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1. 개요2. 폐선된 시내, 좌석버스 목록
2.1. 10-1번, 10-2번
3. 폐선된 공영버스 목록2.1.1. 역사
2.2. 113번2.3. 114번(1기 노선)2.4. 115번(1기 노선)2.4.1. 역사
2.5. 115-1번2.6. 116번2.6.1. 역사
2.7. 117번(1기 노선)2.8. 117번(2기 노선)2.9. 118번2.10. 119번2.11. 207번, 207-1번2.12. 211번(1기 노선)2.13. 211-1, 211-2번2.14. 212-1, 212-2, 212-3번2.15. 213(1기 노선), 213-1, 213-2번2.16. 216-1번2.17. 218번2.18. 311-1번2.19. 312, 312-1, 312-2, 317, 318번2.20. 313-1, 313-2번2.21. 315-1번2.22. 316번2.23. 405번2.24. 411번2.24.1. 역사
2.25. 412-1번2.26. 413번2.27. 416-1번2.28. 417-1, 417-2, 417-3번2.29. 418번2.30. 419번2.31. 511-1번2.32. 512-1, 512-2번2.33. 512-3번2.34. 513-1, 513-2번2.35. 515번2.36. 517, 517-1, 517-2번2.37. 520번2.37.1. 역사
2.38. 612번2.39. 613번2.40. 614번2.41. 615번2.42. 616번2.43. 617번2.44. 712-1번2.45. 713-1, 713-2번2.45.1. 역사
2.46. 714번2.47. 716번2.48. 720-1번2.49. 721번2.50. 750번2.51. 821번2.51.1. 역사
2.52. 822-1번, 822-2번2.52.1. 역사
2.53. 824번2.53.1. 역사
2.54. 825번2.55. 826번2.55.1. 역사
2.56. 831-1번2.57. 835번2.58. 841-1번2.59. 842번(1기 노선)2.60. 842번(2기 노선)2.60.1. 역사
2.61. 852-1번2.62. 861번2.62.1. 역사
2.63. 863번(1기 노선)2.63.1. 역사
2.64. 872, 872-1번(1기 노선)2.64.1. 역사
2.65. 911-1번2.66. 913-1번2.67. 915-1, 915-2번2.68. 918, 918-1번2.69. 919번2.70. 921-1번1. 개요
- 2006년 3월 개편 이후에 폐선된 노선들을 기재하였다.
- 운행경로는 일부 노선을 제외하고는 폐선 직전 노선을 기준으로 하며, 형간전환되었던 노선의 경우 폐선 직전의 노선 형태 기준으로 작성한다.
2. 폐선된 시내, 좌석버스 목록
2.1. 10-1번, 10-2번
청주시 시내버스 10-1번 | |||||
기점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정동(동부종점) | 종점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정동(동부종점) | ||
첫차 | 05:53 | 막차 | 22:05 | ||
배차 간격(평일) | 10~18분(1일 58회) | 배차 간격(휴일) | ? | ||
노선 | 동부종점 - 국제테니스장 - 주성고교 - 용담동우체국 → 금천고교.혜원학교 → 용암부영2차 → 용암초교 → 원봉초교 → 분평주공2단지 → 청주교육대학교 → 꽃다리 → 육거리시장 → 일신여고 → 금천동주민센터 → 금천초교 → 용담동우체국 이하 역순 |
청주시 시내버스 10-2번 | |||||
기점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정동(동부종점) | 종점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정동(동부종점) | ||
첫차 | 06:00 | 막차 | 22:30 | ||
배차 간격(평일) | 14~18분(1일 58회) | 배차 간격(휴일) | ? | ||
노선 | 동부종점 - 국제테니스장 - 주성고교 - 용담동우체국 → 금천초교 → 금천동주민센터 → 일신여고 → 육거리시장 → 꽃다리 → 청주교육대학교 → 분평주공2단지 → 원봉초교 → 용암초교 → 용암부영2차 → 금천고교.혜원학교 → 용담동우체국 이하 역순 |
동부종점에서 출발해 금천동과 용암동, 분평동을 순환하는 노선이었다.
파일:cjbus10-1.png
2.1.1. 역사
- 2005년경에 신설되어, 2006년에 위와 같은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관련 내용
- 2013년 12월 1일에 이 두 노선과 822-1, 822-2, 824, 826번과 통합되어 2023년 12월 청주 시내버스 개편 이전의 50-1(2)번이 되었다. 50-1(2)번의 동부종점 - 금천중학교 - 농협동청주지점 구간이 이 노선의 흔적이다.
2.2. 113번
2.3. 114번(1기 노선)
청주시 시내버스 114번(1기) | |||||
기점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정동(동부종점) | 종점 |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덕상리(덕상리) | ||
종점행 | 첫차 | 08:34 | 기점행 | 첫차 | 07:17 |
막차 | 18:45 | 막차 | 17:29 | ||
배차간격 | 300~302분(1일 3회) | ||||
노선 | 동부종점 - 용성초교후문 - 용암부영2차 - 용암초교 - 원봉초교 - 영운동주민센터 - 육거리 - 충북도청 - 상당공원 - 청주시청 - 청주대학교 - 내덕2동주민센터 - 신흥고교 - 수름재 - 덕동 - 원통리 - 무지개아파트 - 내수주공아파트 - 내수초교 - 북이면사무소 - 북이초교 - 한라비발디아파트 - 증평우체국 - 증천리 - 남하1구 - 죽리 - 덕상리 |
동부종점에서 출발해, 증평군 증평읍 덕상리까지 운행하는 노선이었다.
2.3.1. 역사
- 본래 153번이라는 노선번호가 부여되어있었으나 2006년 대개편 당시에 114번으로 노선번호가 변경되었다.
2.3.2. 시간표
114번 운행시간표 | ||
횟수 | 동부종점 | 남차리 |
1 | 07:17 | 08:34 |
2 | 12:17 | 13:34 |
3 | 17:29 | 18:45 |
2.4. 115번(1기 노선)
청주시 시내버스 115번(1기) | |||||
기점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정동(동부종점) | 종점 |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남차리(남차리) | ||
종점행 | 첫차 | ? | 기점행 | 첫차 | ? |
막차 | ? | 막차 | ? | ||
배차간격 | 1일 2회 | ||||
노선 | 동부종점 - 용성초교 - 용암부영2차 - 용암초교 - 원봉초교 - 영운동주민센터 - 육거리 - 충북도청 - 상당공원 - 청주시청 - 청주대학교 - 내덕2동주민센터 - 신흥고교 - 수름재 - 덕동 - 원통리 - 무지개아파트 - 내수주공아파트 - 내수초교 - 북이면사무소 - 북이초교 - 한라비발디아파트 - 증평우체국 - 증천리 - 남하1구 - 죽리 - 남차리 |
동부종점에서 출발해, 증평군 증평읍 남차리까지 운행하는 노선이었다.
