크라테스 학파 | |||
안티스테네스 | 디오게네스 | ||||
아리스티포스 | ||||
메가라 학파 | 에우클레이데스 | |||
엘리스 학파 | 파이돈 | |||
기타 | 크세노폰 | 아이스키네스 | |||
플라톤 · 아리스토텔레스 | ||||
아카데미아 학파 | | 스페우시포스 | 크세노크라테스 | 폴레몬 | 크라테스 | 크란토르 | |||
소요 학파 | | 테오프라스토스 | |||
헬레니즘 학파 | ||||
피론 학파 | 피론 | 아이네시데모스 | |||
신 아카데미아 학파 | 아르케실라오스 | 라키데스 | 카르네아데스 | 클레이토마코스 | 필론 | 안티오코스 | |||
소요 학파 | 스트라톤 | 뤼콘 | 아리스톤 | 크리톨라오스 | |||
스토아학파 | | 클레안테스 | 크리시포스 | 타르소스의 제논 | 디오게네스 | 안티파트로스 | 파나이티오스 | 포세이도니오스 | |||
| 폴리아이노스 | 메트로도로스 | 헤르마르코스 | }}}}}}}}} |
<colbgcolor=#000><colcolor=#fff> 엘리스의 파이돈 Φαίδων ὁ Ἠλεῖος|Phaedon Elidensis | |
| |
[그림설명] | |
출생 | 기원전 417년경 |
고대 그리스 펠로폰네소스 엘리스 | |
사망 | 기원전 4세기 |
고대 그리스 | |
학파 | 엘리스 학파 |
후임자 | 플레이스타노스 |
1. 개요
고대 그리스의 엘리스 출신이다. 문제는 그가 아직 어렸을 때 도시가 멸망당했다는 것. 때문에 노예신세로 전락했다. 그는 엄청난 미남이었다고 하는데, 그래서 사창가에 팔렸다고 한다. 다행히도 소크라테스가 그를 구해줘서 풀려났다고 한다. 은인인 소크라테스를 열렬하게 따른 것으로 보이는데, 동시대에 그에 대해 언급한 자료들에 따르면 소크라테스의 사후에도 그의 사상에 가장 본래에 가깝게 충실했다고 한다. 후에 그의 고향 엘리스가 복구되면서 고향으로 돌아가 엘리스 학파를 창설했다. 하지만 그의 저작은 모두 소실되어서 그의 구체적인 사상은 전혀 전해지지 않는다.2. 생애
3. 저서들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는 파이돈이 저술한 대화편들로『조퓌로스』『시몬』『니키아스』『안티마코스 혹은 연장자들』『구두장이들의 이야기들』5권을 언급하고 있으며, 수다는 라에르티오스가 언급하고 있지 않은 세 편의 대화편,『심미아스』『알키비아데스』『크리톨라오스』를 추가적으로 파이돈의 저서라고 설명한다. 그러나 후대의 스토아 철학자 파나이티오스는 파이돈의 이름으로 내려오는 대화편들이 진짜 그의 것인지를 의심스러워했으며,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도 조퓌로스와 시몬만이 진본이고 다른 책들은 진본인지 의심된다고 서술하고 있다. 추가적으로 2세기의 로마 문헌학자 아울루스 겔리우스는 파이돈이 쓴 '소크라테스에 대한 고상한 대화편들'을 거론하면서 그의 책들이 널리 읽히고 있다고 언급한다.[2]상술한 그의 대화편들은 현재 하나도 남아있지 않고, 고대 작가들이 전해주는 단편들도 4개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그 내용을 재구성하기는 극히 힘들다. 그중에서 알렉산드리아에서 활동한 기원후 1세기의 수사학자 아엘리오스 테온은 수사학 연습에 대해 다룬 저서『예비 연습progymnasmata』에서 파이돈의 『조피로스』에 나오는 한 구절을 인용하고 있다.
φασὶ τοίνυν, ὦ Σώκρατες, τὸν νεώτατον βασιλέως υἱὸν χαρίσασθαί τινι λέοντος σκύμνον˙ καί μοι δοκεῖ ὁ λέων σύντροφος ὢν τῷ παιδὶ νεανίσκῳ ἤδη ὄντι ἀκολουθεῖν ὅπου βαδίζοι, ὥστε οἵ γε Πέρσαι ἐρᾶν ἔφασαν τοῦ παιδὸς αὐτόν.
사람들이 말하기로는 누군가가, 소크라테스여, 왕의 막내아들에게 사자 새끼를 선물로 주었다고 하더군요. 제가 알기로 그 사자는 그 소년과 함께 자라, 그가 어른이 되었을 때도 어디든지 그를 따라다녔다고 합니다. 그래서 페르시아인들은 사자가 그 소년을 사랑하는 거라고 말했답니다.
사람들이 말하기로는 누군가가, 소크라테스여, 왕의 막내아들에게 사자 새끼를 선물로 주었다고 하더군요. 제가 알기로 그 사자는 그 소년과 함께 자라, 그가 어른이 되었을 때도 어디든지 그를 따라다녔다고 합니다. 그래서 페르시아인들은 사자가 그 소년을 사랑하는 거라고 말했답니다.
한편 로마 시대의 세네카는『루킬리우스에게 보내는 편지』중 94번째 편지에서 현자들과 어울려야 한다는 취지의 말을 하면서 파이돈의 말을 라틴어로 번역해 인용하고 있는다. 단 세네카는 테온과 달리 따로 출처를 명기해놓지는 않아서 어떤 대화편에서 나온 말인지는 불명이다.
minuta quaedam animalia cum mordent non sentiuntur, adeo tenuis illis et fallens in periculum vis est: tumor indicat morsum et in ipso tumore nullum vulnus apparet. idem tibi in conversatione virorum sapientum eveniet: non deprehendes, quemadmodum aut quando tibi prosit, profuisse deprendes.
어떤 작은 동물들은 우리를 쏘아도 아무런 고통을 남기지 않는데, 그들의 능력은 너무나 미묘하고 눈에 띄지 않아 위험하다. 물린 자국은 붓기가 일어나게 하는데, 붓기 자체에는 어떠한 상처도 보이지 않는다. 현자들과 대화하면서 이 같은 일이 그대에게 일어날 것이다. 그것이 어떻게 혹은 언제 당신에게 도움이 될지 깨닫지 못해도, 결국에는 그것이 이로웠다는 것을 그대는 깨달을 것이다.
어떤 작은 동물들은 우리를 쏘아도 아무런 고통을 남기지 않는데, 그들의 능력은 너무나 미묘하고 눈에 띄지 않아 위험하다. 물린 자국은 붓기가 일어나게 하는데, 붓기 자체에는 어떠한 상처도 보이지 않는다. 현자들과 대화하면서 이 같은 일이 그대에게 일어날 것이다. 그것이 어떻게 혹은 언제 당신에게 도움이 될지 깨닫지 못해도, 결국에는 그것이 이로웠다는 것을 그대는 깨달을 것이다.
4. 여담
[그림설명] 자크루이 다비드의 1787년 작 <소크라테스의 죽음> 부분. 플라톤의 『파이돈』에 따르면, 파이돈은 그 당시 스파르타 식으로 머리를 뒷머리까지 기르고 있었다고 한다.[2] 『아티카의 밤』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