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14 13:33:46

정령섬/찢긴 땅/능력 카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정령섬|정령섬]]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

적대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정령 및 능력 카드 목록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Spirit_Island.png 파일:branch_and_claw.webp 파일:jagged_earth.png 파일:nature_incarnate.png
기본판 가지와 발톱 찢긴 땅 자연의 화신
정령 능력 카드 정령 능력 카드 정령 능력 카드 정령 능력 카드
파일:Feather_and_Flame_box.png 파일:Horizons_of_Spirit_Island_box.png
깃털과 불꽃(프로모션) 정령섬의 지평
정령 정령
}}}}}}}}} ||

1. 개요2. 목록
2.1. 보조 능력 카드
2.1.1. 박쥐들이 어둠 속 습격을 위해 정찰하다2.1.2. 새들이 경고의 울음을 내다2.1.3. 피 냄새가 포식자를 부르다2.1.4. 수호의 부름2.1.5. 단단한 껍질을 두른 대지2.1.6. 메마른 바람2.1.7. 끔찍한 변이2.1.8. 길들여진 짐승들이 광폭해지다2.1.9. 마른 나무가 이글거리며 폭발하다2.1.10. 부패한 힘을 가두다2.1.11. 태양과 별빛 어둠의 가호2.1.12. 강을 따라 흐르고, 바람을 따라 불어가다2.1.13. 자연과의 연결이 주는 축복2.1.14. 쌍둥이 나날의 축복2.1.15. 태고의 기억이 맴돌다2.1.16. 섬 곳곳에 위험이 퍼지다2.1.17. 동족이 동족을 부르다2.1.18. 넋을 잃은 고요함2.1.19. 새로운 활력을 주는 축복2.1.20. 바람에 질병의 비명을 퍼뜨리다2.1.21. 야생에 분노를 새겨 넣다2.1.22. 끝없이 꼬이는 길로 이끌다2.1.23. 하늘이 돌아올 계절을 알리다2.1.24. 강하고 끊임없는 물결2.1.25. 모든 것을 빨아들이는 수렁2.1.26. 석양의 불길이 대지를 휩쓸다2.1.27. 영토를 둘러싼 분쟁2.1.28. 공포가 광기로 변하다2.1.29. 해안이 증오로 들끓다2.1.30. 번성하는 질식의 균류2.1.31. 위험천만한 물길2.1.32. 꺼지지 않는 불2.1.33. 잃어버린 것들을 위해 흐느끼다
2.2. 주요 능력 카드
2.2.1. 분노한 곰들2.2.2. 힘과 보호의 맹약2.2.3. 모든 것을 삼키는 공허로 끌어당기다2.2.4. 손길 닿지 않은 대지의 꿈2.2.5. 대지의 고통을 집중시키다2.2.6. 살아있는 흑요석의 숲2.2.7. 맹독 거미들의 창궐2.2.8. 거부할 수 없는 부름2.2.9. 대지를 녹여 유사로 만들다2.2.10. 사냥터에 자리 잡다2.2.11. 잠들어 영원히 못 깨다2.2.12. 대지에 원한을 흩뿌리다2.2.13. 폭풍의 낫2.2.14. 상처 입은 야생이 침략자들에게 반격하다2.2.15. 미풍에 돋아나는 덤불2.2.16. 살기를 품은 어둠으로 변하다2.2.17. 나무들이 천상의 빛을 내뿜다2.2.18. 자신의 본질을 거센 급류로 쏟아내다2.2.19. 공포와 뼈로 된 저주를 읊조리다2.2.20. 부드럽게 사라져 모든 기억에서 잊히다2.2.21. 명령의 목소리2.2.22. 바위와 가시로 된 벽2.2.23. 공간의 결을 엮어내다

1. 개요

보드게임 정령섬의 확장판 찢긴 땅에 추가된 능력 카드들을 설명하는 페이지. 정령 각각의 고유 능력 카드는 정령섬/찢긴 땅/정령 문서 참조. 이 문서에서는 게임 중에 얻는 보조 능력 카드와 주요 능력 카드들에 대해 설명한다.

2. 목록

2.1. 보조 능력 카드

2.1.1. 박쥐들이 어둠 속 습격을 위해 정찰하다

이름 박쥐들이 어둠 속 습격을 위해 정찰하다
Bats Scout for Raids by Darkness
파일:Bats_Scout_for_Raids_by_Darkness.png
에너지 비용 1
속도 파일:Slowicon.png
사정거리 2
대상 지역 원하는 곳
원소 파일:Emoon.png파일:Eair.png파일:Eanimal.png
효과 파일:Dahanicon.png마다, 파일:Townicon.png/파일:Cityicon.png에게 피해 1.
혹은
파일:Fearicon.png 1. 파일:Dahanicon.png을 2개까지 끌어온다.

밤의 은밀한 사냥과 비슷하게 다한 수에 비례해서 피해를 주는 카드. 건물에게만 피해를 줄 수 있다는 단점이 있지만, 피해를 몰아서 줄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영 각이 안 나오면 공포+다한 끌어오기로 쓸 수도 있다. 원소는 악몽이나 안개, 매혹 등이 유용하게 쓸 수 있다. 특히 악몽과 안개는 자신의 능력과도 시너지가 맞아떨어진다.

악몽의 잔혹 양상의 시작 카드이기도 하다.

2.1.2. 새들이 경고의 울음을 내다

이름 새들이 경고의 울음을 내다
Birds Cry Warning
파일:birds_cry_warning.webp
에너지 비용 1
속도 파일:Fasticon.png
사정거리 3
대상 지역 파일:Dahanicon.png이 있는 지역
원소 파일:Esun.png파일:Eair.png파일:Eanimal.png
효과 다음 한 번 파일:Dahanicon.png이 대상 지역에서 파괴되려 할 때, 파일:Dahanicon.png을 2개 덜 파괴한다.
혹은
파일:Dahanicon.png을 3개까지 밀어낸다.

