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청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정부종합청사 | |||
세종 | 서울 | 과천 | 대전 | |
정부지방합동청사 | ||||
대구 | 인천 | 광주 | 경남 | |
제주 | 춘천 | 고양 | 충남 | |
경북 | ||||
준공예정 | ||||
울산 (2024년 준공예정) | 부산 (2025년 준공예정) | |||
충북 (2026년 준공예정) | 대전 (2029년 준공예정) |
정부부산지방합동청사 조감도 | |||
<nopad> |
1. 개요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 북항 재개발지역 1구역 내에 위치할 예정인 정부합동청사이다.초량동 45-62번지 부산 북항재개발구역에 건물 약 4.8만㎡, 대지 약 2.5만㎡ 규모로 총 사업비 1646억원을 들여 신축될 예정으로, 총 11개 기관의 600여명 공무원이 근무하게 될 예정이다. 원 계획은 2015년경 설계를 완료한 후 2018년 입주였으나, 북항재개발사업 계획 변경, 입주예정 기관 선정 지연 등으로 수차례 지연되어 2027년 4월 준공 예정으로 변경되었다.
부산광역시의 원도심이었던 중구, 동구 인근에는 여러 공공기관들이 밀집해 있으나, 원도심인 만큼 건물이 심하게 노후화되어 관리에 문제가 생기고, 북항재개발 계획으로 인해 건물 철거가 불가피한 기관들이 산재하여 있으며[1] 몇몇 기관들은 민간 빌딩을 임대하여 청사를 운영하는 등[2] 비효율적이라는 지적이 있어 기관들을 모을 예정으로, 그동안 업무특성상 단독청사를 요구하는 부산세관이 합동청사 입주를 거부하는 등 여러 가지 면에서 마찰이 있어서 착공이 지연되는 중이었으나[3] 2022년 2월 11개 입주기관을 확정짓고 2027년 4월 준공 예정이다.
이재명 정부에서 해양수산부를 2025년 내로 부산으로 이전을 추진하는데, # 이재명 대통령이 신속 이전을 지시하면서 이전 부지가 정부부간지방합동청사 예정지와 같은 부산 동구에 있는 IM빌딩과 협성타워로 결정되었다.[4] # 신속 이전 추진으로 이전 부지를 임시 청사로 사용하고 추후 북항재개발 구역에 착공되는 정부부산지방합동청사에 해양수산부 본청사를 입주시킬 가능성도 없지는 않다. 정부지방합동청사에 해양수산부까지 입주한다면, 정부지방합동청사에서 정부종합청사인 (가칭)정부부산청사로 격상될 가능성이 있다.
2. 입주기관
- 부산본부세관[5]
- 부산출입국외국인청
- 농림축산검역본부 영남지역본부
- 부산지방해양수산청
- 남해해양조사사무소
- 부산지방해양안전심판원
- 경남권 질병대응센터
- 국립부산검역소
- 부산지방공정거래사무소
- 부산광역시 중구 선거관리위원회
- 부산광역시 동구 선거관리위원회
[1] 옛 부산항 1부두 인근에 있는 부산세관, 출입국외국인청, 국립부산검역소 등이 이에 해당된다.[2] 공정거래위원회는 부산우체국 건물을 임차하여 사용하고 있고, 출입국외국인청 민원사무소는 대한항공 건물, 중구 선거관리위원회는 심지어 kt플라자 건물을 임차하여 사용하고 있다.[3] 정부지방합동청사는 수요기관을 모아서 입주여부를 확인해야 청사규모 및 시설 등을 확정시킬 수 있다.[4] 부산진역 근처[5] 전체 이전은 아니고 자성대, 신선대 부두 담당 부서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