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의에 따라 초월수가 아닌 대수적 수이다. [math(1)]의 거듭제곱근 중 [math(1)], [math(-1)], [math(i)], [math(-i)]를 제외한 근들은 모두 무리수 실수부 또는 허수부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무리수는 실수의 부분집합으로서만 정의되므로 [math(1)], [math(-1)]을 제외한 [math(1)]의 거듭제곱근은 유리수나 무리수로 구분하지는 않는다.
1. 개요
Feigenbaum constant파이겐바움 상수는 분기도에서 나오는 두 개의 수학 상수를 말하며 이름은 발견자인 미첼 파이겐바움(Mitchell Jay Feigenbaum)에서 따왔다.
|
참고 영상
2. 첫 번째 상수의 근삿값
[math(\delta \approx 4.66920160910299067185)]소수점 아래 20자리까지 표시했다.
3. 두 번째 상수의 근삿값
[math(\alpha \approx 2.50290787509589282228)]소수점 아래 20자리까지 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