다한 파괴 방지 카드가 그렇듯, 오염을 막지 못한다는 것이 단점이다. 그래도 빠른 능력+사정거리+선택효과로 꽤 유연하게 쓸 수 있다는 것이 장점.

2.1.3. 피 냄새가 포식자를 부르다

이름 피 냄새가 포식자를 부르다
Blood Draws Predators
파일:blood_draws_predators.webp
에너지 비용 1
속도 파일:Fasticon.png
사정거리 1
대상 지역 원하는 곳
원소 파일:Esun.png파일:Efire.png파일:Ewater.png파일:Eanimal.png
효과 다음 한 번 침략자가 대상 지역에서 파괴된 후:
파일:beaststoken.png를 1개 추가하고, 파일:beaststoken.png마다 피해 1. (파일:beaststoken.png는 최대 3개까지 센다).

조건부 1-3피해에 맹수 추가 카드. 맹수 토큰을 쓰는 정령이라면 당연히 좋고, 그렇지 않더라도 빠른능력 1피해 + 원소 4개라는 걸 보고 집을만 하다.

2.1.4. 수호의 부름

이름 수호의 부름
Call to Guard
파일:call_to_guard.webp
에너지 비용 0
속도 파일:Fasticon.png
사정거리 1
대상 지역 원하는 곳
원소 파일:Esun.png파일:Eair.png파일:Eearth.png
효과 파일:Dahanicon.png를 1개까지 끌어온다.
그 후, 만약 파일:Dahanicon.png 이 하나라도 있다면 다음 둘 중 하나를 한다:

파일:Dahanicon.png마다 방어 1.
혹은
침략자가 대상 지역에 추가되거나 대상 지역으로 이동한 후에, 추가되거나 이동한 침략자 각각에게 피해 1.

방어는 다한이 있을 때 효율이 더 극대화되므로 다한이 2-3명 있는 곳에만 써도 밥값은 할 수 있다. 더군다나 다한을 끌어오는 효과도 있고, 선택 효과로 콤보도 노릴 수 있으므로 굉장히 유연성이 높은 카드. 0코스트인 것도 큰 장점이다.

단점은 이 카드만으로는 보통 방어가 부족하기 마련이므로, 다른 방어책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2.1.5. 단단한 껍질을 두른 대지

이름 단단한 껍질을 두른 대지
Carapaced Land
파일:carapaced_land.webp
에너지 비용 0
속도 파일:Fasticon.png
사정거리 0
대상 지역 원하는 곳
원소 파일:Eearth.png파일:Eplant.png파일:Eanimal.png
효과 이 능력은 파일:beaststoken.png가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할 때 +1 사정거리를 얻는다.
방어 3.
2파일:Eearth.png:
방어 +3.

훌륭한 방어 카드. 0코스트에 간단한 조건으로 6방어까지 제공한다. 사정거리가 0이긴 하지만, 맹수 조건으로 사정거리를 늘릴 수도 있다. 원소가 방어 위주의 정령(대지, , , , 뿌리 등)이나 주요능력카드에 자주 조합되는 대지+풀인 것도 장점.

2.1.6. 메마른 바람

이름 메마른 바람
Desiccating Winds
파일:desiccating_winds.webp
에너지 비용 1
속도 파일:Slowicon.png
사정거리 파일:Sacredsiteicon.png로부터 1
대상 지역 파일:Mountainsand.png
원소 파일:Efire.png파일:Eair.png파일:Eearth.png
효과 대상 지역에 파일:Badlands.svg가 있다면, 피해 1.

파일:Badlands.svg 1개 추가.

불모지 시너지를 보는 카드. 다른 카드들과 조합해서 불모지를 쌓으며 한 지역을 조지는데 쓸 수 있지만, 보통 너무 느리다는 것이 큰 단점이다.

2.1.7. 끔찍한 변이

이름 끔찍한 변이
Dire Metamorphosis
파일:dire_metamorphosis.webp
에너지 비용 1
속도 파일:Slowicon.png
사정거리 1
대상 지역 원하는 곳
원소 파일:Emoon.png파일:Eair.png파일:Eearth.png파일:Eanimal.png
효과 파일:Fearicon.png 1. 피해 1. 파일:Dahanicon.png에게 피해 1. 파일:Badlands.svg 1개, 파일:beaststoken.png 1개, 파일:diseasetoken.png 1개, 파일:strifetoken.png 1개, 파일:wildtoken.png 1개, 그리고 파일:Blighticon.png 1개 추가.

한 지역을 더욱더 조져버리고 싶을 때 확실히 도움이 되는 카드이다. 추가되는 토큰들의 가치만 봐도 밸류가 꽤 높으므로, 기존의 오염 추가 페널티가 있던 정령섬/능력 카드이나 유령과 잿불의 땅 등보다는 확실히 낫다. 문제는 그런 지역은 이미 오염 토큰이 쌓여 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각을 보기가 쉽진 않다는 것이 단점.

2.1.8. 길들여진 짐승들이 광폭해지다

이름 길들여진 짐승들이 광폭해지다
Domesticated Animals Go Berserk
파일:domesticated_animals_go_berserk.webp
에너지 비용 1
속도 파일:Fasticon.png
사정거리 0
대상 지역 파일:Townicon.png/파일:Cityicon.png이 있는 지역
원소 파일:Emoon.png파일:Efire.png파일:Eanimal.png
효과 파일:Fearicon.png 1. 방어 5.
3파일:Emoon.png:
파일:beaststoken.png 1개 추가.

