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폭구'''{{{#!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약칭이 '폭구'인 소설}}}에 대한 내용은 [[한국 독립 전쟁]]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한국 독립 전쟁#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한국 독립 전쟁#|]]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약칭이 '폭구'인 소설: }}}[[한국 독립 전쟁]]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한국 독립 전쟁#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한국 독립 전쟁#|]]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000,#000> | Gen.G 2025 시즌 로스터 |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 <colbgcolor=#000,#000><colcolor=#aa8a00,#aa8a00> 감독 | [[강근철|강근철 solo ]] | |
코치 | [[김해성(1994)|김해성 HSK ]]|[[정범기|정범기 peri ]] | ||
로스터 | |||
ACTIVE | t3xture ]] | Ash ]] | |
Munchkin ]] | Foxy9 ]] | ||
Karon ]] | Lakia ]] | ||
VCT Pacific 참가팀 로스터 | }}}}}}}}}}}} |
| |
<colbgcolor=#000><colcolor=#aa8a00> Gen.G Foxy9[1] | |
정재성 (Jung Jae-sung) | |
출생 | 2004년 11월 20일 ([age(2004-11-21)]세) |
광주광역시 북구 | |
국적 |
|
신체 | 179.8cm[2] |
가족 | 부모님, 여동생, 남동생 |
MBTI | ENFP |
학력 | 한국게임과학고등학교 (e스포츠 전공 발로란트 종목 / 졸업) |
ID | eminem9 #Fox9 # |
포지션 | 감시자 |
경력 상금 | $47,602.02 USD (₩70,470,030.41)[3] |
소속 |
(2024.10.24 ~ ) |
에이전시 | 리오컴퍼니 |
|
1. 개요
대한민국의 발로란트 프로게이머. 現 VCT Pacific의 Gen.G 소속.2. 플레이 스타일
영입이 발표된 다음 날 비시즌 이벤트전인 대전 발로란트 인비테이셔널에서 데뷔전을 치렀는데, 라이플은 물론 오퍼레이터를 매우 잘 다루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특히 결승전이었던 팀 시크릿 과의 경기에서 굉장히 빠른 반응속도로 해설진들을 놀라게 하는 킬들을 여럿 만들어냈다.
위 경기를 본 팬들의 반응은 드디어 DRX에 제대로된 오퍼수가 생겼다며 축제 분위기.[6][7]
이후 락인 땐 출전하지 못하다가 VCT 퍼시픽에서 처음으로 나왔는데 데뷔전부터 오퍼레이터로 에이스를 해내는가 하면 GE 상대로도 폭발적인 기량을 뽐냈으며[8] DRX의 주전으로 완전히 도약했다. PRX의 something과 함께 퍼시픽 투탑 엔트리로 평가받았으며, PRX와의 정규시즌 경기에서 그 something을 상대로 판정승을 거두기도 했다.
레이즈도 잘 다루는지라 스플릿에서는 제트 대신 레이즈를 기용하기도 했다.
2024년 DRX에서는 본인의 포지션이 고정되지 않아 불안한 모습을 보인 반면 젠지 이적 후에는 감시자나 척후대 위주로 안정적으로 플레이하고 있다. 스테이지 1 이후부터는 거의 감시자 고정. 전임인 메테오처럼 하이리스크 하이퍼리턴 방식으로 본인만의 판을 짜 영역을 먹는 유형의 감시자는 아니지만[9], 특유의 폭발적인
3. 선수 경력
3.1. 2023 시즌
제1 라운드 ZETA DIVISION 개막전 첫 경기에 개인사정으로 출전하지 못하는 버즈 대신해 출전한다.퍼시픽 리그의 개막전이자 자신의 공식경기 데뷔전인 1라운드 제타 디비전과의 경기에서 오퍼레이터 에이스로 1세트를 마무리하며 퍼시픽 리그의 팬들에게 자신의 존재를 각인시켰다.[12][13]
이후로 완전히 주전으로 자리를 잡은 듯 했으나 플레이오프 승자조 PRX전 완패 이후 다시 벤치로 밀려났고, 패자조 결승 및 최종 결승에는 한 세트도 출전하지 못했다.
