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Ἑπτὰ ἐπὶ Θήβας/Seven against Thebes아이스퀼로스의 오이디푸스 3부작 중 3부인 비극, 기원전 467년에 집필됐다.
오이디푸스의 두 아들들인 에테오클레스와 폴뤼네이케스가 테베의 왕권을 두고 벌인 제1차 테베 전쟁을 소재로 쓰여졌다.
2. 줄거리
에테오클레스에게 왕위를 빼앗긴 폴뤼네이케스[1]는 아르고스로 망명해서 아르고스의 왕 아드라스토스의 딸 아르게이아와 결혼한다. 아드라스토스 왕은 자신의 두 사위이자 친인척에게 왕위를 빼앗긴 폴뤼네이케스와 튀데우스[2]에게 왕위를 되찾아 줄 것을 약속한다. 폴뤼네이케스는 자신과 티데우스를 포함한 일곱 장군이 이끄는 아르고스 군대를 거느리고 테베를 침공하고 테베의 일곱 성문 각각에 장군들을 배치시킨다.테베의 왕 에테오클레스도 자신의 장군들을 성문 각각에 보내고 마지막으로 자신은 직접 폴뤼네이케스를 상대한다. 결국 제1차 테베 침공은 실패했지만, 에테오클레스 역시 폴뤼네이케스와의 전투에서 서로를 동시에 찌르며 죽음을 맞이했다.[3]
문제는 이로 인해 이들의 외삼촌 크레온이 왕이 되자마자 조카인 선왕을 예우하는 뜻에 에테오클레스는 성대한 장례를 치러 주지만 다른 조카 폴뤼네이케스는 반역자라 하며 시신을 내버려두고 그를 매장하는 이는 생매장시킨다고 엄포를 놓아, 이 둘의 큰여동생 안티고네는 작은오빠를 위해 스스로를 희생하여 장례를 치른다. 그러나 결국 크레온에게 밉보여 생매장된 관에서 목을 매 자살하고, 그녀의 약혼자였던 크레온의 아들 하이몬은 아버지의 행동에 화가 머리끝까지 나 저주를 퍼부은 뒤 칼로 스스로를 찔러 자살하여 사랑하는 연인의 뒤를 따른다. 직후 언니의 죽음을 알게 된 막내 이스메네도 한탄 후 자살했고 크레온의 아내 에우뤼디케도 남편의 행동으로 외아들을 잃자 슬피 울고난 후 자살한다. 이후 일곱 장군들의 아들들의 침공으로 테베는 함락된다.
3. 등장인물
성문 | 일곱 장군 | 테베의 장군 |
1. 프로이토스 문 | 튀데우스 | 멜라니포스[4] |
2. 엘렉트라 문 | 카파네우스[5] | 폴리폰테스[6] |
3. 네이스 문 | 에테오클로스[7] | 메가레우스[8] |
4. 옹카[9] 문 | 히포메돈[10] | 히페르비우스[11] |
5. 보레아스 문[12] | 파르테노파이오스 | 악토르[13] |
6. 호몰로이스 문 | 암피아라오스[14] | 라스테네스[15] |
7. 힙시스타이 문[16] | 폴뤼네이케스 | 에테오클레스 |
- 안티고네
- 이스메네
- 정찰병
- 테베의 여인들
4. 일곱 장군의 방패
- 튀데우스: 별들이 불타는 하늘이 그려졌다. 방패 한복판에는 별들 중 가장 아름다우며 밤의 눈이라고 할 달이 환하게 빛나고 있다.
- 카파네우스: 무장하지 않고 불을 운반하는 자가 문장으로 그려져 있다. 이 자는 두 손으로 횃불을 휘두르며 황금 문자로 "나는 도시를 불사를 거야."라고 선언한다.
- 에테오클로스: 무장한 한 전사가 적의 성탑을 파괴하려고 사다리의 발판을 타고 기어오르는 모습이 그려졌다.
