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27 14:47:08

최인호(야구선수)/선수 경력/2025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최인호(야구선수)/선수 경력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bordercolor=#FC4E00,#FC4E00> 파일:25야수_41_최인호.png 관련 문서
최인호
Choi In-ho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마추어 경력
포항제철고등학교 야구부
프로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2007~2024).svg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
한화 이글스
Hanwha Eagles
2020년·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2026년
기타
플레이 스타일 · 여담 · 분류
}}}}}}}}} ||
최인호의 연도별 시즌 일람
2024년 2025년 2026년
파일:호홈런최인호홈런최인호워어어어.jpg

1. 개요2. 시즌 전
2.1. 스프링캠프2.2. 시범경기
3. 정규시즌
3.1. 전반기
3.1.1. 3월3.1.2. 4월3.1.3. 5월3.1.4. 6월3.1.5. 7월
3.2. 후반기
3.2.1. 7월3.2.2. 8월3.2.3. 9월3.2.4. 10월
4. 포스트시즌5. 시즌 후 총평
5.1. 정규시즌5.2. 포스트시즌
6. 시즌 후7. 관련 문서

1. 개요

2025년 한화 이글스 소속 외야수 최인호의 활약상을 담은 개별 문서.

2. 시즌 전

산체스가 방출되며 34번이 공석이 되어 34번으로 돌아갈 수도 있다는 의견도 있었지만, 41번으로 번호를 유지했다.

2.1. 스프링캠프

2월 15일 호주 국가대표팀과의 연습경기 2차전 7회 초, 워릭 서폴드를 상대로 동점 솔로홈런을 기록하였다.

2월 18일 자체 청백전 3번타자 좌익수로 선발 출장하였다. 3안타를 기록하며 물오른 타격감을 보여주었다.

2.2. 시범경기

파일:최인호2025-시범.jpg
시범경기 기록
<rowcolor=#fff>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삼진
7 12 2 1 0 0 2 3 1
<rowcolor=#fff> 볼넷 사구 병살타 도루 결승타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1 0 1 0 0 .167 .250 .250 .500

3월 10일 SSG 랜더스와의 시범경기 1차전에서 2번 지명타자로 선발 출전하여 선취 득점 및 2루타 포함 4타수 1안타 1득점을 기록했다.
3월 11일도 지명타자로 출전하여 3타수 1안타 1타점 1득점을 기록했다.

3. 정규시즌

3.1. 전반기

3.1.1. 3월

파일:최인호2025-3월.jpg
3월 월간 기록
<rowcolor=#fff>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삼진
6 6 0 0 0 0 1 0 3
<rowcolor=#fff> 볼넷 사구 병살타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sWAR
1 1 1 1 .000 .250 .000 .250 -0.08

3월 28일 KIA 타이거즈와의 시즌 첫 경기 7회말 동점 2사만루 상황에 밀어내기 사구를 기록하며 결승타를 챙겼다.

3.1.2. 4월

파일:최인호2025-4월.jpg
4월 월간 기록
<rowcolor=#fff>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삼진
11 20 7 2 0 0 1 2 4
<rowcolor=#fff> 볼넷 사구 병살타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sWAR
4 0 0 0 .350 .458 .450 .908 0.09

4월 11일 키움 히어로즈와의 시즌 첫 경기에 대타 출전하여 시즌 첫 안타를 기록했다.
4월 12일 대타로 나와 안타 2개를 기록했다.
4월 13일, 전날의 활약에 힘입어 3번 지명타자로 출장한다. 이날 안타 하나를 기록했다.
4월 17일 SSG 랜더스와의 시즌 3차전 경기 1번 타자 좌익수로 선발 출전했다. 타석에서는 2루타 두개로만 1득점 1타점을 기록하며 활약했으나, 수비에서는 초반에 아쉬운 다이빙이 있었다. 경기 기록은 4타수 2안타 1타점 1득점.
4월 18일 전날의 활약에 힘입어 1번 좌익수로 나와 타격으로는 준수한 모습을 보여줬다. 경기 후반 수비 과정에서 손아섭 타구를 처리하기 위해서 달려가다가 하주석과 충돌하여 결국 절뚝거리며 구급차에 실려나갔다. 다행히도 큰 부상은 아닌 타박상.
4월 20일 김태연이 번트과정에서 손에 공을 맞자 1스트라이크 상황에서 대타로 출전하였고 좌익수가 실책성 플레이를 하며 무사 만루를 만들어냈다. 그리고 출루하자마자 대주자로 교체됐다.
4월 21일 충돌의 여파가 있는지 결국 선수 보호 차원에서 1군에서 말소되었다.
4월 29일 퓨처스리그 고양 히어로즈와의 경기 1번 타자 좌익수 선발로 출전하며 다시 시동을 걸고 있다.