3.2. 2024 시즌
팀이 리빌딩되며 다시 주전 자리에 돌아왔으나 버즈에게 메인 타격대 자리를 내주게 되었다.타격대를 제외한 역할군을 맵에 따라 오가게 되었다.[14]
DFM,TALON과의 경기에선 후방으로 포지션 변경을 가져간 덕에 안정적인 에임으로 상대를 제압하였으나 Gen G와의 경기에선 부족한 요원숙련도, 아쉬운 게임리딩, 어이없는 퍼스트 데스로 팀의 탈락에 기여해버리는 아쉬운 경기를 펼쳤다.
2024년 4월 6일에 개막한 2024 VCT Pacific Stage 1에선 원래 사용하던 제트 등의 타격대 요원이 아닌 킬조이, 사이퍼를 비롯한 감시자 요원을 다뤄 높은 사이트 공략율과 수비력을 보여주고 있고 이에 더해 이전에 있던 압도적인 피지컬 또한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블리드 이스포츠와의 경기에선 에이스를 달성하는 등의 활약을 보이며 DRX의 전승 플레이오프 진출에 큰 기여를 하였다.
현재 킬조이, 사이퍼와 같은 감시자가 아닌 게코, 브리치와 같은 척후대를 주로 맡고 있으며, 특히 젠지와의 퍼시픽 결승에서 게코를 활용하여 큰 활약을 하였다.
스테이지 1 정규시즌에서는 드디어 자신이 가지고 있던 재능을 터트렸다는 평가를 받고있다.
시즌 종료 후 10월 7일 팀 공식 X에 제한적 이적 허용(RFA)으로 전환되었음이 발표되었다.
3.3. 2025 시즌
2024년 10월 24일, 젠지 공식 X에 영입이 발표, 25년도에는 젠지에서 활동하게 되었다. 프리시즌 ten 아시아 인비테이셔널에서 우승하며 이벤트성 대회이긴 하지만 커리어 첫 우승을 기록했다. 기존의 감시자 롤을 그대로 가져가면서 요루, 게코도 선보이며 공석이 된 메테오 자리를 대체할 포지션을 맡길 것으로 사료된다.2025 킥오프 시작 전까지는 과연 메테오의 자리를 대체해 줄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많았으나, 이후 RRQ와의 대진에서 로터스와 헤이븐에서 여러번 클러치를 해내거나 중요한 킬을 따내며 카론과 함께 대활약했다. 당시 젠지의 경기가 강해진 RRQ에 의해 여러번 말리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나 과거 24시즌 메테오처럼 폭구가 따낸 핵심적인 킬과 클러치들이 게임을 풀어주며 젠지가 승리를 얻는데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후 DFM 전에서는 먼치킨과 함께 움직이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먼치킨이 판단을 내리면 폭구 본인이 먼치킨의 지시 하에 킬을 내면서 "먼치킨의 뇌와 폭구의 오른손"이라는 조합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영역 전개 및 상대의 스킬을 빼먹는 드리블 등 감시자에게 요구되는 뇌지컬이 필요한 부분에서 부족한 점을 많이 보였고, 그 때문에 서제스트 영입과 함께 백업 멤버로 강등되었으나 서제스트가 아직 팀 내에서 부진하는 모습을 보여 DFM전부터 다시 주전으로 복귀했다. 그리고 복귀하자마자 엄청나게 발전한 모습을 보이며 사실상 서제스트 영입은 폭시나인의 각성을 위한 것이냐는 드립들이 쏟아졌다[15]. 특히 5주차 DRX와의 조 2위 결정전에서 보여준 영역 전개와 드리블은 정말 재능이 개화한거 아니냐는 평가를 들을 정도였다.
각성 이후 마침내 젠지의 합이 맞아들어가며 오메가 그룹 2위인 탈론을 격파하고 같은 알파 그룹의 1위이자 개막전에서 패배를 당했던 붐이스포츠마저 완파하면서 플레이오프에서 고공행진을 견인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맹활약하면서 폭구의 위상 역시 비약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마지막 결승인 RRQ전의 경우 여러 악재로 아쉽게 패배하였지만[16] 게임 내내 슈퍼 플레이를 하며 캐리하던 카론과 함께 본인 또한 매우 중요한 클러치들을 여러번 해주는 모습을 보여주며[17] 토론토에 대한 기대감을 불러일으켰다.
