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1f7cdc> | }}} | |||||
[[틀:창원시의 좌석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32a09; font-size: 16px; color: #fff"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1f7cdc><colcolor=#fff> 창원~마산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 BRT일반 | 100 | 101 | 102 | 103 |
105 | 106 | 107 | 108 | 109 | |||
122 |
창원~내서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110 | 111 | 113 | 114 | 115 |
116 |
창원~진해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150 | 151 | 152 | 155 | 156 |
마산~진해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160 | 162 | 163 | 164 |
군항제 셔틀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990 | 998 | 999 |
읍면노선 외 환승 인정 시간 25분 적용 |
동양교통 차량 | 신양여객 차량 |
1. 개요
동양교통 · 신양여객에서 공동배차하여 운행하는 창원시의 간선시내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48.1km다.전체 정류장 목록2. 노선 정보
창원시 간선버스 5000번 | |||||
| |||||
기점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성주동(불모산종점) | 종점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월영동(월영동공원) | ||
종점행 | 첫차 | 05:00 | 기점행 | 첫차 | 05:00 |
막차 | 23:00 | 막차 | 23:00 | ||
평일배차 | 9~12분 | 주말배차 | 토요일 11~15분 / 공휴일 16~24분 | ||
운수사명 | 동양교통 / 신양여객 | 인가대수 | 20대[1] | ||
노선 | 불모산종점.성주공영차고지 - 한국전기연구원 - 창원경상대학교병원 - 성산구청 - 남산공원환승센터(남산버스정류소) - 가음정사거리 - 장미공원(가음은아아파트) - 가음정시장(더샵센트럴파크) - 상남도서관(한림.우성아파트) - 삼익아파트 - 대동백화점 - 시민생활체육관 - 상남시장(은아아파트) - 창원시청(정우상가) - 창원중앙고등학교 - 트리비앙아파트(한국폴리텍대학) - 창원종합운동장(노블파크아파트) - 문성고등학교 - 창원컨벤션센터 - 시티7 - 명서1민원센터 - 명곡다리(명곡교회) - 명서시장 - 명서초등학교 - 서부경찰서(원흥사) - 의창구청 - 의창스포츠센터 - 소답동 - 의창동환승센터 - 윤병원 - 창원역 - 한국전력 - 구암동 - 마산시외버스터미널 - 마산역.동마산병원 - 마산우체국(경남은행본점) - 무학여고 - 육호광장 - 오동동문화광장 - 어시장 - 경남데파트 - 마산합포구청.의료원 - 마산중부경찰서 - 연세병원 - 문화동 - 경남대.남부터미널종점 - 해운초등학교 - 월영동공원(월영1차아파트) | ||||
밑줄 친 구간은 S-BRT 경유 구간이다. |
3. 역사
- 2023년 6월 10일에 창원시 시내버스 전면 노선개편으로 신설되었다.
4. 특징
- 6000(BRT급행)과 같이 태그리스 시범운행노선이다.
- 노선 번호는 6000번(BRT급행)과 같이 타 창원 버스 노선들과 달리 숫자로만 표기하는 것과 다르다. 차량 앞면 LED에는 BRT일반과 (5000)이라는 문구가 위아래로 함께 표시된다.
- 2023년 8월 26일 이후 기준으로 100번과는 월영1차아파트 - 육호광장, 석전교사거리 - 상북사거리, 시청사거리 - 남양삼거리 구간과 완전히 겹친다. 그리고 6000번과는 월영1차아파트 - 남양삼거리까지의 구간과 완전히 겹친다.
- 창원경상대학교병원, 한국전기연구원의 생명줄 같은 노선이다. 다른 노선들은 상남동에 안들어가거나, 요금이 비싸거나, 배차가 나쁘거나, 환승이 단 한 번뿐이라는 것 등 하나같이 나사가 빠져있다. 게다가 창원경상대학교병원, 한국전기연구원에서 가장 자주 운행하는 덕분에 이 지역의 이용률이 특히 높다.
- 원이대로 연선과 남산시외버스정류소를 오갈 때 이 노선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이 노선이 생기기 전에는 151, 155번처럼 진해 간선 노선을 많이 이용했으나, 이 노선이 신설되면서 더욱더 쾌적하게 이동할 수 있다. 소요시간은 똑같지만, 진해 간선 노선은 남산시외버스정류소 수요보다 성산구와 진해구 사이를 이용하는 수요가 더 많기 때문에 항상 사람이 많은 반면, 이 노선은 성주사역 및 안민터널에 가지 않고 불모산동(성주공영차고지)에 가서 그 곳에 종착하기 때문에 진해 간선 노선보다 훨씬 적은 승객만 타기 때문이다. 거기다 배차 간격도 더 좋다는 장점도 있다.
