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0 00:10:53

천리안 1호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404040><colcolor=#fff> 우리별 위성 1호('92) · 2호('93) · 3호('99)
무궁화 위성 1호('95) · 2호('96) · 3호('99) · 5호('06) · 5A호('17) · 6호올레 1호('10) · 7호('17) · 6A호('24)
아리랑 위성 1호('99) · 2호('06) · 3호('12) · 3A호('15) · 5호('13) · 6호('26)* · 7호('25)* · 7A호('26)* · 8호('27)* · 9호('28)*
천리안 위성 1호('10) · 2A호('18) · 2B호('20) · 3호('27)* · 5호('31)*
과학기술위성 1호('03) · 2A호('09) · 2B호('10) · 나로과학위성('13) · 3호('13)
차세대소형위성 1호('18) · 2호('23) · 3호('27)*
차세대중형위성 1호('21) · 2호('26)* · 3호('25)* · 4호('26)* · 5호('?)* · 6호('?)*
군사통신위성 ANASIS-I무궁화 5호('06) · ANASIS-II('20)
정찰위성 1호('23) · 2호, 3호('24) · 4호, 5호('25)
차세대소형정찰위성 1~12호('26~28)*
차세대초소형정찰위성 1~40호('28~30)*
초소형군집위성 1호('24) · 2호~6호('26)* · 7호~11호('27)*
기술검증플랫폼 위성 1호(28)* · 2호(29)* · 3호(30)*
6G저궤도통신위성 1호(27)* · 2호(29)*
국산 소자·부품 검증 위성 1호(25)* · 2호(26)* · 3호(27)*
달 궤도선 다누리('22) · 달궤도투입성능검증위성(30)*
화성 궤도선 한국형 화성 궤도선(35)*
큐브위성 도요샛('23)
KPS위성 1호(29)* · 2~8호(~35)*
기타 누리호 성능검증위성('22)
취소선: 발사 실패 / : 교신 두절 / *: 임무 예정
관련 틀: 대한민국의 로켓 | 대한민국의 우주개발계획
}}}}}}}}} ||

천리안 1호
(COMS-1)
파일:COMS_01.jpg
천리안 1호(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1, COMS‑1, Cheollian‑1, GEO‑KOMPSAT‑1)는 대한민국 최초의 정지궤도 위성으로, 기상 위성 임무(MI), 해색 원격탐사 임무(GOCI), 통신(Ka 대역 실험)을 하나의 위성에서 수행했다. 총괄 기관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이며, 본체/버스는 당시 EADS 아스트리움(현 에어버스)이 Eurostar‑3000 버스로 제작했다.[1]

1. 개요/제원

구분 내용
별칭 COMS‑1, Cheollian‑1, GEO‑KOMPSAT‑1
NORAD 번호 36744[2]
임무 분류 기상 위성 / 해양 관측 / 통신 실증
위성 버스 Eurostar‑3000 (제작: EADS 아스트리움)
발사 일시 2010년 6월 26일 21:41 (UTC) / 6월 27일 06:41 (KST)
발사체 아리안 5 ECA (Ariane Flight V195)
발사장 기아나 우주센터(프랑스령 기아나 쿠루)
공동 탑재 Arabsat‑5A(상단) / 천리안 1호(하단, SYLDA)
정지궤도 경도 128.2°E(정상운용) → 128.15°E(2018‑08 이후 미세 조정)[3]
고도/궤도 정지궤도(≈ 35,786 km), 3축 안정화
발사 질량 약 2,460 kg[4]
전력 약 2.5 kW
설계 수명 7년(실운용 9~10년 수준)
운용 기관 총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기상: 기상청·국가기상위성센터 / 해양: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 통신: 국내 연구기관
임무 상태 2021년 4월 1일 임무 종료[5]

2. 탑재체

2.1. MI (Meteorological Imager)

항목 내용
채널 구성 5채널(가시 1, 적외 4)
공간해상도 가시 1 km / 적외 4 km(준정점 기준)
주요 활용 태풍, 집중호우, 황사 감시, 해수면온도(SST), 구름 분석, 대기운동벡터(AMV) 등
운영 기상청·국가기상위성센터

2.2. GOCI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항목 내용
특징 세계 최초 정지궤도 해색 센서
밴드/해상도 8밴드(가시 6·근적외 2) / 500 m
관측 영역/주기 한반도 중심 약 2,500 × 2,500 km / 주간 시간당 1회, 일 8회
주요 활용 적조, 녹조, 부유물(괭생이모자반 등) 감시, 엽록소·탁도 산출
운영 KIOST 해양위성센터

2.3. 통신 탑재체(Ka 대역 실험)

* 1.1 m·3.0 m 반사기와 Ka‑대역 중계기(3채널)로 재난·비상통신 등 응용 가능성 검증.

3. 운용 및 연혁

일자(UTC/KST) 내용
2010‑06‑26/27 아리안 5 ECA로 기아나 우주센터에서 발사(Arabsat‑5A와 동시 발사)
2011‑04‑01 128.2°E에서 정상운용 개시
2011‑01~03 러시아 RADUGA 1‑7과 근접 상황 발생, 회피기동 및 감시 강화[6]
2018‑08 경도 128.15°E로 미세 이동(후속 천리안 2A호·천리안 2B호 공동 운용 대비)
2020‑04‑01 (KST) MI 임무 종료 → 천리안 2A호 AMI로 기상 임무 이관
2021‑03‑31 GOCI 임무 종료 → 천리안 2B호 GOCI‑II로 해양 임무 이관
2021‑04‑01 위성 임무 완료(EOL)

4. 임무와 성과

* MI 자료는 한반도 기상 예보 정확도 향상에 기여, 실시간 태풍·강수 감시 체계 고도화.
* GOCI는 정지궤도 해색의 장기 시계열을 구축, 적조 조기경보 및 해양환경 관리에 활용.
* Ka 대역 통신 실증으로 국내 정지궤도 위성 통신 탑재체 기술 확보 및 응용 가능성 확인.


[1] EADS Astrium → 2014년 이후 Airbus Defence and Space로 통합/개명[2] 국제식별자(COSPAR ID)는 2010‑032A[3] GK‑2A/2B와의 동시 운용을 위한 경도 미세 이동[4] 기관/문헌에 따라 2.4~2.5 t 표기[5] MI는 2020‑04‑01 KST 종료, GOCI는 2021‑03‑31 종료[6] 정지궤도 근접위험 사례로 보고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