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상징명칭(비호)이 같은 부대}}}에 대한 내용은 [[비호부대]]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비호부대#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비호부대#|]]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상징명칭(비호)이 같은 부대: }}}[[비호부대]]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비호부대#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비호부대#|]]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 | |
독립기갑연대 | 제302경비연대 | 제306경비연대 | 제706특공연대 | 제707특공공정연대 | |
※ 둘러보기: 해체·해편된 각급 육군 부대 | |||||
독립연대 · 연대 | 해체된 독립연대 · 해체된 연대 |
제706특공연대 第706特功聯隊 The 706th Commando Regiment | |
| |
사나이 중의 사나이 | |
창설일 | 1983년 5월 1일(제706특공연대) 1994년 8월 19일(제6강습대대) 2000년 10월 1일(제706특공연대) |
해체일 | 2022년 8월 26일 |
상징명칭 | 진군 표범부대 |
소속 | 대한민국 육군 |
상급부대 | 제6군단 |
규모 | 연대 |
역할 | 제6군단 특수작전 임무수행 |
초대 연대장 | 대령 000 (육사 00기) |
해체 전 연대장 직무대리 | 중령 최규열 |
위치 | 경기도 포천시 창수면 고소성리 |
1. 개요
대한민국 육군의 지상작전사령부 제6군단 예하 특공연대이다.2. 연혁
|
과거 흉장 |
- 1983년 5일 1일 - 부대창설(4개대대형)
- 1994년 8월 18일 - 부대해체
- 1994년 8월 19일 - 제6강습대대 창설
- 2000년 9월 30일 - 제6강습대대 해체
- 2000년 10월 1일 - 특공연대 재창설(2개대대)
- 2018년 10월 1일 - 국군의 날 행사 전투시연 지원
- 2019년 5월 1일 - DMZ 평화의 길 경호작전 지원
- 2022년 8월 26일 - 해체식이 있었다. 이후 11월 말 마지막 간부들까지 전출가면서 다시 역사 속의 부대가 되었다.
3. 예하부대
3.1. 연대 직할대
- 본부중대
- 통신중대
3.2. 제1대대
- 본부중대
- 제1지역대
- 제2지역대
- 제3지역대
3.3. 제2대대
- 본부중대
- 제4지역대
- 제5지역대
- 제6지역대
3.4. 제3대대
2012년 12월 1일 창설된 3대대는 특공대대이면서 동시에 동원대대 역할을 겸하고 있었다(대대 총 인원이 타부대 분대, 소대 정도이다). 따라서 타 대대와 달리 동원훈련도 진행되었다.2대대 건물 위에 있었으며, 독립적인 건물은 없었다.
- 본부중대
- 제7지역대
- 제8지역대
- 제9지역대
4. 출신인물
4.1. 연대장
볼드체는 대장 진급이 된 연대장. |
역대 제706특공연대장 | ||||||
역대 | 이름 | 계급 | 임관 | 비고 | 기타 | |
초대 | 김태희(육사20기) | 예) 대령 | 前 연대장 | |||
00대 | 윤상돈 | 예) 소장 | 육사 35기 | 前 육군정보학교장 | ||
00대 | 김영환 | 예) 중장 | 육사 42기 | 前 국방정보본부장 | ||
00대 | 황순필 | 대령 | 前 연대장 | |||
22대 | 주재성 | 준장(진) | 육사 54기 | 前 연대장 | ||
23대 | 서동설 | 준장(진) | 육사 50기 | 前 합참 정보작전계획과장 |
4.2. 장교/부사관
4.3. 병
5. 기타
5.1. 근무환경
5.2. 부대가
아느냐 그 이름 사나이 중의 사나이
706 특공연대 무적의 사나이
높은 산 깊은 골 눈보라 헤치며
오늘은 어디가서 습격을 하고
불 타는 투혼으로 적진을 주름잡나
신출귀몰 전천후 특공대 용사
조국통일 위하여 이 한 몸을 바쳐
일기당천 기백으로 몰아쳐
원수의 무리들을 초계 같이 처 부순다
아-아아 아 우리는 불사신
천하무적 표범용사 지상의 왕자 화이팅 화이팅
706 특공연대 무적의 사나이
높은 산 깊은 골 눈보라 헤치며
오늘은 어디가서 습격을 하고
불 타는 투혼으로 적진을 주름잡나
신출귀몰 전천후 특공대 용사
조국통일 위하여 이 한 몸을 바쳐
일기당천 기백으로 몰아쳐
원수의 무리들을 초계 같이 처 부순다
아-아아 아 우리는 불사신
천하무적 표범용사 지상의 왕자 화이팅 화이팅
겨레의 부름에 젊음을 바쳐 대한의 건아들이 굳게 뭉쳤다
말보다는 행동으로 최선을 다해
세계의 우뚝서는 전투프로다
필승의지 불사조 진군 특공 용사
어떠한 역경도 이겨나가는 최정예 특공 용사
706특공연대 목숨보다 소중하다 조국의 통일
아~아~ 우리는 조국의 방패다
기억하리 그대 이름 진군 특공 용사
말보다는 행동으로 최선을 다해
세계의 우뚝서는 전투프로다
필승의지 불사조 진군 특공 용사
어떠한 역경도 이겨나가는 최정예 특공 용사
706특공연대 목숨보다 소중하다 조국의 통일
아~아~ 우리는 조국의 방패다
기억하리 그대 이름 진군 특공 용사
2020년 기준 아침점호 및 행사시 제6군단 군단가를 제창하고 있었다.
6. 사건사고
7. 여담
- 영국남자가 이 부대를 체험하였다.
- 해체 중/후 많은 간부들이 제2작전사령부 직할 모 대대로 전출을 갔다.
[1] 해당 프로그램은 2008년 9월 14일에 체험! 삶의 현장에서 방영되었다. 여담으로 이때 가수 데프콘과 신인 여가수인 문지은까지 함께 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