1코스트 1공포+5방어도의 준수한 카드. 다만 1코스트인데다가 사정거리가 0이라는 단점이 생각보다 크므로 단단한 껍질을 두른 대지적의 기력을 소진시키기 같은 카드들보단 못하다.

2.1.9. 마른 나무가 이글거리며 폭발하다

이름 마른 나무가 이글거리며 폭발하다
Dry Wood Explodes in Smoldering Splinters
파일:dry_wood_explodes_in_smoldering_splinters.webp
에너지 비용 1
속도 파일:Slowicon.png
사정거리 0
대상 지역 파일:WetLand.png가 아닌 지역
원소 파일:Efire.png파일:Eair.png파일:Eplant.png
효과 1 에너지를 지불하여 이 능력을 파일:Fasticon.png로 만들 수 있다.
파일:Fearicon.png 2.
피해 1.

구리다. 사정거리도 너무 짧고, 1코스트 느린 능력으로 공포2+피해1은 좀 애매하기 때문. 고작 이런 걸 빠른 능력으로 만들려고 2에너지를 쓰기엔 에너지가 그렇게 넘쳐나는 게임이 아니다. 깨알같이 습지에는 못 쓰는 페널티가 붙어 있는 건 덤.

2.1.10. 부패한 힘을 가두다

이름 부패한 힘을 가두다
Entrap the Forces of Corruption
파일:entrap_the_forces_of_corruption.webp
에너지 비용 1
속도 파일:Fasticon.png
사정거리 1
대상 지역 원하는 곳
원소 파일:Eearth.png파일:Eplant.png파일:Eanimal.png
효과 파일:Blighticon.png을 1개까지 끌어온다.
대상 지역을 고립시킨다.
파일:Blighticon.png이 대상 지역에 추가될 때, 오염 확산이 발생하지 않는다.

고립에 오염 확산을 막는 건 나쁘지 않긴 한데 1코스트 치고는 아쉬운 효과. 그나마 대지+풀+동물이라는 원소 조합은 유용하게 쓸 정령들이 꽤 많다.

2.1.11. 태양과 별빛 어둠의 가호

이름 태양과 별빛 어둠의 가호
Favor of the Sun and Star-lit Dark
파일:favor_of_the_sun_and_starlit_dark.webp
에너지 비용 1
속도 파일:Fasticon.png
사정거리 파일:Sacredsiteicon.png로부터 1
대상 지역 원하는 곳
원소 파일:Esun.png파일:Emoon.png파일:Eplant.png
효과 방어 4.
파일:Blighticon.png를 1개까지 밀어낸다..
2파일:Esun.png:
파일:Fearicon.png 1.

꽤 준수한 방어 카드. 오리무중에 비하면 조건이 좀 더 까다롭지만, 조건부 공포 1이 달려 있으니 나쁘지 않다.

2.1.12. 강을 따라 흐르고, 바람을 따라 불어가다

이름 강을 따라 흐르고, 바람을 따라 불어가다
Flow Downriver, Blow Downwind
파일:flow_downriver_blow_downwind.webp
에너지 비용 0
속도 파일:Slowicon.png
사정거리 파일:Sacredsiteicon.png로부터 2
대상 지역 원하는 곳
원소 파일:Eair.png파일:Ewater.png파일:Eplant.png
효과 파일:Blighticon.png/파일:Explorericon.png/파일:Townicon.png를 1개까지 밀어낸다.

컨트롤 내성이 없는 적대국 상대로 탐험가/마을 밀치기는 꽤 유용하지만, 그런 상황이 아니라면 그냥 원소 채우기 용도로 쓰일 것이다. 물+풀 원소 조합은 꽤 나쁘지 않다.

2.1.13. 자연과의 연결이 주는 축복

이름 자연과의 연결이 주는 축복
Gift of Nature's Connection
파일:gift_of_natures_connection.webp
에너지 비용 0
속도 파일:Fasticon.png
사정거리 -
대상 지역 아무 정령
원소 None
효과 대상 정령은 2 에너지를 얻거나 원하는 원소 종류 하나를 선택하여 그 원소 2개를 얻는다.(대상 정령이 선택)
다른 정령을 대상으로 했다면, 당신은 원하는 원소 하나를 얻는다.

에너지 혹은 원소를 제공해주는 서포트 카드. 2에너지는 기본적으로 순수 에너지 서포트 카드인 생동하는 에너지의 축복에 버금가는 양이고, 원소 서포트는 자연의 지원과 비교하면 확실히 떨어지는 편이지만 가끔씩 동일원소 2개가 더 나을 때도 있다. 무엇보다 이 카드는 0코스트인 점을 고려하면 이런 선택지가 있다는 점만 해도 훌륭하다.

2.1.14. 쌍둥이 나날의 축복

이름 쌍둥이 나날의 축복
Gift of Twinned Days
파일:gift_of_twinned_days.webp
에너지 비용 1
속도 파일:Fasticon.png
사정거리 -
대상 지역 다른 정령
원소 파일:Esun.png파일:Emoon.png
효과 이번 차례에 한 번, 대상 정령은 플레이 중인 가장 낮은 비용의 능력 카드 하나를 비용을 지불하고 반복할 수 있다.
당신도 그렇게 할 수 있다.

초초초 열화판 강렬한 폭풍. 가장 낮은 비용의 능력 카드를 반복하기 때문에 보통은 0-1코스트 보조 능력 카드를 반복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자신도 반복하므로 사실상 카드 1장으로 2장의 효과를 낸다고 생각하면 안 좋게 볼 수가 없는 카드. 다만 원소 조합은 부서진 나날을 제외하면 잘 써먹기 힘들다.

