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C4C01> | 월드 랠리 챔피언십 역대 드라이버 챔피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fff> 1977년 | 1978년 | 1979년 | 1980년 | 1981년 | 1982년 | 1983년 |
| 산드로 무나리[A] 란치아 | 마르쿠 엘렌[A] 피아트 | 비요른 발데가르드 포드 | 발터 뢸 피아트 | 아리 베타넨 포드 | 발터 뢸 오펠 | 한누 미콜라 아우디 | |
| <rowcolor=#ffffff> 1984년 | 1985년 | 1986년 | 1987년 | 1988년 | 1989년 | 1990년 | |
| 스티그 블롬퀴비스트 아우디 | 티모 살로넨 푸조 | 유하 칸쿠넨 푸조 (1986) | 란치아(1987) | 미키 비아시온 란치아 | 카를로스 사인츠 토요타 | |||
| <rowcolor=#ffffff> 1991년 | 1992년 | 1993년 | 1994년 | 1995년 | 1996년 | 1997년 | |
| 유하 칸쿠넨 란치아 | 카를로스 사인츠 토요타 | 유하 칸쿠넨 토요타 | 디디에 오리올 토요타 | 콜린 맥레이 스바루 | 토미 매키넨 미쓰비시 | ||
| <rowcolor=#ffffff> 1998년 | 1999년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
| 토미 매키넨 미쓰비시 | 마르쿠스 그뢴홀름 푸조 | 리처드 번즈 스바루 | 마르쿠스 그뢴홀름 스바루 | 페터 솔베르그 스바루 | 세바스티앙 로브 시트로엥 | ||
| <rowcolor=#ffffff>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
| 세바스티앙 로브 시트로엥 | |||||||
| <rowcolor=#ffffff>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
| 세바스티앙 로브 시트로엥 | 세바스티앙 오지에 폭스바겐 (2013~2016) | M-스포트 포드(2017~2018) | ||||||
| <rowcolor=#ffffff>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 오트 태나크 토요타 | 세바스티앙 오지에 토요타 | 칼레 로반페라 토요타 | 티에리 누빌 현대 | ||||
}}}}}}}}} ||
| 2025 WRC 랠리1 참가 팀 및 드라이버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랠리1 카테고리 소속 팀 | |||||||
| <rowcolor=#ffffff> 팀명 | 차량 | 팀 국적 | 번호 | 드라이버 | ||||
| 토요타 가주 레이싱 WRT | GR 야리스 랠리1 | 일본 | 5 | | ||||
| 17 | | |||||||
| 18 | | |||||||
| 33 | | |||||||
| 69 | | |||||||
| 현대 쉘 모비스 WRT | i20 N 랠리1 | 대한민국 | 1 | | ||||
| 8 | | |||||||
| 16 | | |||||||
| M-스포트 포드 WRT | 퓨마 랠리1 | 영국 | 13 | | ||||
| - | | |||||||
}}}}}}}}} ||
| 2023년 월드 랠리 챔피언쉽 드라이버 챔피언 | ||||||||
| | ||||||||
| 2012 - 세바스티앙 로브 | → | 2013~2018 - 세바스티앙 오지에 | → | 2019 - 오트 태나크 | → | 2020~2021 세바스티앙 오지에 | → | 2022~2023 - 칼레 로반페라 |
| <nopad> | ||
| WRC - 토요타 가주 레이싱 팀 WRT No.69 | ||
| KR69 월드 엔듀로 팀 창립자 및 소유자 | ||
| 칼레 로반페라 Kalle Rovanperä | ||
| 국적 | | |
| 출생 | 2000년 10월 1일 ([age(2000-10-01)]세) 핀란드 위바스퀼래 | |
| 가족관계 | | |
| 소속팀 | WRC | 개인 자격 출전 (2017~18) 스코다 모터스포트 (2018~19) 토요타 가주 레이싱 팀 WRT (2020~25) |
| 두바이 24시 | 위베르 컴페티션 (2025) | |
| 슈퍼 포뮬러 | 미정 (2026) | |
| 주요 경력 | 드라이버 챔피언 | 2회 (2022[1], 2023) |
| 랠리 우승 | 2021년 2회, 2022년 6회, 2023년 3회 | |
| 포디움 | 2020년 1회, 2021년 4회, 2022년 8회, 2023년 8회 | |
| 단일 스테이지 우승 | 260회(~2025년) | |
| 랠리 참가 | 75회(~2025년) | |
| 코드라이버 | 요네 핼투넨 (Jonne Halttunen) | |
| SNS | | |
1. 개요
핀란드 국적을 가진 토요타 가주 레이싱 소속의 WRC 드라이버.2. 생애
1993~2006년까지 활동했던 전 WRC 랠리 레이싱 선수였던 해리 로반페라의 아들로 어릴적부터 모터사이클, 쿼드바이크, 보트, 스쿠터 등을 태우는 아버지의 실험적인 교육이 있었다.8세부터 집 주변에 있는 랠리 서킷에서 드라이빙을 배우기 시작했다.#
해당 영상[2]에 이어서 만 11세에 Teknavi라는 국내 TV 프로그램에 출연하였으며, 역시 같은 11세에 에스토니아의 랠리 레이싱 대회 [3] 에 참가하기 시작하며, 랠리 유망주로서 이름을 알리기 시작한다.