2.4.1. 역사
- 본래 155번이라는 노선번호가 부여되어있었으나 2006년 대개편 당시에 115번으로 노선번호가 변경되었다.
2.5. 115-1번
2.6. 116번
청주시 시내버스 116번 | |||||
기점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정동(동부종점) | 종점 |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용강리(한국교통대학교) | ||
종점행 | 첫차 | 06:56 | 기점행 | 첫차 | 08:15 |
막차 | 20:53 | 막차 | 22:10 | ||
배차 간격 | 9~300분(1일 15회) | ||||
노선 | 동부종점 - 용성초교후문 - 용암부영2차 - 용암초교 - 원봉초교 - 영운동주민센터 - 육거리 - 충북도청 - 상당공원 - 청주시청 - 청주대학교 - 내덕2동주민센터 - 신흥고교 - 수름재 - 덕동 - 원통리 - 무지개아파트 - 내수주공아파트 - 내수초교 - 북이면사무소 - 북이초교 - 한라비발디아파트 - 증평우체국 - 증천리 - 남하1구 - 용강리 - 한국교통대학교 |
동부종점에서 출발해, 증평군에 위치한 한국교통대학교까지 운행하는 노선이었으며, 현재의 111번과 동일한 노선이었다. 노선번호가 116번에서 111번으로 변경된 것.
2.6.1. 역사
- 본래 120번[1]이라는 노선번호가 부여되어있었으나 2006년 대개편 당시에 116번으로 노선번호가 변경되었다.
2.7. 117번(1기 노선)
청주시 시내버스 117번(1기) | |||||
기점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정동(동부종점) | 종점 | 충청북도 증평군 도안면 광덕리(도안농공단지) | ||
종점행 | 첫차 | 18:46 | 기점행 | 첫차 | 06:25 |
막차 | 20:21 | 막차 | 21:40 | ||
배차간격 | 37~782분(1일 2~4회) | ||||
노선 | 동부종점 - 용성초교후문 - 용암부영2차 - 용암초교 - 원봉초교 - 영운동주민센터 - 육거리 - 충북도청 - 상당공원 - 청주시청 - 청주대학교 - 내덕2동주민센터 - 신흥고교 - 수름재 - 덕동 - 원통리 - 무지개아파트 - 내수주공아파트 - 내수초교 - 북이면사무소 - 북이초교 - 한라비발디아파트 - 증평우체국 - 형석중.고등학교 - 화성리 - 도안역 - 송정리 - 석곡리 - 도안농공단지 |
동부종점에서 출발해, 증평군 도안면에 위치한 도안농공단지까지 운행하는 노선이었으며, 폐선 이후에는 농어촌버스 업체인 아성교통이 증평 - 도안농공단지 구간을 대신 운행하고 있다.
2.7.1. 역사
- 본래 103번이라는 노선번호가 부여되어있었으나 2006년 대개편 당시에 117번으로 노선번호가 변경되었다.
2.7.2. 시간표
117번(1기 노선) 운행시간표 | ||
횟수 | 동부종점 | 도안농공단지 |
1 | 06:25 | |
2 | 07:02 | |
3 | 18:46 | 20:04 |
4 | 20:21 | 21:40 |
2.8. 117번(2기 노선)
2.9. 118번
청주시 시내버스 118번 | |||||
기점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정동(동부종점) | 종점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금대리(금대리) | ||
종점행 | 첫차 | 06:26 | 기점행 | 첫차 | 07:38 |
막차 | 20:43 | 막차 | 21:59 | ||
배차간격 | 68~173분(1일 6회) | ||||
노선 | 동부종점 - 용성초교후문 - 용암부영2차 - 용암초교 - 원봉초교 - 영운동주민센터 - 육거리 - 충북도청 - 상당공원 - 청주시청 - 청주대학교 - 내덕2동주민센터 - 신흥고교 - 수름재 - 덕동 - 원통리 - 무지개아파트 - 내수주공아파트 - 내수초교 - 북이면사무소 - 장재2리 - 광암리 - 송정리 - 금대리 |
동부종점에서 출발해, 북이면 금대리까지 운행하는 노선이었으며, 금대리까지만 운행한다는 것을 제외하면 113번과 동일한 노선이었다.
2.9.1. 역사
- 본래 154번이라는 노선번호가 부여되어있었으나 2006년 대개편 당시에 118번으로 노선번호가 변경되었다.
- 2012년 3월 1일, 113번과 통합되어 폐선되었다.
2.9.2. 시간표
118번 운행시간표 | ||
횟수 | 동부종점 | 금대리 |
1 | 06:26 | 07:38 |
2 | 09:15 | 10:31 |
3 | 12:07 | 13:23 |
4 | 14:59 | 16:15 |
5 | 17:51 | 19:07 |
6 | 20:43 | 21:59 |
2.10. 119번
2.11. 207번, 207-1번
청주시 좌석버스 207번 | |||||
기점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율량동(율량중종점) | 종점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미원면종점) | ||
종점행 | 첫차 | 05:59 | 기점행 | 첫차 | 06:13 |
막차 | 21:35 | 막차 | 22:41 | ||
배차간격 | 16~62분(1일 25~26회[4]) | ||||
노선 | 율량중종점 - 덕성초 - 상당공원 - 고은 - 미원 |
청주시 좌석버스 207-1번 | |||||
기점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율량동(율량중종점) | 종점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미동산수목원종점) | ||
종점행 | 첫차 | 06:51 | 기점행 | 첫차 | 06:39 |
막차 | 21:09 | 막차 | 22:15 | ||
배차간격 | 78분(1일 12~13회[5]) | ||||
노선 | 율량중종점 - 덕성초 - 상당공원 - 고은 - 미동산수목원 |
본래 좌석버스 노선이었지만, 2008년 9월 1일부로 입석버스 노선으로 207번은 211번, 207-1번은 211-2번으로 형간전환 및 통폐합되었다.