2.1.15. 태고의 기억이 맴돌다

이름 태고의 기억이 맴돌다
Haunted by Primal Memories
파일:haunted_by_primal_memories.webp
에너지 비용 1
속도 파일:Fasticon.png
사정거리 파일:Sacredsiteicon.png로부터 2
대상 지역 침략자가 있는 지역
원소 파일:Emoon.png파일:Eair.png파일:Eearth.png
효과 파일:Fearicon.png 1. 방어 3.
파일:beaststoken.png이 있다면, 파일:Fearicon.png +2.

사정거리도 긴 방어 카드라는 데서 합격점이지만, 1코스트 1공포+3방어는 자체로는 좀 애매한 편이다. 맹수가 있다면 3공포+3방어로 꽤 준수한 카드가 된다. 달+공기 원소 조합은 악몽, 바다, 안개, 매혹 등 꽤 많은 정령/주요능력카드가 잘 써먹을 수 있는 조합이다.

2.1.16. 섬 곳곳에 위험이 퍼지다

이름 섬 곳곳에 위험이 퍼지다
Hazards Spread Across the Island
파일:hazards_spread_across_the_island.webp
에너지 비용 0
속도 파일:Fasticon.png
사정거리 파일:Sacredsiteicon.png로부터 2
대상 지역 원하는 곳
원소 파일:Efire.png파일:Eair.png파일:Eearth.png파일:Eplant.png
효과 인접한 지역에 존재하는 파일:Badlands.svg/파일:beaststoken.png/파일:diseasetoken.png/파일:strifetoken.png/파일:wildtoken.png 중 하나를 고른다. 파일:diseasetoken.png를 고르는 것은 1 에너지를 소모한다.
대상 지역에 그 토큰과 동일한 종류의 토큰을 하나 추가한다.

0코스트(역병 토큰은 1코스트)로 인접한 토큰을 복사할 수 있는 좋은 카드. 맹수를 쓰는 정령이거나, 적대국에 따라 효율적인 토큰(프랑스/러시아 상대로 험지, 프랑스/스웨덴 상대로 내분 등)을 배치하는 카드를 이미 골라놨다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원소를 무려 4개나 준다는 것도 좋다.

2.1.17. 동족이 동족을 부르다

이름 동족이 동족을 부르다
Like Calls to Like
파일:like_calls_to_like.webp
에너지 비용 1
속도 파일:Slowicon.png
사정거리 1
대상 지역 원하는 곳
원소 파일:Esun.png파일:Ewater.png파일:Eplant.png
효과 대상 지역에 파일:Explorericon.png가 있으면, 파일:Explorericon.png를 1개까지 끌어온다.
파일:Townicon.png, 파일:Dahanicon.png, 파일:Blighticon.png, 그리고 파일:beaststoken.png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한다.

보통 침략자들은 침략자들끼리, 다한들은 다한들끼리, 오염은 오염끼리 모아놓는 게 좋기 때문에 괜찮은 컨트롤 카드이다. 각 기물마다 선택을 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

2.1.18. 넋을 잃은 고요함

이름 넋을 잃은 고요함
Mesmerized Tranquility
파일:mesmerized_tranquility.webp
에너지 비용 0
속도 파일:Fasticon.png
사정거리 0
대상 지역 원하는 곳
원소 파일:Ewater.png파일:Eearth.png파일:Eanimal.png
효과 대상 지역을 고립시킨다.
각 침략자는 가하는 피해가 1 감소한다.

매우 준수한 디버프카드. 광역으로 가하는 피해를 낮추기 때문에 보통 방어2-3정도는 보장되는데 성장성도 있고, 덤으로 고립까지 준다. 잘만 쓰면 0코스트라는 게 믿기지 않을 수준.

2.1.19. 새로운 활력을 주는 축복

이름 새로운 활력을 주는 축복
Renewing Boon
파일:renewing_boon.webp
에너지 비용 1
속도 파일:Slowicon.png
사정거리 -
대상 지역 다른 정령
원소 파일:Esun.png파일:Eearth.png파일:Eplant.png
효과 당신과 대상 정령이 모두 파일:Presenceicon.png을 가지고 있는 지역 하나를 선택한다.
그 지역에: 파일:Blighticon.png 1개 제거. 그리고 대상 정령은 자신의 파괴된 파일:Presenceicon.png 하나를 추가할 수 있다.

파괴된 현신을 추가하게 해주는 몇 안 되는 카드.[1] 오염 토큰과 파괴된 현신 추가를 둘 다 할 수 있다면 밥값은 하겠지만, 조건이 너무 어렵다는 게 문제다. 효과를 온전히 누리려면 오염 토큰이 있는 곳에 자신과 다른 정령이 현신을 깔아야 하는데, 고작 이거 하자고 현신을 까는 것도 웃긴 일이다. 원소 조합이 나쁘지 않다는 게 그나마 위안.

2.1.20. 바람에 질병의 비명을 퍼뜨리다

이름 바람에 질병의 비명을 퍼뜨리다
Scream Disease Into the Wind
파일:scream_disease_into_the_wind.webp
에너지 비용 1
속도 파일:Fasticon.png
사정거리 -
대상 지역 다른 정령
원소 파일:Eair.png파일:Ewater.png파일:Eanimal.png
효과 대상 정령은 모든 능력에 +1 사정거리를 얻는다.
이번 차례에 한 번, 대상 정령이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능력을 사용한 후에, 그 정령은 파일:diseasetoken.png 1개를 대상 지역에 추가할 수 있다.
(대상 정령에게 리마인더로 파일:diseasetoken.png을 하나 줄 것.)

멀리 뻗쳐 움켜잡기와 비슷한 사정거리 부스팅 카드. 역병 토큰을 추가하는 기능도 있지만 보통 1코스트 값어치는 하기 힘들다.

