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21 20:34:16

주견제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0113b, #56156b 20%, #56156b 80%, #30113b); color: #f9d537;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홍무제 건문제 영락제 홍희제
주표
(의문태자)
황태손 주윤문
(건문제)
주문규
(화간태자)
주고치
(홍희제)

황태손 주첨기
(선덕제)
주첨기
(선덕제)
선덕제 정통제 경태제
주기진
(정통제)
주견심
(성화제)
주견심
(성화제)
주견제
(회헌태자)
천순제 성화제 홍치제
주견심
(성화제)
주우극
(도공태자)
주우탱
(홍치제)
주후조
(정덕제)
가정제 융경제 만력제 숭정제
주재예
(장경태자)
주익균
(만력제)
주상락
(태창제)
주자랑
(헌민태자)
남명 南明
영력제
주자훤
(애민태자)
추존
가정제 융경제 천계제
주재기
(애충태자)
주익식
(헌회태자)
주자연
(회충태자)
주자육
(도회태자)
천계제 융무제
주자경
(헌회태자)
주림원
(장경태자)
}}}}}}}}}}}}

<colbgcolor=#56156b><colcolor=#f9d537>
명 대종조 황태자
주견제 | 朱見濟
시호 회헌태자(懷獻太子) → 회헌세자(懷獻世子)
주(朱)
견제(見濟)
출생 1445년 3월 28일
사망 1453년 3월 21일 (향년 7세)
부황 경태제
모후 항황후
재위기간 명 성왕세자
미상 ~ 1449년
명 황태자
1452년 ~ 1453년 3월 21일
1. 개요2. 생애3. 가족4. 둘러보기


1. 개요

주견제(朱見濟, 1445년 3월 28일 ~ 1453년 3월 21일)는 명나라의 황족으로 경태제와 항황후(杭皇后)의 유일한 아들이자 태자(太子)이다. 1453년 사망 당시 부황 경태제가 황제였기에 주견제는 회헌태자(懷獻太子)로 추시되었으나 백부 정통제가 복위하자 회헌세자(懷獻世子)로 추탈되었다.

2. 생애

백부 정통제가 토목의 변으로 인해 오이라트의 포로로 잡혀가자 주견제의 부친인 주기옥이 경태제로 즉위하였다. 1452년 경태제는 기존 태자인 주견심을 폐위한 후 주견제를 태자로 세웠으나 이듬해인 1453년 주견제는 사망하였고 시호를 회헌태자(懷獻太子)라 하였다.

1457년, 정통제가 복위하였고 주견제는 태자에서 추탈되어 회헌세자(懷獻世子)로 격하되었다. 이후 아버지 경태제가 황제에 다시 추존되었지만 주견제는 남명 때까지도 태자로 복권되지 못했다.

3. 가족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9d537;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81818,#e5e5e5
덕조 주오사 | 의조
의조 희조 | 주초이 | 주초오 | 주초십
희조 수춘왕 | 주오이 | 인조
인조 남창왕 | 우이왕 | 임회왕 | 홍무제
홍무제 흥종 | 진민왕(秦愍王) | 진공왕(晉恭王) | 영락제 | 주정왕(周定王) | 당정왕(唐定王)
흥종 건문제
건문제 화간태자 | 주문규
영락제 홍희제 | 한왕 | 조간왕 | 주고희
홍희제 선덕제 | 월정왕(越靖王) | 양헌왕(襄獻王)
선덕제 정통제 | 경태제
정통제
(천순제)
성화제 | 덕장왕(德莊王)
경태제 회헌태자
성화제 도공태자 | 홍치제 | 예종(睿宗) | 기혜왕(岐惠王)
홍치제 정덕제 | 울도왕
정덕제 없음
예종(睿宗) 가정제
가정제 애충태자 | 장경태자 | 융경제
융경제 헌회태자 | 정도왕(靖悼王) | 만력제
만력제 태창제 | 빈애왕(邠哀王) | 공종 | 예종(禮宗)
태창제 천계제 | 간회왕(簡懷王) | 숭정제
천계제 회충태자 | 도회태자 | 헌회태자
숭정제 도제
남명(南明)
도제 없음
공종 홍광제
홍광제 없음
혜제 순제
순제 단제
단제 선제
선제 융무제 | 주율오
융무제 장경태자
예종(禮宗) 영력제
영력제 애민태자
}}}}}}}}}}}}




[1] 항욱(杭昱)의 딸로 경태제가 황제일 당시 숙효황후(肅孝皇后)로 추시되었으나 정통제가 복위한 후 시호는 삭탈되고 왕비(王妃)로 추탈되었다. 이후 성화제가 즉위한 후 황후로 복권되었으나 추가적인 시호를 올리지 않았기에 별도의 시호 없이 항황후로만 호칭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