면허도 따기 이전인 8살 쯤부터 전직 WRC 레이서였던 아버지로부터 배운 재능있는 엘리트로 드라마나 영화 속에서나 볼법한 설정을 실제로 본인 스펙으로 가진 드라이버다. 현재까지의 커리어와 기록을 생각해보면 WRC를 개노잼화한 세바스티앙 강점기에 뒤이은 새로운 지배자가 될 듯 보인다.
| Kalle Rovanperä 와 코드라이버 Jonne Halttunen의 WRC Rally Estonia 2023 온보드 영상 |
3. 커리어
3.1. WRC
핀란드 법은 보통 18세 이전에 랠리에 참가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12세 때 랠리 스프린트를 시작으로 라트비아로 떠나 이후 몇 년 동안, 아버지 하리의 전 공동 운전자인 리스토 피에틸래이넨과 도로 구간을 주행 했다.2015년에는 시트로엥 C2 R2를 몰고 라트비아 랠리 챔피언십에서 우승했으며 2016년 열린 챰피언십에선 300마역 2L 스코다 파비아 s2000에서 파비아 R5으로 갈아타 라트비아 주니어 챔피언십에 이어 우승했고 16세의 나이에 어느 나라에서나 전국 오픈 클래스 랠리 챔피언십을 우승한 최연소 드라이버가 되었다.2017년 랠리 리파하에 출전하여 유럽 랠리 챔피언십에 데뷔하여 종합 2위를 하였다.
로반페레는 핀란드 정부로부터 허가를 받았고 [4]기로 17세 생일 다음날인 2017년 운전면허 시험에 합격했다.그는 3주 후 랠리 GB를 시작했고 호주에서의 시즌 피날레에서 그는 WRC2 라운드에서 우승한 최연소 드라이버가 되었다.
2018년 스코다 모터스포츠 팀에 입단하였으며 독일 랠리에서의 포디움 웨일스 랠리, 카탈루냐 랠리에서 2연승을 달렸다.이로써 그해 WRC-2클래스에서 3위를 했다. 또한 그해 아시아 태평양 선수권에 몇라운드 출전하기도 했다.
다음해 WRC-2PRO 클래스 출전하였고 몬테카를로 랠리와 스웨덴 랠리에서 연속 2위 프랑스에서 리타이어 후 칠레, 포르투갈,이탈리아, 핀란드까지 연속 우승 후 독일과 터키에서 3위 웨일스에서 우승 카탈루냐에서의 3위로 칠레 이후 카탈루냐까지의 경기에선 모두 포디움에 오르기도 했다.
워낙 압도적이었기에 그의 실력을 눈여겨본 토요타는 재빠르게 그를 영입하였고 이례적으로 상당히 빠르게 최상위 클래스까지 도달했다.[5][6]
2020년부터 토요타 가주 레이싱 소속으로 뛰며 데뷔 2번째 경기인 스웨덴에서 포디움에 들며 19세에 나이에 역대 최연소로 시상대에 오른 드라이버가 되었으며 아마 다시는 깨지지 않을 기록을 세웠다. 이탈리아랠리에서의 리타이어를 제외하면 나머지 경기를 모두 상위5위 내로 마무리하며 종합 5위라는 상당히 의미 있는 시즌을 보냈다.