2.1.21. 야생에 분노를 새겨 넣다

이름 야생에 분노를 새겨 넣다
Sear Anger Into the Wild Lands
파일:sear_anger_into_the_wild_lands.webp
에너지 비용 0
속도 파일:Slowicon.png
사정거리 1
대상 지역 원하는 곳
원소 파일:Esun.png파일:Efire.png파일:Eplant.png
효과 파일:Badlands.svg 1개 추가.
혹은
만약 파일:wildtoken.png과 침략자가 있다면, 파일:Fearicon.png 1과 피해 1.

0코스트로 불모지 추가는 꽤 괜찮다. 험지 토큰이 있는 곳에 피해를 주기도 하지만, 느린 능력이기 때문에 노리고 쓰려면 험지 토큰을 추가하는 다른 능력과 연계를 해야 한다.

2.1.22. 끝없이 꼬이는 길로 이끌다

이름 끝없이 꼬이는 길로 이끌다
Set Them on an Ever-Twisting Trail
파일:set_them_on_an_evertwisting_trail.webp
에너지 비용 1
속도 파일:Fasticon.png
사정거리 파일:Sacredsiteicon.png로부터 1
대상 지역 원하는 곳
원소 파일:Eair.png파일:Eplant.png파일:Eanimal.png
효과 파일:Explorericon.png 1개를 끌어오거나 밀어낸다. 대상 지역을 고립시킨다.

매혹적인 풍경, 미지의 유혹, 감각을 어지럽히는 풍경과 비슷한 초반용 컨트롤 카드. 앞의 카드와 달리 고립 기능이 있기 때문에 잉글랜드 등을 상대로도 건설 방지를 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2.1.23. 하늘이 돌아올 계절을 알리다

이름 하늘이 돌아올 계절을 알리다
Skies Herald the Season of Return
파일:skies_herald_the_season_of_return.webp
에너지 비용 1
속도 파일:Fasticon.png
사정거리 1
대상 지역 원하는 곳
원소 파일:Esun.png파일:Emoon.png파일:Eplant.png파일:Eanimal.png
효과 대상 섬 보드에 파일:Presenceicon.png이 있는 대상 정령은 자신의 파괴된 파일:Presenceicon.png 중 하나를 추가할 수 있다.
파일:Dahanicon.png를 2개까지 끌어온다.
파일:Blighticon.png1개를 밀어낸다.

파괴된 현신을 추가할 수 있는 카드. 새로운 활력을 주는 축복과 달리 조건이 훨씬 널널하기 때문에[2] 쉽게 복구할 수 있으며, 다한을 끌어오는 기능도 있다.

2.1.24. 강하고 끊임없는 물결

이름 강하고 끊임없는 물결
Strong and Constant Currents
파일:strong_and_constant_currents.webp
에너지 비용 0
속도 파일:Fasticon.png
사정거리 0
대상 지역 해안 지역
원소 파일:Esun.png파일:Ewater.png파일:Eearth.png
효과 파일:Explorericon.png/파일:Townicon.png 1개를 인접한 해안 지역으로 밀어낸다.
혹은
대상 지역과 다른 해안 지역 간에 파일:Dahanicon.png를 2개까지 움직인다.
2파일:Ewater.png:
둘 다 할 수 있다.

0코스트 컨트롤 카드지만 지역 조건이 꽤나 까다롭다는 게 단점. 더군다나 목표 지점도 해안 지역만 가능해서 꽤 유연하지 못하다. 특이하게 다한을 이동시킬 때는 인접한 곳이 아니라 섬의 어디에라도 이동시킬 수 있다.

2.1.25. 모든 것을 빨아들이는 수렁

이름 모든 것을 빨아들이는 수렁
Sucking Ooze
파일:sucking_ooze.webp
에너지 비용 0
속도 파일:Fasticon.png
사정거리 1
대상 지역 파일:Sandwetland.png
원소 파일:Emoon.png파일:Ewater.png파일:Eearth.png
효과 침략자가 있다면 파일:Fearicon.png 2.
대상 지역을 고립시킨다.

0코스트에 2공포+고립을 주는 준수한 카드. 사막/습지에만 쓸 수 있다는 단점은 있지만, 일단 써서 2공포+탐사/건설 방지만 할 수 있어도 밥값은 하고도 남는다.

2.1.26. 석양의 불길이 대지를 휩쓸다

이름 석양의 불길이 대지를 휩쓸다
Sunset's Fire Flows Across the Land
파일:sunsets_fire_flows_across_the_land.webp
에너지 비용 1
속도 파일:Slowicon.png
사정거리 파일:Sacredsiteicon.png로부터 1
대상 지역 원하는 곳
원소 파일:Esun.png파일:Emoon.png파일:Efire.png파일:Ewater.png
효과 파일:Fearicon.png 1. 피해 1.
당신은 1 에너지를 지불하여 인접한 지역 하나에 피해를 1 줄 수 있다.

2.1.27. 영토를 둘러싼 분쟁

이름 영토를 둘러싼 분쟁
Territorial Strife
파일:territorial_strife.webp
에너지 비용 0
속도 파일:Slowicon.png
사정거리 1
대상 지역 파일:Cityicon.png이 있는 지역
원소 파일:Esun.png파일:Efire.png파일:Eanimal.png
효과 파일:Explorericon.png/파일:Townicon.png에게 피해 3.
혹은
파일:strifetoken.png 1개 추가.

0코스트로 무려 느린 능력 3피해를 가할 수 있다. 수치만 따져보면 말도 안 되는 사기카드지만 조건을 따져보면 꽤나 함정인 게, "도시가 있는 지역"에 "탐험가/마을에게만" 피해를 줄 수 있다. 따라서 이 카드만으로는 그 지역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며, 추가적인 피해나 방어 등의 자원을 투입해야 한다는 뜻. 보통 정령섬이 여러 군데의 지역을 동시에 막아야 하는 게임임을 생각해보면, 한 지역에 카드를 2개 이상 쓰는 순간 다른 지역은 뚫리고 있다는 뜻이다.