====# 207번 시간표 #====
207번 운행시간표 | ||
횟수 | 율량중종점 | 미원면종점 |
1 | 05:59 | 06:13 |
2 | 06:25 | 07:05 |
3 | 07:17 | 07:31 |
4 | 07:43 | 08:23 |
5 | 08:35 | 08:39 |
6 | 09:01 | 09:41 |
7 | 09:53 | 10:07 |
8 | 10:19 | 10:59 |
9 | 11:11 | 11:25 |
10 | 11:37 | 12:17 |
11 | 12:29 | 12:43 |
12 | 12:55 | 13:35 |
13 | 13:47 | 14:01 |
14 | 14:13 | 14:53 |
15 | 15:05 | 15:19 |
16 | 15:31 | 16:11 |
17 | 16:23 | 16:37 |
18 | 16:49 | 17:29 |
19 | 17:41 | 17:55 |
20 | 18:07 | 18:47 |
21 | 18:59 | 19:13 |
22 | 19:25 | 20:05 |
23 | 20:17 | 20:31 |
24 | 20:43 | 21:23 |
25 | 21:35 | 21:49 |
26 | - | 22:41 |
====# 207-1번 시간표 #====
207-1번 운행시간표 | ||
횟수 | 율량중종점 | 미동산수목원종점 |
1 | 06:51 | 06:39 |
2 | 08:09 | 07:57 |
3 | 09:27 | 09:15 |
4 | 10:45 | 10:33 |
5 | 12:03 | 11:51 |
6 | 13:21 | 13:09 |
7 | 14:39 | 14:27 |
8 | 15:57 | 15:45 |
9 | 17:15 | 17:03 |
10 | 18:33 | 18:21 |
11 | 19:51 | 19:39 |
12 | 21:09 | 20:57 |
13 | - | 22:15 |
2.12. 211번(1기 노선)
청주시 시내버스 211번(1기) | |||||
기점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율량동(율량중종점) | 종점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미원면종점) | ||
종점행 | 첫차 | 06:38 | 기점행 | 첫차 | 06:00 |
막차 | 22:15 | 막차 | 21:59 22:25, 23:20(상당공원 종착) | ||
배차간격 | 21~78분(1일 32회) | ||||
노선 | 율량중종점 - 덕성초 - 상당공원 - 육거리 - 고은 - 미원 |
중간 종료 정류장 |
상당공원22:25, 23:20 |
현재의 211번과 달리 기점이 오동육교종점이 아닌 율량중종점이었다.
====# 211번(1기 노선) 시간표 #====
211번 운행시간표 | ||
횟수 | 율량중종점 | 미원면종점 |
1 | 06:38 | 06:00 |
2 | 07:04 | 06:26 |
3 | 07:30 | 07:44 |
4 | 08:22 | 08:10 |
5 | 09:14 | 08:36 |
6 | 10:06 | 09:28 |
7 | 10:30 | 10:20 |
8 | 10:55 | 11:12 |
9 | 11:24 | 11:38 |
10 | 11:47 | 12:04 |
11 | 12:16 | 12:30 |
12 | 13:08 | 12:56 |
13 | 13:34 | 13:22 |
14 | 14:00 | 14:14 |
15 | 14:26 | 14:40 |
16 | 14:52 | 15:06 |
17 | 15:14 | 15:32 |
18 | 16:10 | 15:58 |
19 | 16:36 | 16:24 |
20 | 17:02 | 17:16 |
21 | 17:25 | 17:42 |
22 | 17:54 | 18:08 |
23 | 18:20 | 18:34 |
24 | 18:46 | 19:00 |
25 | 19:12 | 19:26 |
26 | 19:38 | 19:52 |
27 | 20:04 | 20:18 |
28 | 20:25 | 20:44 |
29 | 20:56 | 21:10 |
30 | 21:22 | 21:36 |
31 | 21:50 | 22:02 |
32 | 22:15 | 22:25[6] |
33 | - | 22:28 |
34 | - | 23:20[7] |
2.13. 211-1, 211-2번
2.14. 212-1, 212-2, 212-3번
2.15. 213(1기 노선), 213-1, 213-2번
2.16. 216-1번
2.17. 218번
2.18. 311-1번
2.19. 312, 312-1, 312-2, 317, 318번
2012년 7월 22일에 공영버스 노선으로 형간전환되었다. 이 노선들은 번호는 3자리였지만 문의종점 착발로 운행하여 운행형태만은 공영버스와 다를 바 없는 노선이었다.312번은 문의면종점에서 대청댐을 경유해 신탄진과선교까지 운행했으며 신탄진과선교행 4회, 문의면종점행 5회 운행했었다.
312-1번은 312번과 비슷하게 문의면종점에서 신탄진과선교까지 운행했으나 대청댐을 경유하지 않았으며 운행횟수는 신탄진과선교행 5회, 문의면종점행 4회 운행했었다.
312-2번은 가덕면 국전리에서 문의면 미천리, 현도면 노산리를 경유해 신탄진과선교까지 운행했으며 운행횟수는 왕복 5회였다.
317번은 문의면종점에서 마동1리까지 운행했으며 운행횟수는 일 왕복 1회였다.
318번은 문의면종점에서 마동창작마을까지 운행했으며 운행횟수는 일 왕복 1회였다.
이후 32, 33(우진), 33(동일), 43번에 포함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청주 버스 32, 청주 버스 33(우진교통), 청주 버스 33(동일운수), 청주 버스 43 참조.
2.20. 313-1, 313-2번
2.21. 315-1번
2.22. 316번
2.23. 405번
2.24. 411번
청주시 시내버스 411번(변경 이전) | |||||
기점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송절동(송절동) | 종점 | 대전광역시 대덕구 신탄진동(신탄진과선교) | ||
종점행 | 첫차 | 07:59 | 기점행 | 첫차 | 06:31 |
막차 | 22:10 | 막차 | 22:07 | ||
배차 간격(평일) | 74~156분(1일 10회) | 배차 간격(휴일) | 156~312분(1일 4~5회) | ||
노선 | 송절동 - 신봉동 - 덕벌초교 - 청주농고 - 청주대학교 - 청주시청 - 상당공원 - 용두사지철당간 - 육거리시장 - 꽃다리 - 청주교육대학교 - 충북고교 - 청주교도소 - 양촌리 - 수대리 - 남이면사무소 - 외천리 - 죽암리 - 우록리 - 현도면사무소.선동리 - 매봉리 - 양지리 - 신탄진역 - 신탄진과선교 |
청주시 시내버스 411번(변경 이후) | |||||
기점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송절동(송절동) | 종점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부강면종점) | ||
종점행 | 첫차 | 05:55 | 기점행 | 첫차 | 06:05 |
막차 | 21:10 | 막차 | 22:10 | ||
배차간격 | 20~58분(1일 25~27회) | ||||
노선 | 송절동 - 신봉동 - 덕벌초교 - 청주농고 - 청주대학교 - 청주시청 - 상당공원 - 용두사지철당간 - 육거리시장 - 꽃다리 - 청주교육대학교 - 충북고교 - 청주교도소 - 양촌리 - 수대리 - 남이면사무소 - 외천리 - 문곡리 - (→ 꽃동네대학교 →) - 부강 |
송절동[8]에서 출발해, 대전광역시 대덕구 신탄진동에 위치한 신탄진종점까지 운행하는 노선이었으며, 이후 송절동 - 부강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2.24.1. 역사
2.25. 412-1번
2.26. 413번
2.27. 416-1번
| |||||
기점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봉명동(봉명종점) | 종점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가경동(충북공고) | ||
종점행 | 첫차 | 06:32 | 기점행 | 첫차 | 07:56 |
막차 | 21:51 | 막차 | - | ||
배차 간격 | 1일 1~3회[10] | 인가대수 | 3대 | ||
운수사명 | 동양교통 | ||||
노선 | 봉명종점.송절중 - 테크노폴리스 - 신봉동 - 덕벌초교 - 청주농고 - 청주대학교 - 청주시청 - 상당공원 - 용두사지철당간 - 육거리시장 - 꽃다리 - 청주교육대학교 - 충북고교 - 청주교도소 - 양촌리 - 수대리 - 남이면행정복지센터 - 척북삼거리 - 석실리 - 석곡동 - 충북공고 |
- 2021년 3월 1일에 416번에 일원화되어 폐선되었다.