2021년 벨기에 랠리에서의 3위 북극 랠리에서 타낙에 이은 2위 에스토니아와 그리스에서의 우승으로 종합 4위라는 성적을 세우고 역대 최연소 랠리 우승자가 되었다.
2022년 매해 보여준 최연소 기록을 이번엔 월드챔피언 타이틀을 따면서 다시한번 보여주었다.
스웨덴, 크로아티아, 포르투갈까지 3연승 케냐, 에스토니아까지 2연승 WRC일정에 복귀한 뉴질랜드 랠리에서 우승 핀란드에서의 2위 카탈루냐에서의 3위로 6번의 우승 2번의 포디움으로 월드챔피언이 되었으며 기존 콜린 멕레이가 가진 27세 109일 기록에서 무려 5살 앞선 22세에 타이틀을 따냈다.[7]
2024 시즌은 휴식을 위해 세바스티앙 오지에와 더불어 파트 타임으로 출전한다.
2라운드 스웨덴 랠리에 출전하여 SS2 1위를 차지하는 등, 선전하고 있었으나 SS4에서의 사고로 최하위권으로 밀려나고 말았다.
3.2. WRC 커리어 종료
2025년 10월 9일, 개인 SNS를 통하여 WRC에서의 은퇴를 발표한 성명문을 게시하였다.#Dear rally community,
I'm writing to let you know that I've decided to retire from the World Rally Championship.
This decision wasn't easy, but I know it's the right one for me to pursue my other dreams in motorsports.
I fell in love with rally as a kid and was fortunate to grow up surrounded by legends and idols,
with the chance to start driving at a very young age. My dream back then was to become a
WRC driver, win a rally, and one day become a World Champion. I'm very proud to have
achieved those goals. This sport has shaped me and my skills in countless ways, and I step
away from it with deep gratitude.
I want to give a special thank you to my trusted co-driver, Jonne, whose relentless work and
friendship have been a vital part of our success.
To my family, my personal team and partners, thank you for standing by me. Over the past
decade, we have worked hard together to reach the top; this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without your commitment and support. And to my first co-driver, Risto, who guided and
taught me when I was just a kid, trusting me to drive flat out through the forests. I will always
be grateful!
I want to thank every team that has given us the opportunity and everyone who has worked
with us along the way. Especially everyone at TGR-WRT, for your tireless hard work, for
believing even when things didn't go as planned, and for sharing the joy when they did. We
have achieved great things together, and there is still much to fight for in 2025. I will give my
all for the rest of this season to help secure the manufacturers' championship and to fight for
the drivers' title.
And most importantly, to you, my fans — thank you for your constant support and huge
emotions. Seeing and feeling your passion and love has been simply unforgettable. I hope to
see as many of you at the last rallies and support us until the very end.
More news soon!
Kalle Rovanperä
I'm writing to let you know that I've decided to retire from the World Rally Championship.
This decision wasn't easy, but I know it's the right one for me to pursue my other dreams in motorsports.
I fell in love with rally as a kid and was fortunate to grow up surrounded by legends and idols,
with the chance to start driving at a very young age. My dream back then was to become a
WRC driver, win a rally, and one day become a World Champion. I'm very proud to have
achieved those goals. This sport has shaped me and my skills in countless ways, and I step
away from it with deep gratitude.
I want to give a special thank you to my trusted co-driver, Jonne, whose relentless work and
friendship have been a vital part of our success.
To my family, my personal team and partners, thank you for standing by me. Over the past
decade, we have worked hard together to reach the top; this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without your commitment and support. And to my first co-driver, Risto, who guided and
taught me when I was just a kid, trusting me to drive flat out through the forests. I will always
be grateful!
I want to thank every team that has given us the opportunity and everyone who has worked
with us along the way. Especially everyone at TGR-WRT, for your tireless hard work, for
believing even when things didn't go as planned, and for sharing the joy when they did. We
have achieved great things together, and there is still much to fight for in 2025. I will give my
all for the rest of this season to help secure the manufacturers' championship and to fight for
the drivers' title.