물론 그래도 피해량이 준수하고, 내분 토큰 추가 선택지도 있기 때문에 해/불 이나 해/동물 원소를 잘 쓸 수 있는 정령/메이저를 쓰도 있다면(천둥이나 수호자 등) 충분히 쓸만하다.

2.1.28. 공포가 광기로 변하다

이름 공포가 광기로 변하다
Terror Turns to Madness
파일:terror_turns_to_madness.webp
에너지 비용 0
속도 파일:Slowicon.png
사정거리 2
대상 지역 침략자가 있는 지역
원소 파일:Emoon.png파일:Eair.png파일:Ewater.png
효과 공포 단계에 따라 다음 효과 적용:
1단계: 파일:Fearicon.png 3.
2단계: 파일:Fearicon.png 2 혹은 파일:strifetoken.png 1개 추가.
3단계: 파일:strifetoken.png 1개 추가.

피의 빗줄기, 재앙의 징조, 여기 괴물이 있노라와 유사한 0코스트 3공포 카드. 다만 공포 단계에 따라 효과가 줄어들고, 막상 킬각을 봐야 하는 3단계에서는 공포 기능이 사라지기 때문에 실 성능은 훨씬 구리다. 차라리 순서가 반대로 됐으면 더 낫지 않았을까 하는 카드.

2.1.29. 해안이 증오로 들끓다

이름 해안이 증오로 들끓다
The Shore Seethes with Hatred
파일:the_shore_seethes_with_hatred.webp
에너지 비용 1
속도 파일:Slowicon.png
사정거리 1
대상 지역 해안 지역
원소 파일:Efire.png파일:Ewater.png파일:Eearth.png파일:Eplant.png
효과 파일:Fearicon.png 1.
파일:Badlands.svg 1개와 파일:wildtoken.png 1개 추가.

해안 지역에 한해서 성능이 꽤 준수한 카드. 원소도 4개나 주면서 조합도 나쁘지 않다.

2.1.30. 번성하는 질식의 균류

이름 번성하는 질식의 균류
Thriving Chokefungus
파일:thriving_chokefungus.webp
에너지 비용 1
속도 파일:Slowicon.png
사정거리 파일:Sacredsiteicon.png로부터 1
대상 지역 파일:Junglewetland.png
원소 파일:Emoon.png파일:Ewater.png파일:Eplant.png
효과 파일:diseasetoken.png 1개와 파일:Badlands.svg 1개 추가.

지역 조건이 꽤 까다롭긴 하지만 역병+불모지는 충분히 1코스트 이상의 값어치를 한다.

2.1.31. 위험천만한 물길

이름 위험천만한 물길
Treacherous Waterways
파일:treacherous_waterways.webp
에너지 비용 0
속도 파일:Fasticon.png
사정거리 1
대상 지역 파일:Mountainwetland.png
원소 파일:Efire.png파일:Ewater.png파일:Eearth.png
효과 파일:wildtoken.png 1개 추가.
혹은
파일:Explorericon.png를 1개 밀어낸다.

험지 추가가 다 그렇듯 적대국에 따라 성능이 크게 갈린다. 프랑스스웨덴, 러시아 상대라면 반가운 마음으로 집어주자.

2.1.32. 꺼지지 않는 불

이름 꺼지지 않는 불
Unquenchable Flames
파일:unquenchable_flames.webp
에너지 비용 1
속도 파일:Slowicon.png
사정거리 파일:Sacredsiteicon.png로부터 2
대상 지역 원하는 곳
원소 파일:Emoon.png파일:Efire.png파일:Eearth.png
효과 파일:Fearicon.png 1. 파일:Townicon.png/파일:Cityicon.png에게 피해 1.
이번 차례가 끝날 때 침략자가 회복하지 않는다.
2파일:Efire.png:
파일:Badlands.svg 1개 추가.

1공포+1피해에 회복 방지가 달린 카드. 다만 회복 방지라는 효과는 다음 턴에 추가타를 넣어야 의미가 있기 때문에 단독으로 쓰면 안 쓰니만 못하다. 보통 1코스트 느린 능력으로 2 피해를 주는 왕성한 성장이나 나무와 바위를 깨우다가 평타 취급 받는 걸 생각해보면 원소 조건을 못 맞추면 성능이 확실히 떨어지고, 원소 조건을 맞추면 준수한 카드가 된다.

2.1.33. 잃어버린 것들을 위해 흐느끼다

이름 잃어버린 것들을 위해 흐느끼다
Weep for What is Lost
파일:weep_for_what_is_lost.webp
에너지 비용 0
속도 파일:Slowicon.png
사정거리 1
대상 지역 파일:Blighticon.png이 있는 지역
원소 파일:Efire.png파일:Ewater.png파일:Eanimal.png
효과 대상 지역에 있는 침략자 종류마다 파일:Fearicon.png 1.
파일:Blighticon.png마다 파일:Explorericon.png/파일:Townicon.png를 1개까지 밀어낸다.

피의 빗줄기, 재앙의 징조, 여기 괴물이 있노라랑 비슷한 조건부 0코스트 3공포 카드긴 한데... 조건이 꽤 까다로워서 최대 효율을 보기가 힘들다. 보통 이 능력을 쓰는 대상 지역은 침략자들을 모아두는 "쓰레기장"일 확률이 높으므로, 침략자를 밀어내는 효과도 유용하게 쓰기 힘들다.