2.28. 417-1, 417-2, 417-3번
2.29. 418번
2.30. 419번
2.31. 511-1번
2.32. 512-1, 512-2번
2.33. 512-3번
2.34. 513-1, 513-2번
2.35. 515번
2.36. 517, 517-1, 517-2번
2.37. 520번
청주시 시내버스 520번 | |||||
기점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오송리(오송역) | 종점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오송리(오송역) | ||
첫차 | 05:55(터미널 출발) 06:05 | 막차 | 21:30 23:02(터미널 종착) | ||
배차간격 | 15~55분(1일 29회) | ||||
노선 | 오송역 - 만수초교 - 오송휴먼시아2단지 - 서흥캅셀 - 국책기관 - 궁평지하차도 - 탑연삼거리 - 석소 - 휴암동 - 강서1동주민센터 → 시외버스터미널 → 한국자산관리공사 → 강서1동주민센터 이후 역순 |
오송읍에 위치한 오송역에서 출발해, 가경터미널을 순환하는 노선이었다.
2.37.1. 역사
- 오송역 개통 당시, 오송역 이용객들의 편의를 위해 2010년 11월 1일에 신설되었다. 차량들은 같은 날 폐선된 821번에서 2대를 가지고 왔으며 하루 28회 운행했다.
- 2010년 12월 1일에 하루 3번만 들어가던 국책기관을 모든 시간대에 들어가도록 변경되었다. 청주시 공지사항
- 2011년 7월 24일에 만수초등학교와 오송역북문 정류장을 경유하도록 변경되었다.
- 2012년 3월 1일에 중복노선 통 · 폐합 과정에서 폐선되었다.
====# 시간표 #====
520번 운행시간표 | |
횟수 | 오송역 |
1 | 06:05 |
2 | 06:49 |
3 | 07:12 |
4 | 07:55 |
5 | 08:32 |
6 | 09:00 |
7 | 09:40 |
8 | 10:15 |
9 | 11:00 |
10 | 11:46 |
11 | 12:36 |
12 | 13:05 |
13 | 13:50 |
14 | 14:10 |
15 | 15:00 |
16 | 15:15 |
17 | 16:05 |
18 | 16:36 |
19 | 17:15 |
20 | 17:56 |
21 | 18:40 |
22 | 19:10 |
23 | 20:05 |
24 | 20:20 |
25 | 21:15 |
26 | 21:32 |
27 | 22:25 |
28 | 23:02 |
2.38. 612번
2.39. 613번
2.40. 614번
청주시 시내버스 614번 | |||||
기점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 장동리(장동리) | 종점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분평동(분평단지종점) | ||
종점행 | 첫차 | 06:00 | 기점행 | 첫차 | - |
막차 | 22:00 | 막차 | - | ||
배차 간격 | (960분) 1일 2회(편도 운행) | ||||
노선 | 장동리 → 옥산중 → 옥산면사무소 → 신촌동 → 청주역 → 현대백화점 → 솔밭공원 → 삼화전기 → 산업단지입구 → 사창사거리 → 청주체육관 → 지하상가 → 충북도청 → 육거리시장 → 꽃다리 → 청주교육대학교 → 분평단지종점 |
2.41. 615번
2.42. 616번
2.43. 617번
2.44. 712-1번
2.45. 713-1, 713-2번
청주시 시내버스 713-2번 | |||||
기점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양청리(오창과학단지) | 종점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분평동(분평단지종점) | ||
종점행 | 첫차 | 06:40 | 기점행 | 첫차 | - |
막차 | 07:30 | 막차 | - | ||
배차 간격 | 1일 2회(편도 운행) | ||||
노선 | 오창과학단지 → 양청리 → 오창호수공원 → 오창프라자 → 각리초교 → LG화학 → 남촌리 → 각리 → 송대리 → 창리 → 오창읍사무소 → 오창종점 → 오창중.고교 → 괴정리 → 가곡리 → 오근장역 → 성모병원 → 청주대학교 → 청주시청 → 상당공원 → 충북도청 → 육거리시장 → 꽃다리 → 청주교육대학교 → 분평단지종점 |
2.45.1. 역사
- 2015년에 중복노선 통 · 폐합 과정에서 폐선되었다.
2.46. 714번
2.47. 716번
2.48. 720-1번
2.49. 721번
2.50. 750번
2.51. 821번
청주시 시내버스 821번 | |||||
기점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정동(동부종점) | 종점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정동(동부종점) | ||
첫차 | ? | 막차 | ? | ||
배차간격 | ? | ||||
노선 | 동부종점 - 용성초교후문 - 용암부영2차 - 용암초교 - 원봉초교 - 영운동주민센터 - 육거리 - 충북도청 - 지하상가 - 청주체육관 - 사창사거리 - 충북대학교정문 - 개신현대아파트 - 가경덕일한마음아파트 → 경덕초교 → 가경3지구 → 시외버스터미널 → 충북사대부중.고교 이후 역순 |
동부종점에서 출발해, 가경터미널을 순환하는 노선이었다. 중간의 원봉초~사창사거리 구간을 제외한 구간이 현재의 823번과 흡사하다.
2.51.1. 역사
- 2010년 11월 1일에 중복노선 통 · 폐합 과정에서 폐선되었으며, 해당 노선에서 운행하던 차량들은 520번, 842-1, 842-2번에 운행하였다.