4.1. 시간표
4.2. 노선
창원시 간선버스 5000번 |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월영1차아파트 314702 | 월영동공원 314701 | ||||
해운초등학교 314704 | ↓ | ↑ | 해운초등학교 314703 | |||
경남대남부터미널종점 300636 | 경남대남부터미널종점 300635 | |||||
문화동 300106 | ↓ | ↑ | 문화동 300105 | |||
연세병원 300108 | 연세병원 300107 | |||||
반월민원센터 300109 | ↓ | ↑ | 반월민원센터 300112 | |||
중부경찰서 300114 | 중부경찰서 300111 | |||||
경동메르빌APT 300116 | ↓ | ↑ | 경동메르빌APT 300113 | |||
마산합포구청.의료원 300120 | 마산합포구청.의료원 300115 | |||||
경남데파트 300122 | ↓ | ↑ | 경남데파트 300117 | |||
KT마산점 300126 | KT마산점 300119 | |||||
어시장 321906 | ↓ | ↑ | 어시장 321907 | |||
오동동문화광장 307404 | 오동동문화광장 307403 | |||||
삼성생명 307402 | ↓ | ↑ | 삼성생명 307401 | |||
육호광장 300134 | 육호광장 300125 | |||||
버스회관 400102 | ↓ | ↑ | 버스회관 400101 | |||
회원1동 400104 | 회원1동 400103 | |||||
무학여고 400106 | ↓ | ↑ | 무학여고 400105 | |||
석전동 400108 | 석전동 400141 | |||||
경남은행본점 400109 | ↓ | ↑ | 마산우체국 400110 | |||
마산역.365병원 400111 | 마산역.동마산병원 400112 | |||||
마산시외버스터미널 630021 | ↓ | ↑ | 마산역 400113 | |||
합성동 400120 | 마산시외버스터미널 630020 | |||||
덕재.롯데캐슬 400122 | ↓ | ↑ | 합성동 400119 | |||
복음요양병원 400124 | 덕재.롯데캐슬 400121 | |||||
구암동 400126 | ↓ | ↑ | 구암동 400123 | |||
구암동육교 400125 | ||||||
KT동마산지점 400128 | ↓ | ↑ | KT동마산지점 400127 | |||
한국전력 400130 | 한국전력 400129 | |||||
창원역 115302 | ↓ | ↑ | 창원역 115301 | |||
서상삼거리 115306 | 서상삼거리 115303 | |||||
의창사거리 115308 | ↓ | ↑ | 태광주유소 115305 | |||
윤병원 115310 | 윤병원 115307 | |||||
의창동환승센터 115312 | ↓ | ↑ | 의창동환승센터 115309 | |||
소답동 115314 | 소답동 115311 | |||||
의창스포츠센터 114230 | ↓ | ↑ | 의창스포츠센터 114231 | |||
의창구청 114232 | 의창구청 114233 | |||||
서부경찰서(원흥사) 114234 | ↓ | ↑ | 서부경찰서(원흥사) 114235 | |||
명서초등학교 114236 | 명서초등학교 114237 | |||||
명서시장 114238 | ↓ | ↑ | 명서시장 114239 | |||
명곡다리(명곡교회) 114240 | 명곡다리(명곡교회) 114241 | |||||
명서1민원센터 114242 | ↓ | ↑ | 명서1민원센터 114243 | |||
시티7 114244 | 시티7 114245 | |||||
창원컨벤션센터 114246 | ↓ | ↑ | 창원컨벤션센터 114247 | |||
문성고등학교 114248 | 문성고등학교 114249 | |||||
창원종합운동장 114250 | ↓ | ↑ | 노블파크아파트 114251 | |||
트리비앙아파트(한국폴리텍대학) 114252 | 트리비앙아파트(한국폴리텍대학) 114253 | |||||
창원중앙고등학교 114254 | ↓ | ↑ | 창원중앙고등학교 114255 | |||
창원시청 114256 | 창원시청(정우상가) 114257 | |||||
상남시장(은아아파트) 114258 | ↓ | ↑ | 상남시장(은아아파트) 114259 | |||
시민생활체육관 114260 | 시민생활체육관 114261 | |||||
대동백화점 114262 | ↓ | ↑ | 대동백화점 114263 | |||
토월성원아파트 114264 | 삼익아파트 114265 | |||||
상남도서관 114266 | ↓ | ↑ | 상남도서관(한림.우성아파트) 114267 | |||
가음정시장 114268 | 가음정시장(더샵센트럴파크) 114269 | |||||
장미공원 114270 | ↓ | ↑ | 장미공원(가음은아아파트) 114271 | |||
가음정사거리 218822 | 가음정사거리 218815 | |||||
↓ | ↑ | 남산동 218817 | ||||
남산버스정류소 218824 | 남산공원환승센터 218819 | |||||
대우1차아파트 218826 | ↓ | ↑ | ||||
성산구청 218828 | 성산구청 218821 | |||||
한국지엠.창원경상대학병원 218830 | ↓ | ↑ | 창원경상대학병원 218823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창원1사업장 218832 | 삼정자내리마을 218827 | |||||
한국전기연구원 207301 | ↓ | ↑ | 한국전기연구원 207302 | |||
불모산종점 207304 · 207303 |
4.3. 사건사고
- 2025년 1월 24일 오후 3시경 명곡광장 방면 시티세븐에서 승용차가 1차로를 넘어 좌회전하다 버스중앙차로를 달리던 해당 노선 (신양여객 소속) 버스의 앞부분을 추돌하여 시내버스 승객 1명이 부상을 입어 병원에 후송되었고 다른 1명은 다리 통증을 호소했으며, 나머지 승객들은 다른 버스를 타고 이동했다.관련 기사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84e0f><tablebgcolor=#e84e0f> 남산시외버스정류소 경유 버스 노선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남산버스정류소(218824) | |
좌석 | ||
간선 | ||
지선 | ||
김해좌석 | ||
남산공원환승센터(218819) | ||
좌석 | ||
간선 | ||
지선 | ||
김해좌석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