- 히포메돈: 티폰이 불을 숨 쉬는 입에서 불의 가벼운 누이인 연기를 내뿜는 모습이 그려졌다. 속이 빈 방패의 가장자리를 따라 그것을 고정하기 위햐 뱀이 똬리를 틀고 있다.[17]
- 파르테노파이오스: 청동 방패에 스핑크스 상이 있다. 청동으로 화려하게 양각한 스핑크스 상이 못으로 고정된 채 카드모스의 자손 중 한 명을 앞에 들고 있다.
- 암피아라오스: 청동 방패에 아무것도 그려져 있지 않다.
- 폴뤼네이케스: 새로 만든 둥근 방패에 정교하게 만든 이중의 문장이 그려졌다. 황금으로 만든 한 남자가 무장하고 있는데 정의의 여신이라고 주장하는 여인이 그를 인도하고 있다. 명문은 "나는 이 남자를 도로 데려다줄 것인즉, 그가 조국의 도시와 선조들의 집을 차지하리라."라고 말한다.[18]
5. 매체에서
유희왕/OCG의 슈프림 다크니스 데뷔 테마인 ARG☆S(아르고스타즈)가 아르고스 측의 인물들을 모티브로 하고 있다.[1] 본래 둘은 쌍둥이 형제로, 테베의 왕으로 공동 즉위해서 정해진 기한을 두고 번갈아 가며 왕권을 행사하기로 당초에약속을 했었다. 그런데 에테오클레스는 폴뤼네이케스에게 왕권을 넘길 기한이 되자 입을 싹 씻어버렸다.[2] 아르게이아의 자매인 데이퓔레의 남편[3] 제1차 침공에서 실패한 일곱 장군들의 아들들은 후에 다시 테베를 공격해서 함락에 성공하는데, 이들을 '에피고노이'라고 한다.[4] 스파르토이들의 자손 중 하나. 아스타코스의 아들.[5] 제우스의 노여움이 발 앞에 내던져지더라도 자기를 막지 못할 것이라 장담했다. 이에 분노한 제우스는 카파네우스에게 벼락을 날려 죽인다.[6] 에테오클레스가 언급하길 아르테미스와 다른 신들의 호감을 사고 있다.[7] 테베의 왕 에테오클레스와 이름이 비슷하다. 이피스의 아들이자 카파네우스의 아내 에우아드네(에바드네)의 남매. 아레스도 자기를 성탑에서 내던지지 못할 것이라고 외치고 있다.[8] 크레온의 아들이자 스파르토이의 후손.[9] 아테나의 별명.[10] 아레스에 도취되어 박코스의 여신도처럼 눈에 살기를 품고 전투를 향해 질주하고 있다.[11] 오이놉스의 아들. 운명의 요구에 따라 자신의 운명을 시험해보고 싶어한다.[12] 제우스와 안티오페의 아들이자 테베의 왕 암피온의 무덤 바로 옆에 있다.[13] 히페르비우스의 아우.[14] 오이클레스와 휘페름네스트라의 아들. 정찰병이 언급하길 가장 지혜롭고 힘이 절륜한 강력한 예언자라고 한다. 또, 가장 훌륭한 사람이길 원하면서도 그렇게 보이길 원치 않는다. 에테오클레스도 암피아라오스를 '신중하고 올곧고 착하고 경건한 사람'이고 '위대한 예언자'라고 고평가했다. 적장 페리클리메노스에게 죽을 뻔했지만 제우스가 벼락을 날려 땅을 갈라놓자 그 틈새로 사라졌다.[15] 지혜는 노인이지만 체력은 젊은이에, 눈치도 빨아서 손에 든 창으로 적의 노출된 부위를 재빨리 찌른다고 한다.[16] 다만 테베를 공격한 일곱 장군에서는 일곱번째 성문의 이름이 언급되지 않는다.[17] 반대로 히페르비오스의 방패에는 제우스가 손에 불타는 벼락을 든 채 똑바로 서 있는 모습이 그려졌다.[18] 폴리네이케스 본인은 실패했지만 아들 테르산드로스가 테베 왕좌를 차지하면서 이 말이 실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