2.52. 822-1번, 822-2번
청주시 시내버스 822-1번 | |||||
기점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정동(동부종점) | 종점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정동(동부종점) | ||
첫차 | 06:10 | 막차 | 21:43 | ||
배차간격 | ? | ||||
노선 | 동부종점 - 용성초교후문 → 용암부영10차 → 청운중 → 청석고교 → 용암초교 → 원봉초교 → 분평주공2단지 → 충북고교 → 청주교도소 → 가마지구 → 한국수자원공사 → 가경주공4단지 → MBC.경덕중 → 시외버스터미널 → 충북사대부중.고교 → 개신현대아파트 → 충북대학교정문 → 사창사거리 → 청주체육관 → 지하상가 → 충북도청 → 육거리 → 일신여고 → 금천동주민센터 → 청주동중 → 금천고교.혜원학교 → 용성초교후문 이하 역순 |
청주시 시내버스 822-2번 | |||||
기점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정동(동부종점) | 종점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정동(동부종점) | ||
첫차 | 05:55 | 막차 | 21:51 | ||
배차간격 | ? | ||||
노선 | 동부종점 - 용성초교후문 → 장자마을부영6차 → 금천초교 → 금천동주민센터 → 일신여고 → 육거리 → 충북도청 → 지하상가 → 청주체육관 → 사창사거리 → 충북대학교정문 → 개신현대아파트 → 가경삼일아파트 → 고속.시외터미널 → MBC → 가경주공4단지 → 세광중.고교 → 가마지구 → 청주교도소 → 남성초교 → 분평동우체국 → 원봉초교 → 용암주공1단지 → 청석고교 → 청운중 → 용암부영10차 → 용성초교후문 이하 역순 |
동부종점에서 출발해, 가경터미널을 순환하는 노선이었다. 현재 운행 중인 50-1(2)번이 이 노선에서 10-1(2)번의 동부종점 - 금천중학교 - 농협동청주지점 구간, 824번의 강서지구 구간을 추가하여 만든 노선이다.
청주교통 홈페이지에 해당 노선의 행선판이 남아있다.
2.52.1. 역사
- 2013년 12월 1일에 이 두 노선과 10-1, 10-2, 824, 826번과 통합되어 2023년 12월 청주 시내버스 개편 이전의 50-1(2)번이 되었다.
2.53. 824번
청주시 시내버스 824번 | |||||
기점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정동(동부종점) | 종점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정동(동부종점) | ||
첫차 | 05:50 | 막차 | 21:35 | ||
배차간격 | ? | ||||
노선 | 동부종점 - 국제테니스장 - 장자마을부영5단지 - 금천현대아파트 - 일신여고 - 육거리 - 충북도청 - 지하상가 - 청주체육관 - 사창사거리 - 충북대학교정문 - 개신현대아파트 - 가경덕일한마음아파트 → 경덕초교 → 가경동우체국 → 강서호반베르디움아파트 → 서현초교 → 시외버스터미널 → 충북사대부중.고교 이후 역순 |
동부종점에서 출발해, 가경터미널과 강서지구를 순환하는 노선이었다.
청주교통 홈페이지에 해당 노선의 행선판이 남아있다.
2.53.1. 역사
- 원래 가경터미널까지만 운행했으나, 2008년에 강서택지개발지구의 개발이 완료됨에 따라 입주가 시작되어, 강서지구 - 시내지역 연계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강서지구까지 연장되었다.
- 선광로즈웰아파트 주민들의 민원으로 인해 2010년 9월에 서현동로 대신 2순환로 경유로 변경되었다. 청주시 공지사항
- 2013년 12월 1일에 해당 노선과 10-1, 10-2, 822-1, 822-2, 826번과 통합되어 2023년 12월 청주 시내버스 개편 이전의 50-1(2)번이 되었다.
2.54. 825번
청주시 시내버스 825번 | |||||
기점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오동동(오동육교) | 종점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오동동(오동육교) | ||
첫차 | 06:33 | 막차 | 20:33 | ||
배차간격 | 140분(1일 7회) | ||||
노선 | 오동육교 - 성모병원 - 청주여고 - 청주대학교 - 청주시청 - 상당공원 - 지하상가 - 청주체육관 - 사창사거리 - 산업단지입구 - 충북지방조달청 - 시외버스터미널 이하 역순 |
오동육교에서 출발해, 가경터미널을 순환하는 노선이었다.
2.54.1. 역사
- 2001년 시내버스 노선번호 체계 개편 당시, 518/730번이라는 노선번호를 부여받았다.
- 2010년 11월 1일에 중복노선 통 · 폐합 과정에서 폐선되었다.[11] 해당 노선에 운행했던 차량들은 모두 520번에서 운행하였다.
2.54.2. 시간표
825번 운행시간표 | |
횟수 | 오동육교 |
1 | 06:33 |
2 | 08:53 |
3 | 11:13 |
4 | 13:33 |
5 | 15:53 |
6 | 18:13 |
7 | 20:33 |
2.55. 826번
청주시 시내버스 826번 | |||||
기점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정동(동부종점) | 종점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정동(동부종점) | ||
첫차 | 05:20 05:50(평일, 터미널 출발) | 막차 | 22:06 | ||
배차 간격(평일) | 14~40분(1일 38회) | 배차 간격(휴일) | 14~42분(1일 30회) | ||
노선 | 동부종점 - 용성초교후문 - 용암부영2차 - 용암초교 - 원봉초교 - 영운동주민센터 - 육거리 - 충북도청 - 지하상가 - 청주체육관 - 사창사거리 - 산업단지입구 - 충북지방조달청 - 시외버스터미널 이하 역순 |
청주교통 홈페이지에 해당 노선의 행선판이 남아있다.
2.55.1. 역사
- 502번의 시내 구간의 혼잡도를 낮추기 위해 신설되었다.(시기 불명)
- 2001년 시내버스 노선번호 체계 개편 당시, 210/518번이라는 노선번호를 부여받았다.
- 2013년 12월 1일에 해당 노선과 10-1, 10-2, 822-1, 822-2, 824번과 통합되어 2023년 12월 청주 시내버스 개편 이전의 50-1(2)번이 되었다.
2.56. 831-1번
청주시 시내버스 831-1번 | |||||
기점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정동(이정골) | 종점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정동(이정골) | ||
첫차 | 06:28 | 막차 | 21:15 | ||
배차간격 | 47~60분(1일 16회) | ||||
노선 | 이정골 - 김수녕양궁장입구 - 롯데마트상당점 - 용성초교 - 용암부영10차 - 청운중 - 영운교 - 일신여고 - 육거리 - 충북도청 → 지하상가 → 청주체육관 → 사창사거리 → 산업단지입구 → 복대가경시장 → 고속.시외터미널 → 선거관리위원회 → 비하효성아파트 → 대농공원 → 청주세관 → 정식품.킹텍스 → 신봉삼정백조아파트 → 흥덕대교 → 청원구청 → 청주시청 → 상당공원 → 충북도청 이후 역순 |
이정골에서 출발해, 비하동을 순환하는 노선이었으며, 이정골에서 출발하는 것을 제외하면 831번과 동일한 노선이었다.