3.1.3. 5월

파일:최인호2025-5월.jpg
5월 월간 기록
<rowcolor=#fff>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삼진
18 41 7 1 0 1 5 1 7
<rowcolor=#fff> 볼넷 사구 병살타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sWAR
2 0 3 0 .171 .209 .268 .477 -0.48

5월 1일 2군에서 뛰면서 확인이 다 끝나고 다시 1군으로 콜업됐다.
5월 4일 KIA 타이거즈와의 시즌 5차전 5회초 1점차 주자 1, 3루 상황에 대타 출전하여 네일을 상대로 동점 적시타를 때려냈다. 이닝 종료 후 곧바로 이재원과 교체되었다.
5월 5일 삼성 라이온즈와의 시즌 4차전 1번 지명타자로 선발 출전해 4타수 무안타 1삼진으로 부진하였다. 세번째 타석에서 잘 맞은 타구가 유격수 직선타가 된것이 아쉬운 부분.
5월 6일 삼성 라이온즈와의 시즌 5차전 경기 역시 1번 지명타자로 선발 출전하여 4타수 2안타를 기록했다.
파일:호홈런최인호홈런최인호워어어어.gif
최인호의 동점 투런 홈런
5월 13일 두산 베어스와의 시즌 4차전 경기 7번타자 좌익수로 선발 출전했다. 앞선 3타석에선 출루하지 못하며 좋지 않은 모습을 보여줬지만, 9회말 2아웃 풀카운트 2점차 주자 1루 상황에서 김택연을 상대로 극적인 동점 투런을 터뜨리며 경기를 연장으로 끌고 갔다. 다만 팀은 11회 연장 결투 끝에 김종수가 아쉽게 실점을 허용하며 패배했다.
5월 14일 전날 홈런을 때린 만큼 곧바로 1번 타자 좌익수 선발로 출전했다. 그리고 5회말 만루 기회가 왔으나 아쉽게도 병살타 엔딩을 해버리고 말았다. 결과적으로 최인호마저 상위 타선으로 두게 되면서 도리어 하위 타선의 공격력이 더 떨어지는 결과가 되어버렸다.
5월 18일 김태연 타석에서 대타로 나와 안타를 쳤지만 후속타자들이 이어주는데 실패하며 대수비 이도윤으로 교체되었다.
지속적으로 타격감이 부진하지만 5월 25일 채은성이 쇄골 타박상으로 이탈한 자리에 5번 지명타자로 선발 출장했다. 결국 이 날 타격에서 부진하며 경기 중반 채은성으로 교체되었다.

3.1.4. 6월

파일:6월최인호.jpg
6월 월간 기록
<rowcolor=#fff>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삼진
17 31 13 3 0 0 7 2 3
<rowcolor=#fff> 볼넷 사구 병살타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sWAR
3 3 0 0 .419 .500 .516 1.016 0.41