And most importantly, to you, my fans — thank you for your constant support and huge
emotions. Seeing and feeling your passion and love has been simply unforgettable. I hope to
see as many of you at the last rallies and support us until the very end.
More news soon!
Kalle Rovanperä
친애하는 랠리 커뮤니티 여러분께,
저는 월드 랠리 챔피언십에서 은퇴하기로 결정했음을 알려드립니다.
이 결정은 결코 쉬운 것이 아니었지만, 모터스포츠에서 제 다른 꿈들을 추구하기 위해 옳은 선택이라고 믿습니다.
어린 시절 저는 랠리를 사랑하게 되었고, 전설적인 인물들과 우상들 속에서 자라며 아주 어린 나이에 운전을 시작할 기회를 얻는 행운을 누렸습니다.
그 당시 제 꿈은 WRC 드라이버가 되어 랠리에서 우승하고, 언젠가 세계 챔피언이 되는 것이었습니다.
저는 그 목표들을 이뤄낸 것을 매우 자랑스럽게 생각합니다.
이 스포츠는 제 인생과 기술을 수많은 방식으로 성장시켜 주었고, 저는 깊은 감사의 마음으로 이 무대를 떠나려 합니다.
믿음직한 제 코드라이버 요네에게 특별한 감사를 전합니다.
그의 끊임없는 노력과 우정은 우리가 성공할 수 있었던 핵심적인 부분이었습니다.
저의 가족, 개인 팀, 그리고 파트너 여러분, 그동안 제 곁을 지켜주셔서 감사합니다.
지난 10년 동안 우리는 함께 정상에 오르기 위해 열심히 노력했습니다.
여러분의 헌신과 지원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것입니다.
그리고 제 첫 번째 코드라이버 리스토, 어린 시절 저를 이끌어 주고 숲속을 전속력으로 달릴 수 있도록 믿어주신 분께도 감사드립니다.
그 은혜를 평생 잊지 않겠습니다.
우리에게 기회를 주고 함께해 준 모든 팀과 사람들에게도 감사를 전합니다.
특히 TGR-WRT의 모든 분들, 계획대로 되지 않을 때에도 믿어주시고, 잘 되었을 때에는 기쁨을 함께 나누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우리는 함께 위대한 성과를 이루어냈고, 2025년에도 싸워야 할 것이 아직 많습니다.
남은 시즌 동안 저는 전력을 다해 제조사 챔피언십을 확보하고 드라이버 타이틀을 위해 싸울 것입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팬 여러분께 항상 보내주신 끊임없는 응원과 열정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여러분의 열정과 사랑을 보고 느낄 수 있었던 것은 정말 잊을 수 없는 경험이었습니다.
마지막 랠리 현장에서 최대한 많은 분들을 만나고, 끝까지 함께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조만간 더 많은 소식을 전하겠습니다!
칼레 로반페라
저는 월드 랠리 챔피언십에서 은퇴하기로 결정했음을 알려드립니다.
이 결정은 결코 쉬운 것이 아니었지만, 모터스포츠에서 제 다른 꿈들을 추구하기 위해 옳은 선택이라고 믿습니다.
어린 시절 저는 랠리를 사랑하게 되었고, 전설적인 인물들과 우상들 속에서 자라며 아주 어린 나이에 운전을 시작할 기회를 얻는 행운을 누렸습니다.
그 당시 제 꿈은 WRC 드라이버가 되어 랠리에서 우승하고, 언젠가 세계 챔피언이 되는 것이었습니다.
저는 그 목표들을 이뤄낸 것을 매우 자랑스럽게 생각합니다.
이 스포츠는 제 인생과 기술을 수많은 방식으로 성장시켜 주었고, 저는 깊은 감사의 마음으로 이 무대를 떠나려 합니다.
믿음직한 제 코드라이버 요네에게 특별한 감사를 전합니다.
그의 끊임없는 노력과 우정은 우리가 성공할 수 있었던 핵심적인 부분이었습니다.
저의 가족, 개인 팀, 그리고 파트너 여러분, 그동안 제 곁을 지켜주셔서 감사합니다.