그러나 토론토에서는 또 다시 킥오프 때 모습으로 돌아가버린 폼을 보여주며, 결국 이번에도 우승과는 연이 없었다. 인게임에서의 활약은 둘째 치더라도, 단두대 매치나 국제전 같은 큰 무대에서 긴장을 많이 하는 버릇이 나왔다.[18] 심지어 이 부분은 실력적인 부분이 아닌 멘탈적인 부분이라 고치기 힘든것도 문제.
4. 장비 및 세팅
<rowcolor=#aa8a00> 마우스 설정 (Mouse Settings) | ||||||||
<rowcolor=#aa8a00> 마우스 | eDPI | DPI | 폴링레이트 | 감도 | 조준감도 | |||
G PRO X SUPERLIGHT 2 Magenta | 251.2 | 800 | 1000 Hz | 0.314 | 1 | |||
<rowcolor=#aa8a00> | <rowcolor=#aa8a00> 장비 (Hardware) | |||||||
<rowcolor=#aa8a00> 마우스 | 마우스패드 | |||||||
G PRO X SUPERLIGHT 2 Magenta | VAXEE PA Pcute 2025HNY | |||||||
<rowcolor=#aa8a00> 모니터 | 주사율 | 인게임 해상도 | ||||||
ZOWIE XL2566K | 360hz | 1920x1080 or 1280x960 | ||||||
<rowcolor=#aa8a00> 키보드 | 헤드셋 | |||||||
Razer Huntsman V3 Pro Mini | Razer BlackShark V2 Pro | |||||||
<rowcolor=#aa8a00> 최종 업데이트 [dday(2024-08-18)]일 지남[A] |
5. 주요 경력
우승 경력 | ||||
TEN 2024 발로란트 아시아 인비테이셔널 우승 | ||||
Cloud9 | → | Gen.G | → | 미정 |
준우승 경력 | ||||
2023 VCT Pacific 준우승 | ||||
대회 출범 | → | DRX | → | Paper Rex |
TEN 2023 발로란트 글로벌 인비테이셔널 준우승 | ||||
대회 출범 | → | DRX | → | Talon Esports |
2024 VCT Pacific Stage 2 준우승 | ||||
Gen.G | → | DRX | → | T1 |
2024 SOOP VALORANT LEAGUE 준우승 | ||||
Paper Rex | → | Gen.G | → | 미정 |
2025 VCT Pacific Stage 1 준우승 | ||||
T1 | → | Gen.G | → | Rex Regum Qeon |
6. 별명
6.1. 흡수9
폭시나인이 상대하는 모든 팀들을 무자비하게 흡수해버린다는 말에서 시작되는 밈으로, 현재는 폭시나인하면 바로 생각나는 밈이다. 뭔가 화면을 향해 손을 뻗는 모습과 근엄한 표정이 인상적이다. 선수 본인도 이 밈을 알고 있으며, 아예 적극적으로 상대팀을 흡수해버리겠다는 인터뷰를 한 적도 있다.
한편 2025년 승격팀인 붐에서의 도스나인과 폭시나인이 자주 엮이기도 하는데, 이로 인해 붐을 잡았을 때 도스나인을 흡수했다는 말이 나오기도 했다.
7. 여담
- 본인의 방송에서 도네이션 또는 구독을 할 바에는 차라리 우왁굳의 방송에 하라고 말할 정도로 스트리머 우왁굳의 굉장한 팬으로, 방송 중 맵가리개로 우왁굳의 마스코트 캐릭터인 왁두를 사용한 적이 있다. 이세돌 또한 좋아하며 최애 멤버는 자주 바뀐다고 한다. 현재 최애 멤버는 고세구이다.
- 반응속도가 굉장히 빠르다.[20]
- 마인크래프트를 즐겨 하는것으로 보인다. 하이픽셀서버에 약 6만원 가량의 랭크를 보유하고 있고, 코마와 함께 하이픽셀의 미니 게임을 플레이 하기도 하였다. # 마카오톡에도 참여하였으며 꾸몽의 영상을 본다고 말하기도 했다.
- 중국어를 잘한다.