6월 3일 대전 신구장 kt전 대타로 나와서 빠른 발로 뛰는 것과 동시에 1루 헤드 퍼스트 슬라이딩하였고 결과적으로 최인호의 빠른 발에 당황한 상대가 실수를 범하며 1타점 적시타의 주인공이 되며 팬들에게 도파민을 선사했다.
6월 4일 kt전에서 우규민을 상대로 대타로 출전해서 내야안타로 1타점을 기록, 2:4로 앞서가게 됐다. 9회에 김서현이 1실점을 하면서 3:4로 좁혀지면서 이 타점은 팀 승리에 아주 결정적으로 작용했다.
6월 7일 광주 KIA전 7번 지명타자로 선발 출전했다. 상위 타선 보다는 하위 타선에서 윤활유로 활약하는 역할이 맞는지 중요한 순간에 안타를 터뜨리며 출루했고 그대로 대주자로 교체됐다.
6월 8일 8회 황영묵의 대타로 나와서 중견수 방면 안타를 때리고 대주자 이상혁으로 교체되었다.
6월 10일 대전 신구장 두산전 7회말 대타로 올라와서 2타점 적시타를 터뜨리며 오늘도 두산전에 강하다는 걸 증명했다. 대타 출전 시 22타수 10안타의 놀라운 성적은 덤.
6월 11일 대전 신구장 두산전 계속해서 두산에 강하다는 데이터 효과인지 2번 지명타자로 선발 출전했고 중요한 순간에 안타도 쳐내고 볼넷으로 출루하는 것에 성공하며 오늘도 두산에 강하다는 걸 멀티 출루로 증명했다.
6월 14일 하주석 대타로 나왔지만 루상에서 이원석이 아쉬운 주루플레이를 보여주며 공은 건드려보지도 못하고 타석을 마치게 되었다.
6월 27일 5번 지명타자로 선발 출전하여 1타점 2루타를 포함한 2안타 4출루 2타점을 기록하며 6월의 좋은 감을 이어나갔다.
6월 28일 어제의 활약을 바탕으로 다시 5번타자로 선발 출장하여 6회초 세 번째 타석에서 앤더슨을 강판시키는 1타점 적시타를 때려냈다. 8회초에도 큼지막한 희생플라이로 귀중한 1타점을 추가했다.

3.1.5. 7월

파일:7월최인호.jpg
7월 월간 기록
<rowcolor=#fff>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삼진
12 22 2 0 0 0 0 0 7
<rowcolor=#fff> 볼넷 사구 병살타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sWAR
3 1 1 0 .091 .231 .091 .322 -0.21

7월 1일 대전 신구장 NC전 6번 지명타자로 선발 자리를 차지했다. 그러나 무안타를 기록하면서 아쉬운 모습을 보여줬다.
7월 2일 NC전 9회말 무사 1루 찬스를 3-1에서 타격하며 병살로 말아 먹었다. 심지어 지명타자임에도 타격이 처참한 모습을 보여 비판 여론이 크다.이분 시절이면 2군 가서 평생 썩었을 것이다, SSG전에서 보여준 그 모습은 환상이었다는 듯이 너무 한순간에 전혀 다른 모습을 보여주며 팬들의 멘탈을 뒤흔들었다. 그래도 누구씨와 달리 투수가 흔들리니 그걸 파악하고 중요한 순간에 볼넷으로 출루하며 만루 찬스를 만들기는 했다.누구씨가 곧바로 초구딱으로 증발시켰지만
7월 10일 대전 신구장 KIA전 대타로 나와서 중요한 순간에 안타를 쳐냈고 이후 리베라토가 희생타를 쳐내며 득점에 기여했다. 9회말 1사 만루 상황에서 스트라이크존에 들어온 공을 노렸으나 빗맞게 되면서 3루수 파울 플라이 아웃으로 물러나게 됐다.

3.2. 후반기

3.2.1. 7월

7월 23일 두산전만 멀티 출루를 달성했다.
7월 25일 대전 신구장 SSG전, SSG전에서 좋은 기억이 있었던 만큼 지타로 선발 출전했으나 무안타를 기록하며 아쉬움을 남겼다.

3.2.2. 8월

8월 월간 기록
<rowcolor=#fff>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삼진
3 3 0 0 0 0 0 0 2
<rowcolor=#fff> 볼넷 사구 병살타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sWAR
0 0 0 0 .000 .000 .000 .000 -0.10

8월 1일, 최근 경기 부진으로 말소되었다.[1]
8월 12일 퓨처스 NC전 2루타 포함 2안타를 쳐내고 볼넷까지 하나 얻어내며 3출루 경기를 달성했다.
8월 29일 부상자 명단에 이름을 올린 리베라토의 빈자리에 콜업됐다. 퓨처스에서는 8월 10일 경기부터 4G 연속 타점을 기록한 모습을 보여줬다.

3.2.3. 9월

파일:9월최인호.jpg
9월 월간 기록
<rowcolor=#fff>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삼진
9 10 4 2 0 0 2 1 3
<rowcolor=#fff> 볼넷 사구 병살타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sWAR
0 0 0 0 .400 .400 .600 1.000 -

9월 10일, 경기 후반 대수비로 나왔고, 마지막 타석에서는 담장을 맞고 떨어지는 2루타를 때려냈다.
9월 18일에는 우전 적시타를 때려냈다.

