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암호화폐 목록(2024년 1월 12일 기준, 시가총액 순위로 정렬) | |
<colbgcolor=#000><colcolor=#fff>관련 용어 | 블록체인 · 스마트 컨트랙트 · 작업 증명 · 지분 증명 · 알트코인 · ICO · P2E · NFT · 탈중앙화 | |
국내 주요 거래소 | ||
상위권 주요 글로벌 거래소 | ||
관련 이슈 | 그래픽 카드 채굴 대란 (2021년 · 2022년) · 대한민국의 암호화폐 규제 논란 · 김치 프리미엄 ·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 |
관련 범죄 | 스캠 코인 · 크립토재킹 | |
사건/사고 | 비트코인 플래티넘 사건 · 2022년 LUNA 대폭락 · FTX 파산 | }}}}}}}}} |
1. 개요
카이아(KAIA)는 대한민국 기반 블록체인 프로젝트인 카카오의 클레이튼(Klaytn)과 일본 라인(LINE)의 블록체인인 라인 블록체인(Line Blockchain)이 통합되어 출범한 통합 메인넷이다.양사가 2024년 초 블록체인 사업을 통합하면서 등장한 신규 브랜드로, KAIA는 동아시아 지역의 Web3 허브를 지향한다.
KAIA는 기술 및 생태계 양 측면에서 기존 클레이튼과 라인 블록체인의 강점을 결합하여 NFT, 게임, 커뮤니티, DID, 디파이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을 시도하고 있다.
2. 배경
- 클레이튼(Klaytn) 카카오가 중심이 된 퍼블릭 블록체인 프로젝트로, 주로 국내 시장과 NFT, 게임 중심 생태계를 구축
- 라인 블록체인 일본의 라인이 개발한 자체 체인으로, 토큰 이코노미와 서비스 연계에 강점
2024년 두 체인은 공동 운영 재단을 설립하고 KAIA라는 브랜드 아래로 통합되었으며, 글로벌 파트너십과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3. KAIA 코인
KAIA는 통합 메인넷에서 사용되는 네이티브 코인으로, 다음과 같은 용도로 사용된다.- 트랜잭션 수수료 스마트 컨트랙트 실행 및 전송 시 수수료 지불
- 디앱 연동 NFT, 게임, 지갑 등 다양한 Web3 서비스에서 사용
- 스테이킹 및 보상 구조 노드 운영 참여자에게 보상 분배
- 거버넌스 참여 커뮤니티 기반 제안 및 투표 시스템 운영 예정
4. 생태계 구성
KAIA는 다음과 같은 생태계를 중심으로 확장 중이다.- NFT 마켓플레이스 및 콘텐츠 IP 제휴
- Web3 게임 플랫폼 및 런치패드
- 디지털 아이덴티티(DID) 및 지갑 인프라
- Web2 기업 대상 블록체인 BaaS 솔루션
- KLAY 및 LINK의 토큰 스왑 지원
5. 특징
- 동아시아 Web3 특화 한국과 일본 양국의 시장과 규제 환경에 맞는 체인 설계
- 확장성과 호환성 EVM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 및 다양한 크로스체인 연동
- 기업 친화적 구조 대기업 및 브랜드 대상 NFT 발행 및 디지털 유틸리티 지원
- 이중 커뮤니티 기반 카카오와 라인의 사용자 풀과 개발자 네트워크를 활용
6. 활용 가능성
KAIA는 브랜드, 미디어, 게임 등 다양한 콘텐츠 기반 산업과 연계하기 용이한 구조 덕분에, 참여형 사용자 보상 구조와도 상호작용이 가능하다.예를 들어 리워디 월렛은 유저가 댓글 작성, 설문 참여, 콘텐츠 소비 등을 통해 포인트를 적립하고 자체 토큰으로 전환하는 보상형 커뮤니티 플랫폼인데, KAIA처럼 기업 연계형 NFT나 포인트 전환 생태계와 접목될 경우, 보상 자산의 NFT화, 브랜드와의 마일리지 연계 등의 다양한 융합 사례로 확장될 수 있다.
7. 관련 링크
* 공식 홈페이지* 공식 블로그
* 트위터
* 깃허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