2.2. 주요 능력 카드

2.2.1. 분노한 곰들

이름 분노한 곰들
Angry Bears
파일:angry_bears.webp
에너지 비용 3
속도 파일:Slowicon.png
사정거리 0
대상 지역 원하는 곳
원소 파일:Esun.png파일:Efire.png파일:Eanimal.png
효과 파일:Fearicon.png 2. 피해 2.
파일:beaststoken.png가 없다면, 파일:beaststoken.png 1개 추가. 있다면, 피해 +2를 하고 파일:beaststoken.png를 1개까지 밀어낸다.
2파일:Efire.png 3파일:Eanimal.png:
파일:Fearicon.png 1. 파일:beaststoken.png가 있는 인접한 지역 하나에서 파일:Explorericon.png/파일:Townicon.png 1개 파괴.

3코스트 느린 능력에 2공포+2피해, 맹수가 있다면 2공포+4피해를 하는 카드. 이런저런 부가효과들이 있긴 하지만 조건을 다 맞춰도 코스트/사정거리 대비 파격적이지 않기 때문에 보통은 좋은 취급을 받지 못한다.

2.2.2. 힘과 보호의 맹약

이름 힘과 보호의 맹약
Bargains of Power and Protection
파일:bargains_of_power_and_protection.webp
에너지 비용 2
속도 파일:Fasticon.png
사정거리 0
대상 지역 파일:Dahanicon.png이 있는 지역
원소 파일:Esun.png파일:Ewater.png파일:Eearth.png파일:Eanimal.png
효과 섬 위에 있는 당신의 파일:Presenceicon.png를 게임에서 제거하고 리마인더 카드 위에 올려놓는다.
지금부터: 당신의 파일:Presenceicon.png로부터 1 사정거리 내의 각 파일:Dahanicon.png 은 그 지역에 방어 1을 제공한다. 당신은 매 턴 에너지를 1 적게 얻는다.
(이 효과는 여러 번 중첩될 수 있다.)
3파일:Esun.png 2파일:Ewater.png 2파일:Eearth.png:
제거되는 파일:Presenceicon.png은 대신 당신의 파일:Presenceicon.png 트랙에서 온다.

처음으로 등장한 맹약 카드. 이후 자연의 화신에 이와 비슷한 인도하는 길의 맹약 카드가 추가되었다.

섬 위에 있는 현신을 하나 제거하고, 매 턴 에너지를 1 적게 얻는 것이 페널티인 대신, 앞으로 게임 내내 자기 현신 주변에 있는 다한들이 +1 방어를 제공하는 엄청난 패시브를 부여한다. 더군다나 이 효과가 중첩이 되기까지 하기 때문에, 2번 정도만 써도 방어가 어마무시하게 쌓이고, 3-4번 정도 쓰면 다한이 거의 무적이 된다. 물론 그만큼 가난해지긴 하지만, 어차피 에너지 따위 쓰지 않아도 다한들이 웬만한 곳은 알아서 다 처리할 것이다.

전통적으로 빛+다한 관련 주요능력 카드들 중에 강력한 카드들이 많았는데(대표적으로 동틀 무렵의 활기, 전쟁을 말하는 나무와 돌, 햇빛의 날개를 두르다), 이 카드는 그 중에서도 끝판왕의 성능을 자랑하며, 수많은 매치업에서 확실한 승리공식이 될 수 있다. 심지어 해3/물2/대지2 라는 비교적 간단한 원소 조건을 맞추면 제거되는 현신이 현신 트랙에서 오므로 램핑 효과까지 있다!

다한이 방어를 제공하는 게 너무 무식하게 강력하기 때문에, 확장에서 추가된 인도하는 길의 맹약은 좀 더 유틸적인 효과로 바뀌었다. 하지만 게임 내내 효과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여전히 강력하다.

2.2.3. 모든 것을 삼키는 공허로 끌어당기다

이름 모든 것을 삼키는 공허로 끌어당기다
Draw Towards a Consuming Void
파일:draw_towards_a_consuming_void.webp
에너지 비용 8
속도 파일:Slowicon.png
사정거리 0
대상 지역 원하는 곳
원소 None
효과 파일:Explorericon.png 1개, 파일:Townicon.png 1개, 1 파일:Cityicon.png 1개, 파일:Dahanicon.png 1개, 파일:beaststoken.png 1개, 그리고 파일:Presenceicon.png(아무 정령에게서) 1개씩을 각각의 인접한 지역에서 끌어온다.
파일:Fearicon.png 4. 피해 15. 파일:Dahanicon.png에게 피해 5. 각 정령의 현신 파일:Presenceicon.png 1개씩 파괴. 파일:beaststoken.png 2개 파괴.
플레이 중인 다른 능력 카드가 없다면:
다음을 몇 번이든 반복할 수 있다: 보조 능력 카드, 주요 능력 카드, 고유 능력 카드를 한 장씩 잊고 위 효과를 반복한다.

주변에 있는 걸 하나씩 빨아들이면서 한 지역을 초토화시키는 카드. 기존에 굶주린 정글, 정화의 홍수, 깊디깊은 심연 아래로 등 한 지역을 초토화시키는 카드는 많았지만, 이 카드의 아이덴티티는 각종 기물들을 종류별로 하나씩, 모든 인접한 지역에서 끌어오는 것에 있다. 현신/다한/맹수 토큰까지 파괴하는 페널티가 있긴 하고 코스트도 무지막지하게 비싸지만, 거의 섬 하나를 통째로 정리하는 효과를 생각해보면 충분히 봐줄만 하다.

강화 효과가 굉장히 특이한데, 일반적으로 원소 조건으로 강화를 하는 대신, 이 카드는 이 카드 한 장만 플레이할 것, 그리고 보조+주요+고유 능력 카드를 한 장씩 잊을 것을 요구한다. 그러면 효과를 반복할 수 있지만, 이 반복은 다른 지역을 대상으로 하지 못하기 때문에[3], 그다지 효율적이지는 못하다.