2.56.1. 역사
2.56.2. 시간표
06:15분, 첫 차 이후 20:28분까지 매시 28분에 출발한다.2.57. 835번
2.58. 841-1번
2.59. 842번(1기 노선)
청주시 시내버스 842번(1기) | |||||
기점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정하동(정하) | 종점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정동(동부종점) | ||
첫차 | - | 막차 | - | ||
배차간격 | - | ||||
노선 | 정하동 - 곰두리체육관 - 사천신동아아파트 - 율량금호어울림센트로 - 중앙여중구종점[A] - 내덕시영아파트 - 덕벌초교 - 북부시장 - 청주시청 - 상당공원 - 용두사지철당간 - 육거리시장 - 일신여고 - 금천새마을금고 - 금천고교 - 동부종점 |
기록만 남아있었고 실제로는 운행하지 않았다.
2.60. 842번(2기 노선)
청주시 시내버스 842번 | |||||
기점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정하동(정하) | 종점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정하동(정하) | ||
첫차 | 06:00(충북대후문 출발) 06:10 | 막차 | 22:05 | ||
배차간격 | 45~54분(1일 20회) | ||||
노선 | 정하동 - 곰두리체육관 - 사천신동아아파트 - 율량금호어울림센트로 - 중앙여중구종점[A] - 내덕시영아파트 - 덕벌초교 - 북부시장 - 청주시청 - 상당공원 → 용두사지철당간 → 육거리시장 → 꽃다리 → 서원대학교 → 모충동주민센터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충북대학교병원 → 사창사거리 → 청주체육관 → 지하상가 → 상당공원 이하 역순 |
정하동에서 출발해, 모충동을 순환하는 노선이었다. 당시 842번은 842-1(2)번이 경유하는 사직푸르지오캐슬아파트(사직2지구)를 경유하지 않았다. 또한 모충동 구간은 편도로만 경유했다.
2.60.1. 역사
- 사직2지구 재개발이 끝나고 아파트단지에 입주가 시작되면서 2010년 7월 1일에 842-1번과 842-2번으로 분리되었다. 이후 내용은 해당 문서를 참조.
2.61. 852-1번
청주시 시내버스 852-1번 | |||||
기점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수곡동(수곡동종점) | 종점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수곡동(수곡동종점) | ||
첫차 | 06:00 | 막차 | 21:40 | ||
배차간격 | 90~96분(1일 11회) | ||||
노선 | 수곡동종점[14] - 우편집중국 - 두꺼비시장 - 수곡1동주민센터 - 수곡중 - 남부터미널 - 남성초교 → 청주교육대학교 → 꽃다리 → 육거리시장 → 충북도청 → 상당공원 → 청주시청 → 청주대학교 → 내덕2동주민센터 → 신흥고교 → 충북지방경찰청 → 예비군훈련장 → 상리 → 청주랜드 → 명암저수지 → 김수녕양궁장입구 → 용성초교 → 보살사입구 → 용암소라아파트 → 원봉초교 → 분평주공2단지 → 충북고교 이하 역순 |
수곡동종점에서 출발해, 율량동과 용암동 외곽을 순환하는 노선이었다.
2.61.1. 역사
- 2006년 3월 대개편 당시에 852-2번과 같이 신설된 노선이었다.
- 2010년 11월 1일 노선 개편 과정에서 이용객 감소로 인한 비수익 노선으로 분류되어 폐선되었다. 해당 노선에 운행했던 차량들은 모두 520번에서 운행하였다.
2.61.2. 시간표
852-1번 운행시간표 | |
횟수 | 수곡동종점 |
1 | 06:00 |
2 | 07:30 |
3 | 09:06 |
4 | 10:42 |
5 | 12:18 |
6 | 13:54 |
7 | 15:30 |
8 | 17:06 |
9 | 18:42 |
10 | 20:18 |
11 | 21:40 |
2.62. 861번
청주시 시내버스 861번 | |||||
기점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사직1동(청주체육관[B]) | 종점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명암동(명암약수터) | ||
종점행 | 첫차 | 06:30 | 기점행 | 첫차 | 06:00 |
막차 | 22:05 | 막차 | 20:40 | ||
배차간격 | 21~64분(1일 25회) | ||||
노선 | 청주체육관 - 지하상가 - 충북도청 - 탑동현대아파트 - 용담동주민센터 - 용담선광로즈웰아파트 - 국립청주박물관 - 청주랜드 - 명암약수터 |
청주체육관에서 출발해, 명암약수터까지 운행하는 노선이었으며, 명암약수터까지만 운행한다는 것을 빼면 현재의 862-1(2)번과 거의 동일한 노선이었다.
청주교통 홈페이지에 해당 노선의 행선판이 남아있다.
2.62.1. 역사
- 본래 230번이었으나 2006년 개편 당시에 861번으로 변경되었다.
- 2000년대 초까지만 해도, 청주체육관이 아닌 복대2동, 정하동, 청주역으로 기 · 종점이 나뉘어 있었으나, 이후 복대2동 노선은 가경터미널로 연장해 운행했으며, 2004년에 가경동 노선을 우진교통 파업 사태 당시 청주체육관으로 단축, 청주역 노선도 2006년 대개편 당시 청주체육관으로 통합 및 단축했다.
- 2010년 12월 1일에 사직동 회차구간이 반대방향(반시계 방향)으로 변경되었다. 청주시 공지사항
- 2013년 12월 1일에 862번과 통합되었다. 참고로 당시 862번은 현재와 거의 동일하나, 명암약수터를 경유하지 않았다. 운행횟수는 1일 15회.
2.63. 863번(1기 노선)
청주시 시내버스 863번(1기) | |||||
기점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사직동(청주체육관[B]) | 종점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낭성면 현암리(현암) | ||
종점행 | 첫차 | 09:41 | 기점행 | 첫차 | 10:21 |
막차 | 09:41 | 막차 | 10:21 | ||
배차간격 | 1일 1회 | ||||
노선 | 청주체육관 - 지하상가 - 충북도청 - 탑동현대아파트 - 용담동주민센터 - 용담선광로즈웰아파트 - 국립청주박물관 - 명암저수지 - 산성제1터널 - 상당산성입구 - 현암리 |
청주체육관에서 출발해, 낭성면 현암리까지 운행하는 노선이었으며, 현암리까지 운행한다는 것을 빼면 현재의 864번과는 거의 동일한 노선이었다.
