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22 16:53:39

특전(오버워치 2)

파일:오버워치 워드마크 화이트.svg
오버워치 시리즈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in-width:40%;min-height:2em;"
{{{#!folding [  작품 목록  ]
{{{#!wiki style="margin:-6px -1px -4px;text-align:left;"
[[오버워치|
파일:오버워치 로고.svg
오버워치]]
(2016 ~ 2022)
[[오버워치 2|
파일:오버워치 2 로고.svg
오버워치 2]]
(2022 ~ 서비스 중)
외전: 러브워치: 사랑을 담아서(2023)
출간소설: 오버워치 : 눔바니의 영웅(2021)
출간만화: 오버워치 앤솔로지 코믹스 Vol.1(2017)
아트북: 오버워치 아트북(2017)
단편 시리즈: 배경 이야기 ·소개 영상 · 단편 애니메이션 · 단편 만화 · 단편 소설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in-width:40%;min-height:2em;"
{{{#!folding [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text-align:left;"
<colbgcolor=#333e48> 세계관 / 설정 옴닉 관련 설정 문서
옴닉 · SST 연구소 공성 자동화 로봇 · TS-1 · OR 유닛 · 절단기 (절단로봇) · 타이탄
세력 관련 문서
오버워치 · 블랙워치 · 탈론 · 널 섹터 · 비슈카르 코퍼레이션 · 시마다 가문 · 옴니카 코퍼레이션 · 크루세이더 부대 · MEKA
세계관 및 스토리 관련 문서
연표 · 세계관 및 스토리 · 등장인물 · 기록 보관소 · 경화광 · 옴닉 사태
기타 관련 문서
파치마리
게임 용어 각 시리즈별 용어 문서
오버워치/용어 · 오버워치 2/용어
게임 플레이 용어 문서
영웅 · 전장 · 최고의 플레이 · 궁극기 · 효과 · 탈주 · 로켓 점프 · 각폭 · C9 · 크레딧 · 전리품 상자 · 흰흰파흰 · 배틀 패스 · 특전
유행어 문서
고급 시계 · 겨우 그까짓 힘으로 감히 · 류승룡 기모찌! · 석양이 진다… · 이젠 아니야 · 겐트위한 · 범썸타케인 · 시계충 · 서열 정리 · XX차이 · 심해 · 원챔 · 광물 · 보르시
E스포츠 오버워치 월드컵 관련 문서
2016년 출전 팀 · 2017년 출전 팀 · 2018년 출전 팀 · 2019년 출전 팀 · 2023년 출전 팀
오버워치 리그 관련 문서
최초 참가 팀 · 2019 참가 팀 · 2020 참가 팀 · 2021 참가 팀 · 2022 참가 팀 · 2023 참가 팀
기타 OST 문서
Overture · Alive · Perfect Night
미분류 문서
플랫폼 별 특징(오버워치 2 기준) · 성우 · 팀당 인원 수 논쟁(5대5/6대6)
}}}}}}}}}}}} ||

1. 개요2. 설명

1. 개요

오버워치 2의 시스템 중 하나로, 2025년 2월 오버워치 2 15시즌에 최초로 추가되었다.

2. 설명

15시즌 패치에서 가장 큰 변화라고 할 수 있는 요소로, 게임 내에서 얻은 경험치로 영웅의 레벨을 올려 스킬을 강화할 수 있는 신규 시스템이다.

영웅들은 1레벨부터 시작하여 3레벨까지 2번의 레벨업이 가능하며, 2레벨 때 소규모 특전 업그레이드를, 3레벨때 대규모 특전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레벨은 영웅에게 귀속되며, 다른 영웅으로 변경 시 1레벨부터 시작한다. 기존 영웅을 다시 픽한다면 레벨이 유지된 상태로 시작한다. 라운드 종료 시 모든 레벨은 초기화된다.

레벨이 오르는 UI는 오버워치 1 당시의 폭주 레벨이 오르는 디자인을 거의 그대로 계승했다.

기능들을 보면 사실상 이전 임무 모드에서 구현될 예정이었던 스킬 트리를 PvP에 맞게 구현한 것으로 보인다.

특전은 블리자드가 개발했던 여러 모드나 게임에서 모티브를 받아 제작했으며, 크게 4가지 종류로 구분된다.
  • 과거 오버워치에 존재했으나 리워크/리메이크 등으로 삭제된 능력을 구현
    ex) 한조 - 갈래화살(폭풍화살이 튕김), 토르비욘 - 포탑 과부하(3단 포탑으로 업그레이드), 오리사 보호 방벽(수호의 창 대신 방벽을 사용), 바스티온 - 린드홀름 폭발물(설정 - 강습 대신 전차로 변신), 자가수리 (자가 치유 능력) 등[1]
  • 만우절 및 정켄슈타인의 실험실과 커뮤니티 모드에서 먼저 선보였던 능력들을 다시 가져옴.
    ex)로드호그 - 멀리 던지면 돼지
  •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의 특성을 모티브로 한 능력을 구현 (히오스에 존재하는 영웅 한정)
    ex)D.Va - 토끼뜀[2], 메이 - 살을 에는 추위[3], 급속 폭풍[4]'
  • 기타 완전히 새로운 능력.
    ex)주노, 해저드 등과 같이 따로 모티브를 따올만한 것이 부족한 신규 영웅들의 특전이 대표적. 그 밖에 기존 영웅들도 물론 완전히 새로운 능력을 가진 영웅이 있다.


[1] 궁극기였던 능력들은 일반스킬로 쓸 수 있는 만큼 어느정도 너프를 먹었다.[2] 히오스의 D.Va의 10레벨 특성이자 첫번째 궁극기인 토끼뜀(감정표현을 궁극기로 구현했다)을 메카 탑승시 반경을 늘리는 것으로 구현했다. 다만 이름만 토끼뜀일뿐, 실제 감정표현 모션을 하지는 않는다.[3] 히오스의 13레벨 특성 '냉각 장치/ Cooling Servos'[4] 히오스의 13레벨 특성 '극소용돌이 / Polar Vortex.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