- 장남이며, 아래로 여동생 한 명과 막내 남동생 한 명이 있다. #
- 팀 내에서 분위기 담당이라고 한다. 실제로 DRX 시절에는 스택스, 베인과 함께 팀의 분위기를 만들었고, 아예 텐션이 높은 젠지에서는 텍스쳐, 카론 등 여러 선수와 잘 어울리고 있다.
- 2025년 9월에 방송된 스카우트 6 얼리어잡터 제19회의 후반부 코너에 출연했다.
8. 둘러보기
정재성 관련 틀 | |||||||||||||||||||||||||||||||||||||||||||||||||||||||||||||||||||||||||||||||||||||||||||||||||||||||||||||||||||||||||||||||||||||||||||||||||||||||||||||||||
|
[1] 前 설화 (Seolhwa)[2] #.[3] Foxy9 발로란트 경력 상금.[4] 비활성화: 2022.09.12 ~ 2022.09.30[5] 비활성화: 2024.10.07 ~ 2024.10.24[6] 물론 정규시즌 경기가 아닌 비시즌 서드파티인 것을 감안해야한다.[7] 하지만 상대팀이었던 팀 시크릿 또한 DRX와 마찬가지로 아시아 리그 프랜차이즈에 합격한 팀이고, 2021 챔피언스에 진출한 이력이 있는 팀인것을 생각하면 첫 경기 치고는 매우 잘했다는 평.[8] 특히나 팀원들이 전부 말려버린 최악의 상황이었다.[9] 물론 이건 전세계에서 메테오를 포함한 톱클래스임을 증명한 감시자 선수들 말고는 할 수 없는 역할이긴하다(...) 애초에 일단 에임과 무빙이 좋고, 럴킹 타이밍을 정확히 잡을만한 맵리딩도 필요로 하는 매우 어려운 역할이기에 아직 감시자로써 발전하고 있는 선수에게 이런 모습을 기대하기는 이르다.[10] 플레이 자체는 감시자의 정석이지만, 매우 강한 교전력 덕에 수비에서는 설령 상대가 손해를 보지 않고 곧바로 사이트를 뚫으려 여러명 들어와도 최소 1명은 데려가 손해를 입히고, 공격시에도 중요한 순간에 상대팀의 뒤를 치고 빠져 압박을 가하거나 클러치를 해주는 등 감시자로서 계속해서 1인분 이상의 역할을 해주고 있다[11] 킥오프 때는 Foxy9에 대한 평가가 시청자들과는 다소 상반되고 그다지 고평가하지 않던 해설진들도 스테이지1에서는 폼이 좋아졌다고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12] 퍼시픽리그+공식경기 데뷔전 첫 에이스라는 굉장히 상징적인 에이스라 그런지 DRX 구단측에서 직접 영상도 만들어줬다.[13] 백문이 불여일견. 직접 보러가자.[14] 2 타격대를 할 때 타격대를 하기도 한다[15] 실제로 인터뷰에서 주전에서 제외되었을때 당시 정신이 번쩍 들었으며, 그때부터 눈치 보지 말고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해보자 다짐했다고 한다. 나름 각성제가 된 셈이다.[16] 하필 경기 당시 텍스쳐는 다래끼가 껴 폼이 부진했으며, 애쉬는 데뷔전 때 처럼 극도로 긴장하여 저점이 뜬 모습을 보여주었다. 심지어 RRQ의 경우 젬킨이 역대급 최고점이 터지면서 젠지의 운영을 말리게 했다.[17] 특히나 2세트인 어센트 맵의 경우 비록 패배하였으나 전반전 10대2까지 벌려졌던 절망적인 점수차를 본인의 슈퍼 플레이로 분위기를 반전시키며 12대11까지 추격하며 RRQ를 위협하기도 했었다.[18] 폭구의 개인 화면을 보면 떨고 있다는게 에임으로도 보일 정도로 긴장을 많이 했으며, 폭구의 장점 중 하나인 좋은 샷발이 사라지자 그냥 그저그런 선수라고 평가 받던 때로 돌아갔다.[A] prosettings.net 기준.[20] 본인 말로는 반응속도 테스트에서 아무리 못해도 140ms는 나온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