청주교통 홈페이지에 해당 노선의 행선판이 남아있다.
2.63.1. 역사
- 2000년대 초까지만 해도, 청주체육관이 아닌 복대2동, 정하동, 청주역으로 기 · 종점이 나뉘어 있었으나, 이후 복대2동 노선은 가경터미널로 연장해 운행했으며, 2004년에 가경동 노선을 우진교통 파업 사태 당시 청주체육관으로 단축, 청주역 노선도 2006년 대개편 당시 청주체육관으로 통합 및 단축했다.
- 2010년 12월 1일에 사직동 회차구간이 반대방향(반시계 방향)으로 변경되었다. 청주시 공지사항
- 2013년 12월 1일에 864번과 통합되었다. 참고로 당시 864번은 현재와 거의 동일하나, 인경리까지 운행하지 않고 호정리까지만 운행했으며 그 외 구간은 863번과 같았다. 운행횟수는 호정리행 4회, 청주체육관행 5회.
2.64. 872, 872-1번(1기 노선)
청주시 시내버스 872번(1기) | |||||
기점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정동(동부종점) | 종점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정동(동부종점) | ||
첫차 | 06:08 | 막차 | 21:32 | ||
배차간격 | ? | ||||
노선 | 동부종점 - 용성초교후문 - 장자마을9단지 → 금천현대아파트 → 일신여고 - 석교육거리 - 충북도청 - 상당공원 - 청주시청 - 북부시장 - 덕벌초교 - 내덕시영아파트 - 질구지 - 사천신동아아파트 - 율량금호어울림센트로 - 중앙여중구종점[A] - 질구지 이후 일신여고까지 역순 → 금천동주민센터 → 청주동중 → 금천고교.혜원학교 이후 역순 |
청주시 시내버스 872-1번(1기) | |||||
기점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정동(이정골) | 종점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정동(이정골) | ||
첫차 | 06:22(사천신동아아파트 출발) 06:30 | 막차 | 21:32 | ||
배차간격 | 52~58분(1일 19회) | ||||
노선 | 이정골 - 김수녕양궁장입구 - 용성초교 - 롯데마트상당점 - 장자마을9단지 → 금천현대아파트 → 일신여고 - 석교육거리 - 충북도청 - 상당공원 - 청주시청 - 북부시장 - 덕벌초교 - 시영아파트 - 질구지 - 사천신동아아파트 - 율량금호어울림센트로 - 중앙여중구종점[A] - 질구지 이후 일신여고까지 역순 → 금천동주민센터 → 청주동중 → 금천고교.혜원학교 이후 역순 |
동부종점에서 출발해, 사천동을 순환하는 노선이었으며, 금천동 일부 구간을 제외하면 현재의 872번과 거의 동일한 노선이었으며, 지선으로 이정골에서 출발하는 872-1번이 있었다.
2.64.1. 역사
- 2012년 7월 7일자 노선 개편 과정에서 구.872-1번이 신설되었다.
- 2013년 12월 1일에 872-1(2)번으로 개편되면서 폐선되었다.
====# 872-1번(1기 노선) 시간표 #====
구.872-1번 운행시간표 | |||
횟수 | 이정골 | 사천신동아아파트 (회차) | 이정골 |
1 | 06:22 | 07:06 | |
2 | 06:30 | 07:14 | 07:58 |
3 | 07:24 | 08:08 | 08:52 |
4 | 08:16 | 09:00 | 09:44 |
5 | 09:10 | 09:54 | 10:38 |
6 | 10:02 | 10:46 | 11:30 |
7 | 10:56 | 11:40 | 12:24 |
8 | 11:48 | 12:32 | 13:16 |
9 | 12:42 | 13:26 | 14:10 |
10 | 13:34 | 14:18 | 15:02 |
11 | 14:28 | 15:12 | 15:56 |
12 | 15:20 | 16:04 | 16:48 |
13 | 16:14 | 16:58 | 17:42 |
14 | 17:06 | 17:50 | 18:34 |
15 | 18:00 | 18:44 | 19:28 |
16 | 18:52 | 19:36 | 20:20 |
17 | 19:46 | 20:30 | 21:14 |
18 | 20:38 | 21:22 | 22:06 |
19 | 21:32 | 22:16 | 23:00 |
2.65. 911-1번
2.66. 913-1번
청주시 시내버스 913-1번 | |||||
기점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정하동(정하) | 종점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동막동(동막) | ||
종점행 | 첫차 | 15:33 | 기점행 | 첫차 | 13:59 |
막차 | 17:54 | 막차 | 16:20 | ||
배차 간격 | 1일 2회 | ||||
노선 | 정하동 - 곰두리체육관 - 사천신동아아파트 - 율량금호어울림센트로 - 중앙여중 - 덕벌초교 - 북부시장 - 방아다리 - 상당공원 - 지하상가 - 청주체육관 - 사창사거리 - 산업단지입구 - 복대가경시장 - 고속.시외터미널 - 강서1동주민센터 - 휴암동 - 충렬사 - 수의동 - 현암동 - 동막동 |
913번의 정하동 단축 노선이다. 정북동 기종점인 913번과는 다르게 정하동에서 출발한다.
2.66.1. 역사
- 2017년 10월 15일, 913번과 정하동~동막동 부분이 중복되어 폐선되었다.
2.66.2. 시간표
913-1번 운행시간표 | ||
횟수 | 정하동 | 동막동 |
1 | 13:59 | |
2 | 15:33 | 16:20 |
3 | 17:54 | 운행종료 |
2.67. 915-1, 915-2번
2.68. 918, 918-1번
2.69. 919번
2.70. 921-1번
3. 폐선된 공영버스 목록
3.1. 11번
3.2. 14번
3.3. 15번
3.4. 16번
3.5. 21번
3.6. 22번
3.7. 23-1번
3.8. 23-2번
3.9. 25번
3.10. 32번
3.11. 33번(동일운수, 2014번)
3.12. 33번(우진교통)
3.13. 41번
3.14. 42번
3.15. 44번
3.16. 51번
3.17. 52번
3.18. 54번
3.19. 55번
3.20. 57번
청주시 공영버스 57번 | |||||
기점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오송리(오송역) | 종점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양청리(양청고) | ||
종점행 | 첫차 | 07:00 | 기점행 | 첫차 | 05:50 |
막차 | 20:00 | 막차 | 21:40 | ||
운수사명 | 청신운수 | 배차 간격 | 1일 5~6회[19] | ||
노선 | 오송역 - 오송중 - 오송롯데캐슬 - 오송고교 - 서흥캅셀 - 국책기관 - 쌍청2리 - 금정3차아파트 - 옥산면사무소 - 가락1리 - 소로2리 - 벤처프라자 - 각리초교 - 청원고교 - 오창호수공원 - 오창홈플러스 - 충북테크노파크 - 양청고 |
오창과학단지종점(양청고)에서 오송역을 잇던 노선으로 공영버스 중 몇 안되는 고정 노선이었다.