3.2.4. 10월

파일:10월 최인호.jpg
10월 월간 기록
<rowcolor=#fff>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삼진
2 6 3 1 0 1 3 1 0
<rowcolor=#fff> 볼넷 사구 병살타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sWAR
0 0 0 0 .500 .500 1.167 1.667 -

10월 3일 수원 kt전 최종전 3번 좌익수로 오랜만에 선발 출장 경기를 가졌다. 첫 타석 선취 3점 홈런을 날리면서 리드를 가져왔고, 이후 세 타석 연속 범타로 물러났지만, 10회 선두타자 안타로 멀티히트를 기록하면서 정규시즌을 마쳤다.

4. 포스트시즌

4.1. 플레이오프

파일:최인호2025-플옵.jpg
플레이오프 기록
<rowcolor=#fff>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삼진
2 5 0 0 0 0 0 0 0
<rowcolor=#fff> 볼넷 사구 병살타 도루 결승타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0 0 0 0 0 .000 .000 .000 .000
---
10월 21일 플레이오프 3차전 대구 삼성전에서 8번 타자 우익수로 데뷔 첫 포스트시즌 선발 출전을 하게 되었다. 3타수 무안타로 아쉬운 모습을 보였으나 3회말 뜬공을 캐치한 후 1루로 송구하여 1루주자 강민호를 포스아웃시키는 보살을 만들어 팀의 승리에 공헌했다.

4.2. 한국시리즈

파일:최인호2025-코시.jpg
한국시리즈 기록
<rowcolor=#fff>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삼진
3 6 1 1 0 0 0 1 1
<rowcolor=#fff> 볼넷 사구 병살타 도루 결승타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1 0 0 0 0 .167 .286 .333 .619

5. 시즌 후 총평

5.1. 정규시즌

2025 시즌 최종 기록
<rowcolor=#fff>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78 139 36 9 0
<rowcolor=#fff> 홈런 타점 득점 삼진 볼넷
2 19 7 29 13
<rowcolor=#fff> 사구 병살타 도루 wRC+ WPA
5 5 1 97.0 -0.24
<rowcolor=#fff>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sWAR
.259 .342 .367 .709 0.05
시즌 5위 이상 기록 볼드체 표기

팀이 7년만에 가을야구로 향한 중요한 시기에 지난 2년보다 훨씬 퇴보한 모습으로 전력에 큰 보탬이 되지 못했다. 대타로 출장했을시 타율 0.308 OPS 0.757로 나름 쏠쏠한 결과를 냈지만 반대로 말하면 선발로 나왔을때는 시즌 평균보다도 훨씬 못했다는 얘기다.

문현빈이 좌익수로 고정되면서 한화 외야의 경쟁 난이도가 상승하긴 했으나 우익수 자리에는 이원석이나 김태연처럼 고만고만한 성적을 낸 선수들도 기회를 넘치도록 받았기에 최인호가 지난 2년간의 타격을 그대로 보여주기만 했어도 그들을 밀어내기는 어렵지 않았을 것이다[2]. 하다못해 안치홍이 시즌을 통으로 말아먹은 지명타자 자리라도 충분히 차지할 수 있었을텐데 본인의 부진으로 인해 기회를 차지하지 못했다. 결과적으로 타격 성적만 보면 경쟁자들에 비해 비교적 나았기에 기회를 더 주지 않은 김경문 감독의 문제라고 볼 여지도 있지만 어쨌든 최인호 역시 기회가 주어졌을때 실망스러운 모습을 많이 보였던 것도 사실이다.

그래도 시즌 말미에 괜찮은 감을 보이며 플레이오프, 한국시리즈에서 선발출장 기회도 얻으며 몇몇 인상적인 장면을 만들어내기도 했다. 하지만 다음 시즌에도 치열한 경쟁은 불가피하기에 이번 시즌보다 훨씬 나은 성적을 낼 필요가 있다.

5.2. 포스트시즌

포스트시즌 기록
<rowcolor=#fff> 경기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삼진
5 11 1 1 0 0 0 1 1
<rowcolor=#fff> 볼넷 사구 병살타 도루 결승타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1 0 0 0 0 .091 .167 .182 .349

6. 시즌 후

7. 관련 문서


[1] 손아섭의 트레이드 영향도 있을 듯 하다.[2] 게다가 이진영, 이원석, 김태연 등과 다르게 최인호는 좌타라서 좌우놀이를 좋아하는 김경문 감독 특성상 기용에 메리트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