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7 09:25:11

청새리상어

청새리상어
Blue shark
파일:청새리상어.jpg
학명 Prionace glauca
(Linnaeus, 1758)
<colbgcolor=#fc6>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연골어강(Chondrichthyes)
아강 판새아강(Elasmobranchii)
흉상어목(Carcharhiniformes)
흉상어과(Carcharhinidae)
청새리상어속(Prionace)
청새리상어(P. glauca)
멸종위기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준위협.svg

1. 개요2. 특징3. 생태
3.1. 사육

[clearfix]

1. 개요

파일:Blue shark.jpg
흉상어목 흉상어과에 속하는 상어.

2. 특징

몸이 전체적으로 푸른색이다. 가슴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 상엽이 길다. 길이는 평균 2.2~3.4m, 몸무게는 평균 몸무게는 80~200kg 이며 최대 4.8m 까지 자란다. 다른 상어들 처럼 암컷수컷보다 평균적으로 크기가 더 크다.
파일:청상아리구분.jpg
파일:청새리상어구분.jpg
청상아리(위)
청새리상어(아래)
청상아리와 한국어 명칭도 비슷하고, 청새리상어의 영어 명칭이 'Blue shark'이기 때문에 혼동하기 쉽다. 하지만 생김새는 상당히 다른데, 청상아리는 악상어과에 속한 상어 특유의 큰 몸과 눈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거대하고 시커먼 수정체와 눈꺼풀이 없는 특징인 반면에 청새리상어는 흉상어과에 속한 상어라 눈이 더 크고 고양이눈과 같은 홍체로 세로눈(세로동공)이며 눈꺼풀(순막)이 있고, 몸통 형태가 상대적으로 납작해서 육안으로 구분 하기는 쉽다.

헤엄치는 속도는 평균 시속 39km로 상어 중에서 청상아리 다음으로 빠른 속력을 낼 수 있다.

3. 생태

온대와 열대 해역에 분포하며 수면으로부터 350m 정도 되는 깊숙한 수심에서 주로 관찰된다. 이는 청새리상어가 섭씨 12~20도 사이의 시원한 온도를 선호하기 때문이다. 회유성 어류이기 때문에 제한적인 서식지를 두지 않고 먼 거리를 이동하면서 살아간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최북단에 서식하는 개체는 노르웨이, 최남단에 서식하는 개체는 칠레에서 발견될 정도다. 또 대한민국동해남해에서도 출몰한다.

주로 밤에 활동적이며, 딱히 선호하는 먹이는 없지만 많이 관찰되는 먹이로는 작은 물고기나 두족류 등이 있다. 종종 이보다 큰 먹이를 사냥하기도 하며, 고래의 사체나 바닷새를 사냥하였다는 기록도 존재한다. #

번식을 마친 암컷 청새리상어는 임신 기간이 약 9~12개월 정도 되며, 난태생으로 한 배에 약 25~100마리 정도의 새끼를 대량으로 낳는다. 수컷은 태어난지 약 4~5년, 암컷은 약 5~6년이 지나야 성적으로 성숙하게 된다.

성별에 따라 군영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례로 일본 해역의 쿠로시오 해류와 쿠릴 해류가 만나는 지점 근처에서 태어나는 청새리상어들은 성적으로 성숙하기 이전엔 암컷 개체군은 북쪽 해역, 수컷 개체군은 남쪽 해역에서 살아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성적으로 성숙하게 되면 암컷 개체군이 남하하여 수컷 개체군과 서식지를 공유하게 되지만 번식기를 제외하면 이때에도 성별을 나눈 채로 무리를 짓는다. 이렇게 성별을 나누면서 무리를 짓는 이유는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다.

최대 수명은 정확히 알려진 바 없으나 최소 20년 이상 살아가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녀석도 사람을 공격한 사례가 있는 상어이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2013년까지 총 13건의 피해 사례가 기록되었는데, 이 중 4건의 사례는 피해자가 사망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

하지만 이러한 피해 사례가 무색하게 사람들에게 셀 수 없을 만큼이나 많이 포획되고 있다. 훈제 요리, 샥스핀 요리와 같은 식용으로 쓰일 때가 많으며, 종종 스포츠 낚시로 낚이기도 한다. 이 때문에 청새리상어는 현재 IUCN 적색 목록에서 준위협(NT) 등급에 속해 있다.

2024년 2월 7일에는 울진 후포에서 130cm, 7kg 개체가 잡혔고 6월 10일에는 강릉 주문진에서 296cm, 122kg 개체가 잡혔다.

3.1. 사육

흉상어목에 속하는 상어답게 의외로 먹이순치나 사육 자체는 어렵지 않다고 하나 넓은 바다를 유영하는 회유성 어류에다가 아크릴 수조의 벽면을 잘 인식하지 못해 부딪히면서 찰과상을 입어 폐사하는 등 아쿠아리움에서 사육하는 것이 매우 까다롭지만 의외로 시도는 여럿 있었다. 물론 1년 이상 사육한 사례는 극히 드물다.
  • 시월드 샌디에이고(SeaWorld San Diego) - 1968년/1969년
    첫 번째 시도. 청새리상어 무리를 3개월 동안 사육했으며, 황소상어와 합사했다가 황소상어들에게 전부 잡아먹히고 말았다
  • 뉴저지 아쿠아리움(New Jersey Aquarium)
    7개월 뒤 세균감염으로 폐사했다.
  • 센다이 우미노모리 수족관 - 2018년
    가장 오래 사육한 기록. 2018년 7월 27일 몸길이 51cm에 350g 정도의 개체를 시즈가와 만에서 포획해 873일간 사육했다. 폐사 당시 몸길이 114cm, 체중 4kg까지 성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