3.20.1. 역사
- 2011년 1월 말에 신설되었다.
- 2017년 9월 10일에 시간표가 변경되었다.
- 2017년 12월 10일에 53번, 75번과 통폐합되었다.
3.20.2. 시간표
57번 운행시간표 | ||
횟수 | 오송역 | 양청고 |
1 | - | 05:50 |
2 | 07:00 | 08:30 |
3 | 09:40 | 11:10 |
4 | 13:20 | 14:50 |
5 | 17:00 | 18:30 |
6 | 20:00 | 21:40 |
3.21. 61번
3.22. 62번
3.23. 63번
3.24. 72번
3.25. 73번
3.26. 75번
청주시 공영버스 75번 | |||||
기점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장대리(오창종점) | 종점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각리(각리초교) | ||
종점행 | 첫차 | 06:00 | 기점행 | 첫차 | 06:25 |
막차 | 21:20 | 막차 | 21:45 | ||
운수사명 | 한성운수 | 배차 간격 | 1일 15회 | ||
노선 | 오창종점 - 창리 - 주성리 - 오창부영6단지 - LG화학제2공장 - 송대공원 - 양청리 - 양청지하보도 - 오창홈플러스 → 오창호수공원 → 구룡리 → 각리초교 → 중앙하이츠빌.우림필유1차 → 오창홈플러스 이하 역순 | ||||
노선 (유한양행 경유) | 오창종점 - (오창중)(창리) - 주성리 - 오창부영6단지 - 송대리 - 유한양행 → 대운프라자.오창농협 → 양청지하보도 → 오창호수공원 → 구룡리 → 각리초교 → 오창프라자 → 벤처프라자 이하 역순 |
각리초등학교에서 오창과학단지와 오창2산업단지를 경유하여 오창종점까지 운행하던 노선이었다. 아침 출근시간대에는 오창중학교까지 연장운행했었다.
1일 15회로 53번과 통폐합되기 전 공영버스 중에서 운행횟수가 많은 축에 속하는 노선이었다.[20]
3.26.1. 역사
- 2014년 2월 3일에 신설되었다.
- 2017년 9월 10일에 시간표가 변경되었다.
- 2017년 12월 10일에 53, 57번과 통폐합되었다.
====# 시간표 #====
75번 운행시간표 | ||
횟수 | 오창종점 | 각리초교 |
1 | 06:00 유한양행 | 06:25 유한양행 |
2 | 07:00 유한양행 | 07:25 유한양행, 오창중 |
3 | 08:00 | 08:25 유한양행, 오창중 |
4 | 09:10 | 09:35 |
5 | 10:10 | 10:35 |
6 | 11:10 | 11:35 |
7 | 12:30 | 12:55 |
8 | 13:35 | 14:00 |
9 | 14:30 | 14:55 |
10 | 15:35 | 16:00 |
11 | 16:35 | 17:00 |
12 | 18:00 | 18:25 |
13 | 19:15 | 19:35 |
14 | 20:10 | 20:45 |
15 | 21:20 | 21:45 |
[1] 당시에는 가경터미널 착발 노선이었으며, 현재의 105번 노선과 가경터미널 - 충북대 구간만 다를 뿐 그 외의 노선은 동일하다.[2] 참고로 당시의 111번은 현재와 거의 동일하나, 교통대까지 운행하지 않고 남하2리까지만 운행했었으며 당시 116번과는 노선 길이만 달랐을 뿐, 동일한 노선이었다. 운행횟수는 1일 45~50회.[3] 두 노선의 통합으로 남하2리 경유지가 폐지되고 노선번호가 111번으로 통합되었다.[4] 미원면종점행 25회, 율량중종점행 26회[5] 미동산수목원종점행 12회, 율량중종점행 13회[6] 상당공원 종착[7] 상당공원 종착[8] 당시에는 송천1교 앞 쪽에 송절동종점지가 따로 있었다. 여러 문제로 2016년에 송절중학교로 종점지를 이전하면서 400번대 노선의 송절동 구간의 노선이 변경되었다.[9] 참고로 당시 412번도 청주시내 - 부강 노선이었다. 운행횟수는 1일 32~34회.[10] 봉명종점행 1회, 충북공고행 3회[11] 502번과 노선 절반 중복[A] 당시에는 중앙여중에 버스종점지가 조성되어있었으나, 이후 정하동으로 종점지가 변경되었다. 규모는 작은 편이었으며 따로 기사들이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영업소 건물이나 매점 건물은 없었다.[A] 당시에는 중앙여중에 버스종점지가 조성되어있었으나, 이후 정하동으로 종점지가 변경되었다. 규모는 작은 편이었으며 따로 기사들이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영업소 건물이나 매점 건물은 없었다.[14] 당시에는 남부종점이 아닌, 수곡동에 버스종점지가 따로 존재했었다. 위치는 CJB컨벤션센터 근처에 위치했고 30-1, 30-2번의 종점이기도 했다.[B] 청주체육관 행 차량은 청주의료원과 청주야구장을 경유한 뒤, 청주체육관 앞 주차장으로 들어갔다. 명암약수터 행 차량은 청주체육관에서 청주의료원 및 청주야구장을 경유하지 않았다.[B] 청주체육관 행 차량은 청주의료원과 청주야구장을 경유한 뒤, 청주체육관 앞 주차장으로 들어갔다. 명암약수터 행 차량은 청주체육관에서 청주의료원 및 청주야구장을 경유하지 않았다.[A] 당시에는 중앙여중에 버스종점지가 조성되어있었으나, 이후 정하동으로 종점지가 변경되었다. 규모는 작은 편이었으며 따로 기사들이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영업소 건물이나 매점 건물은 없었다.[A] 당시에는 중앙여중에 버스종점지가 조성되어있었으나, 이후 정하동으로 종점지가 변경되었다. 규모는 작은 편이었으며 따로 기사들이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영업소 건물이나 매점 건물은 없었다.[19] 오송역행 6회, 양청고행 5회[20] 53번 통폐합 전, 운행횟수가 가장 많은 공영버스는 314번로 1일 22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