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6-26 09:39:38

쿠아시아노스테오사우루스


어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959aa3> 쿠아시아노스테오사우루스과 <colcolor=#000,#fff>쿠아시아노스테오사우루스
후에네오사우루스류 <colcolor=#fff><colbgcolor=#959aa3> 믹소사우루스류 믹소사우루스과(믹소사우루스) · 위마니우스과(위마니우스)
롱기피나티 심보스폰딜루스과(심보스폰딜루스 · 판토모사우루스) · 토레토크네무스과(토레토크네무스) · 메리아모사우루스류(<메리아모사우루스과>페소프테릭스 · <베사노사우루스과>베사노사우루스 · <칼리포르노사우루스과>칼리포르노사우루스 · <샤스타사우루스과>샤스타사우루스 · 히말라야사우루스 · 이크티오티탄 · 쇼니사우루스 · <파르비펠비아>후드소넬피디아1 · 마크고와니아2 · 수에볼레비아탄3 · 템노돈토사우루스4 · 렙토넥테스5 · 에우리노사우루스5 · 이크티오사우루스6 · 말라와니아6 · 카카이코사우루스7 · 스테놉테리기우스8 · 오프탈모사우루스9)
상위계통 석형류(해양 파충류)
기타 어룡목 생물 목록(파르비펠비아 생물 목록)
※: 있는 문서의 어룡만 기재할 것.
1:후드소넬피디아과
2:마크고와니아과
3:네오이크티오사우루스류의 수에볼레비아탄과
4:네오이크티오사우루스류의 템노돈토사우루스과
5:네오이크티오사우루스류의 렙토넥테스과
6:투노사우루스류 중 이크티오사우루스과
7:투노사우루스류 중 바라크로미아
8:바라크로미아 중 스테놉테리기우스과
9:바라크로미아 중 오프탈모사우루스과(또는 오프탈모사우루스아과)
}}}}}}}}}
쿠아시아노스테오사우루스
Quasianosteosaurus
학명 Quaxianosteosaurus
Maisch & Matzke, 2003
<colbgcolor=#fc6> 분류
동물계 Animalia
척삭동물문 Chordata
계통군 석형류 Sauropsids
어룡목 Icthyosauria
쿠아시아노스테오사우루스과 Quaxianosteosauridae
쿠아시아노스테오사우루스속 Quaxianosteosaurus
  • 쿠아시아노스테오사우루스 비킹호에그다이(Q. vikinghoegdai)모식종
    Maisch & Matzke, 2003

1. 개요2. 상세

1. 개요

트라이아스기 전기인 2억 4900만 년 전에서 2억 4720만 년까지 살았던 어룡의 일종. 속명의 뜻은 '거의 뼈가 없는 도마뱀'으로 두개골에 거의 뼈가 없는 것에서 유래했으며 종명은 화석이 발견된 비킹호그다에서 유래했다.

2. 상세

2003년 마이클 W. 메이스치와 안드레아스 T. Matzke에 의해 노르웨이 스발바르 제도 스피츠베르겐에서 처음 발견된 완모식표본 MNHN Nr로만 알려져 있으며 SVT 331은 주둥이와 안와 및 후안와 영역으로 구성된 부분적으로 보존된 두개골이다. 두개골은 지금까지 알려진 트라이아스기 전기 어룡의 두개골 중 가장 크며 그 길이는 50cm로 추정된다. 계통발생학적 분석 결과 후에네오사우루스류의 자매 분류군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