지난 10년 동안 우리는 함께 정상에 오르기 위해 열심히 노력했습니다.
여러분의 헌신과 지원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것입니다.
그리고 제 첫 번째 코드라이버 리스토, 어린 시절 저를 이끌어 주고 숲속을 전속력으로 달릴 수 있도록 믿어주신 분께도 감사드립니다.
그 은혜를 평생 잊지 않겠습니다.
우리에게 기회를 주고 함께해 준 모든 팀과 사람들에게도 감사를 전합니다.
특히 TGR-WRT의 모든 분들, 계획대로 되지 않을 때에도 믿어주시고, 잘 되었을 때에는 기쁨을 함께 나누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우리는 함께 위대한 성과를 이루어냈고, 2025년에도 싸워야 할 것이 아직 많습니다.
남은 시즌 동안 저는 전력을 다해 제조사 챔피언십을 확보하고 드라이버 타이틀을 위해 싸울 것입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팬 여러분께 항상 보내주신 끊임없는 응원과 열정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여러분의 열정과 사랑을 보고 느낄 수 있었던 것은 정말 잊을 수 없는 경험이었습니다.
마지막 랠리 현장에서 최대한 많은 분들을 만나고, 끝까지 함께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조만간 더 많은 소식을 전하겠습니다!
칼레 로반페라
3.3. 두바이 24시
2024년 12월 23일, 2025년에 열릴 두바이 24시에 참가 의사를 밝혔다. 커리어 최초로 GT3를 경험할 예정이다.#3.4. 엔듀로 GP
2025년 1월 7일, 칼레 로반페라는 KR69 월드 엔듀로 팀을 창단해 엔듀로 GP에 참여할 예정이다. 드라이버는 핀란드 국적의 로니 키토넨이다.#3.5. 슈퍼 포뮬러
3.5.1. 2026 시즌
| 칼레 로반페라, 2026년부터 슈퍼 포뮬러 풀 시즌 참가 예정 |
2025년 10월 9일, WRC 은퇴를 밝힌 같은 날에 2026년부터 풀시즌 참가 소식이 전해졌으며, 아직 어느 팀으로 출전할지는 정해지지 않았다.
다만, 오시마 카즈야가 2025년 시즌을 마치고 슈퍼 포뮬러를 은퇴하기 때문에, 도코모 비즈니스 팀 루키에 둥지를 틀 가능성도 없지는 않다. 마침 루키 레이싱이 모리조 직속 레이싱팀인 관계로....
3.6. 포뮬러 2
3.6.1. 참가 이전
| 칼레 로반페라 1차 F2 테스트 |
2025년 10월 28일, 개인 SNS를 통해 첫 F2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마쳤다는 게시글을 올렸다.#
3.6.2. 2027 시즌
개인 sns를 통해 2027년에 F2에 진출할 것으로 밝히긴 했으나, 추후 지켜 볼 여지가 있다.[1] 역대 최연소.[2] 당시 해외 랠리 쪽에서 바이럴 영상으로 인기가 있었다.[3] 참가한 첫 대회는 Hiiumaa ralli로서 토요타 스타렛을 타고 참가.[4] 본래 핀란드는 18세이상이어야만 면허를 딸 수 있다.[5] 가뜩이나 제조사들도 빠졌고 썩은물, 고인물들이 판을 치는 최상위 클래스라 바로 밑 클래스에서 종합 우승을 해도 자리가 나지 않는다. 결국 해가 지나도 바뀌는 건 기존 최상위 클래스에 있는 팀들간에 선수 교체만이 존재한다.[6] M-스포트를 예로 하면 wrc1으로 올라온다 쳐도 팀의 경쟁력, 고인물들 사이에서 적응을 못해 어느새 방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7] 물론 제대로된 선수가 없던 M-스포트, 타팀들에 비해 몹시 짧고 촉박한 준비 기간으로 허접한 차량을 준비하며 순전히 드라이버 기량으로 포인트를 쌓아야 했던 현대와 팀메이트의 쇠퇴 및 오지에의 피트 타임 전환 크리티컬이 제대로 한 박자에 터져 일어나게 되었지만 기적같은 기록이라고 불리지 않을 이유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