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404040><colcolor=#fff> 우리별 위성 | 1호('92)† · 2호('93)† · 3호('99)† |
| 무궁화 위성 | 1호('95)† · 2호('96)† · 3호('99)† · 5호('06) · 5A호('17) · 6호올레 1호('10) · 7호('17) · 6A호('24) |
| 아리랑 위성 | 1호('99)† · 2호('06)† · 3호('12) · 3A호('15) · 5호('13) · 6호('26)* · 7호('25)* · 7A호('26)* · 8호('27)* · 9호('28)* |
| 천리안 위성 | 1호('10) · 2A호('18) · 2B호('20) · 3호('27)* · 5호('31)* |
| 과학기술위성 | 1호('03)† · 2A호('09) · 2B호('10) · 나로과학위성('13)† · 3호('13)† |
| 차세대소형위성 | 1호('18) · 2호('23) · 3호('27)* |
| 차세대중형위성 | 1호('21) · 2호('26)* · 3호('25)* · 4호('26)* · 5호('?)* · 6호('?)* |
| 군사통신위성 | ANASIS-I무궁화 5호('06) · ANASIS-II('20) |
| 정찰위성 | 1호('23) · 2호, 3호('24) · 4호, 5호('25) |
| 차세대소형정찰위성 | 1~12호('26~28)* |
| 차세대초소형정찰위성 | 1~40호('28~30)* |
| 초소형군집위성 | 1호('24) · 2호~6호('26)* · 7호~11호('27)* |
| 기술검증플랫폼 위성 | 1호(28)* · 2호(29)* · 3호(30)* |
| 6G저궤도통신위성 | 1호(27)* · 2호(29)* |
| 국산 소자·부품 검증 위성 | 1호(25)* · 2호(26)* · 3호(27)* |
| 달 궤도선 | 다누리('22) · 달궤도투입성능검증위성(30)* |
| 화성 궤도선 | 한국형 화성 궤도선(35)* |
| 큐브위성 | 도요샛('23) |
| KPS위성 | 1호(29)* · 2~8호(~35)* |
| 기타 | 누리호 성능검증위성('22)† |
※ 취소선: 발사 실패 / †: 교신 두절 / *: 임무 예정 |
| 관련 틀: 대한민국의 로켓 | 대한민국의 우주개발계획 |
}}}}}}}}} || | 구분 | 내용 |
| 별칭 | COMS‑1, Cheollian‑1, GEO‑KOMPSAT‑1 |
| NORAD 번호 | 36744 |
| 임무 분류 | 기상 위성 / 해양 관측 / 통신 실증 |
| 위성 버스 | Eurostar‑3000 (제작: EADS 아스트리움) |
| 발사 일시 | 2010년 6월 26일 21:41 (UTC) / 6월 27일 06:41 (KST) |
| 발사체 | 아리안 5 ECA (Ariane Flight V195) |
| 발사장 | 기아나 우주센터(프랑스령 기아나 쿠루) |
| 공동 탑재 | Arabsat‑5A(상단) / 천리안 1호(하단, SYLDA) |
| 정지궤도 경도 | 128.2°E(정상운용) → 128.15°E(2018‑08 이후 미세 조정) |
| 고도/궤도 | 정지궤도(≈ 35,786 km), 3축 안정화 |
| 발사 질량 | 약 2,460 kg |
| 전력 | 약 2.5 kW |
| 설계 수명 | 7년(실운용 9~10년 수준) |
| 운용 기관 | 총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기상: 기상청·국가기상위성센터 / 해양: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 통신: 국내 연구기관 |
| 임무 상태 | 2021년 4월 1일 임무 종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