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9 22:41:17

토마스 룽겐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height: 50px; margin-top: -8px; margin-left: 5px; margin-bottom: -6px; text-align: left"<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 bordercolor=#fdfdfd,#191919> 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오세아니아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감독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조안
시다네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31px-New_Caledonia_FA.svg.png
대런
베이즐리

파일:뉴질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토마스
룽겐

파일:미국령 사모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줄리아노
슈멜링

파일:바누아투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제스
아이브롬

파일:사모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조슈아
스미스

파일:솔로몬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투카
티삼

파일:쿡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공석
파일:키리바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사뮈엘
가르시아

파일:타히티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킬리피
우엘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78px-Fed_tonga.svg.png
오사메사
메사코

파일:Tuvalu national football team.png
펠리페
베가아랑고

파일:파푸아뉴기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셔먼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61px-Fiji_FA.svg.png
<colbgcolor=#f7f7f7,#191919>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아시아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아프리카
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 북중미카리브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 남미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유럽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오세아니아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감독
}}}}}}}}}}}} ||

American Samoa national association football team
파일:토마스 룽겐.jpg
<colbgcolor=#000080> 이름 토마스 룽겐
Thomas Rongen
본명 토마스 에디 룽겐
Thomas Eddy Rongen
출생 1956년 10월 31일 ([age(1956-10-31)]세)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국적
[[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직업 축구선수 (수비형 미드필더 / 은퇴)
축구감독
축구 해설가
소속 <colbgcolor=#000080><colcolor=#FFFFFF> 선수 암스테르담셰 FC (1971~1978)
로스앤젤레스 아즈텍 (1979~1980)
워싱턴 디플로매츠 (1980)
포트 로더데일 스트라이커스 (1981~1983)
미네소타 스트라이커스 (1984)
포트 로더데일 선 (1985)
시카고 스팅 (1985~1986)
휴스턴 다이나모스 (1987)
포트 로더데일 스트라이커즈 (1988~1993)
감독 성 요한 바오로 2세 아카데미 (1984~1988)
사우스 플랜테이션 하이스쿨 (1988)
포트 로더데일 스트라이커즈 (1988 / 수석코치)
포트 로더데일 스트라이커즈 (1989~1993)
노바 사우스 이스턴 유니버시티 (1991~1995)
템파베이 뮤니티 (1996)
뉴잉글랜드 레볼루션 (1996~1998)
DC 유나이티드 (1998~2001)
미국 U-20 대표팀 (2001~2004)
CD 치바스 USA (2004~2005)
미국 U-20 대표팀 (2006~2011)
미국령 사모아 대표팀 (2011~2012)
토론토 FC (2012~2014 / 아카데미 매니저)
탬파베이 라우디스 (2015)
미국 대표팀 (2016~ / 수석 스카우트)
미국령 사모아 대표팀 (2024~ )
국가대표 없음

1. 개요2. 선수 경력3. 감독 경력

[clearfix]

1. 개요

미국령 사모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감독

2. 선수 경력

1971년 암스테르담셰 FC 유소년 팀에 입단하여 1973년 성인 무대에 데뷔하였다. 1979년 미국으로 이주한 이후에는 미국 팀들에서 활약하다 1993년 선수에서 완전히 은퇴하였다.

3. 감독 경력

선수 생활 중이던 1984년 고등학교 축구 팀의 감독직을 맡으며 감독 커리어를 시작하였다. 이후 주로 아마추어 팀과 고등학교 및 대학교 축구 팀들을 맡았다.

3.1. 템파베이 뮤니티

1996년 MLS로 진출한 템파베이 뮤니티의 초대 감독으로 임명되었는데 신생팀을 이끌고 정규 시즌 우승을 차지하였고 이어진 MLS컵에서는 결승에서 DC 유나이티드에게 패배하며 준우승을 기록하였다. 이러한 성적으로 1996년 MLS 올해의 감독상을 수상하게 되었다.

3.2. 뉴잉글랜드 레볼루션

이러한 템파베이에서의 활약을 지켜본 뉴잉글랜드 레볼루션대학교 드래프트 1라운드 지명권과 룽겐 감독을 트레이드하면서 그를 감독으로 선임하게 되었다. 첫 시즌 구단 역사상 최초로 플레이오프 진출에 성공했으나 이후 투병하던 암으로 인한 건강 악화와 선수단 파벌 문제로 부진한 성적을 거두자 감독직에서 사임하였다.

3.3. DC 유나이티드

1998년 브루스 아레나 감독의 후임으로 DC 유나이티드의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1999년 정규 시즌 우승과 MLS 컵 우승을 차지하며 좋은 스타트를 보였으나 이후 2시즌은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하면서 2001년 경질되었다.

3.4. 미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1기

MLS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자 미국 축구 연맹에서 그를 미국 20세 이하 대표팀의 감독으로 임명하였다. 20세 이하 대표팀을 이끌고 U-20 월드컵에 출전해 박성화 감독이 이끌던 대한민국 U-20 대표팀울리 슈틸리케 감독이 이끌던 독일 U-20 대표팀, 그리고 남미 예선을 통과한 파라과이와 같은 F조에 배치되었는데 독일에게는 패배를 기록하였지만 대한민국과 파라과이를 잡으며 조 1위로 16강 진출에 성공하였고 이어진 16강에서도 코트디부아를 꺾으며 10년만에 8강 진출에 성공하였다. 8강에서는 아르헨티나에게 패배하면서 역대 최고 기록이었던 4강 기록을 갱신하지는 못하였다.

3.5. CD 치바스 USA

20세이하 대표팀으로 좋은 성적을 거두자 MLS에 참가하고 있던 CD 치바스 USA의 감독으로 선임되었으나 첫 10경기에서 1승 1무 8패를 기록하자 감독직에서 사임하였다.

3.6. 미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2기

치바스 USA에서 물러나고 한달 뒤 20세이하 대표팀 감독으로 복귀하였다. 2007년2009년 연속으로 U-20 월드컵에 진출하여 8강, 조별리그의 성적을 거두었으나 이어진 2011년 U-20 월드컵을 16년만에 탈락하자 감독직에서 경질되었다.

3.7. 미국령 사모아 대표팀 1기

20세이하 대표팀에서 경질되고 미국령 사모아 대표팀의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당시 미국령 사모아 대표팀은 1983년 왈리스 푸투나를 상대로 승리한 경기 이후 28년동안 무승을 기록하고 있었다. 미국령 사모아의 감독으로 부임한 이후 첫 경기는 브라질 월드컵 예선인데 예선 상대였던 통가 대표팀을 상대로 승리하면서 28년만에 승리를 기록하였고 이어진 쿡 제도 대표팀을 상대로 무승부를 기록하면서 마지막 경기였던 사모아 대표팀을 이긴다면 국가 역사상 최초로 월드컵 2차 예선 진출 및 OFC 네이션스컵 본선 진출에 성공할 수 있었으나 아쉽게 1-0 패배를 기록하면서 탈락하였다.

3.8. 토론토 FC

미국령 사모아 대표팀 감독에서 물러나고 토론토 FC 아카데미 매니저로 유소년 관련 업무를 맡았었다.

3.9. 탬파베이 라우디스

2015년 탬파베이 라우디스의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2015년 시즌 도중 경질되었다.

3.10. 미국 축구 대표팀 수석 스카우트

2016년 브루스 아레나 감독이 수석 국제 스카우트로 임명되었다. 이후 현재까지 해외에서 활동하는 미국 출신 선수들을 스카우트하고 있다.

3.11. 미국령 사모아 대표팀 2기

2024년 미국령 사모아 대표팀의 감독으로 선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