2.2.4. 손길 닿지 않은 대지의 꿈

이름 손길 닿지 않은 대지의 꿈
Dream of the Untouched Land
파일:dream_of_the_untouched_land.webp
에너지 비용 6
속도 파일:Fasticon.png
사정거리 파일:Sacredsiteicon.png로부터 1
대상 지역 원하는 곳
원소 파일:Emoon.png파일:Ewater.png파일:Eearth.png파일:Eplant.png파일:Eanimal.png
효과 파일:Blighticon.png를 3개까지 제거하고, 최대 3 체력 상당의 침략자를 제거한다.
3파일:Emoon.png 2파일:Ewater.png 3파일:Eearth.png 2파일:Eplant.png:
(게임 당 최대 한 번) 무작위 섬 보드를 대상 보드 옆에 추가한다. 그 보드에 그려진 준비 아이콘은 무시한다. 파일:beaststoken.png 2개, 파일:wildtoken.png 2개, 파일:Badlands.svg 2개, 파일:Presenceicon.png(아무 정령에게서)를 2개까지 대상 보드의 원하는 지역에 추가한다.
지금부터, 건설 카드와 "각 보드/각 지역마다" 작용하는 적대국 행동을 수행할 때 섬 보드 하나를 건너뛴다.

그냥 쓰면 오염 3개 제거 + 도시 제거 정도로, 6코스트 치고는 좀 애매한 성능이지만 강화 효과가 정말정말 특이하다. 무려 섬 보드를 하나 뽑아서 추가하는 효과인데, 그 위에는 오염/침략자 등이 깔리지 않은 청정 구역 상태로 시작하며, 맹수, 험지, 불모지까지 추가하기 때문에 침략자들이 뚫고 들어오기 힘들다.

더욱더 주목할만한 효과는 적대국 행동을 수행할 때 섬 보드를 하나 건너뛰는 효과인데, 사실상 새로 붙인 땅에는 건설/정복이 안 일어나므로 침략자들이 밀고 들어오기 전까지 몇 턴간은 사실상 공짜로 섬 보드 하나에서는 침략자 행동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게 된다. 이 정도로 파격적인 효과를 주는 카드는 사실상 이 카드 뿐이다.

요약하자면, 오염 3개 제거 + 도시 제거 + 청정 구역 추가 + 현신 2개 램핑 + 앞으로 침략자 행동 할 때 섬 보드 하나 통째로 스킵 이라는 유니크한 효과를 주는 카드. 안정적으로 사용만 된다면 게임을 지기가 힘들 정도가 되지만, 코스트도 그렇고 원소 조건을 맞추기가 더럽게 까다롭기 때문에 신중히 골라야 한다.

2.2.5. 대지의 고통을 집중시키다

이름 대지의 고통을 집중시키다
Focus the Land's Anguish
파일:focus_the_lands_anguish.webp
에너지 비용 5
속도 파일:Slowicon.png
사정거리 1
대상 지역 원하는 곳
원소 파일:Esun.png
효과 이 능력이 파일:Townicon.png/파일:Cityicon.png를 하나라도 파괴하면, 파일:Fearicon.png 5.
파일:Blighticon.png를 5개까지 끌어온다.
파일:Blighticon.png마다 피해 1.
3파일:Esun.png:

파일:Blighticon.png마다 피해+1.

구리다. 5코스트 느린능력인 주제에 피해량 기댓값도 너무 낮고, 생성하는 공포도 특출나지 않다. 무엇보다 해 원소 하나만 주는 것이 너무 끔찍하다.

2.2.6. 살아있는 흑요석의 숲

이름 살아있는 흑요석의 숲
Forests of Living Obsidian
파일:forests_of_living_obsidian.webp
에너지 비용 4
속도 파일:Slowicon.png
사정거리 0
대상 지역 원하는 곳
원소 파일:Esun.png파일:Efire.png파일:Eearth.png파일:Eplant.png
효과 파일:Badlands.svg 1개 추가. 모든 파일:Dahanicon.png를 밀어낸다.
각 침략자에게 피해 1.
사정거리의 기준이 되는 지역이 파일:Sacredsiteicon.png라면, 각 침략자에게 피해 +1.
2파일:Esun.png 3파일:Efire.png 3파일:Eearth.png:
이 능력을 반복한다.

불모지 추가 + 광역 1데미지로 그냥 쓰기에는 많이 아쉬운 성능이지만, 성소 조건을 만족한다면 얘기가 달라진다. 광역 2데미지 + 불모지면 이 녀석 5+단계만 아니라면 웬만한 지역은 초토화되기 때문. 더군다나 해2/불3/대지3 조건을 맞추기 힘들긴 하지만 맞춘다면 한 지역을 확실히 이 녀석 초토화시킬 수 있다. 보통은 성소+사정거리0 이 꽤 많이 까다로운 편이므로 어떻게든 사정거리 버프를 받아보자.

2.2.7. 맹독 거미들의 창궐

이름 맹독 거미들의 창궐
Infestation of Venomous Spiders
파일:infestation_of_venomous_spiders.webp
에너지 비용 4
속도 파일:Fasticon.png
사정거리 파일:Sacredsiteicon.png로부터 2
대상 지역 침략자가 있는 지역
원소 파일:Eair.png파일:Eearth.png파일:Eplant.png파일:Eanimal.png
효과 파일:beaststoken.png 1개 추가. 파일:beaststoken.png를 1개까지 끌어온다.
파일:beaststoken.png마다, 파일:Fearicon.png 1 (최대 4)을 하고 대상 지역에서 침략자가 행동을 하나 건너뛴다.
2파일:Eair.png 2파일:Eearth.png 3파일:Eanimal.png:
이 능력이 침략자 행동을 건너뛰게 한 후에, 피해 4.

끝없이 먹어치우는 벌레 무리, 바다 괴물들, 사냥에 나서는 호랑이 등과 같이 맹수 토큰을 추가하면서 맹수 수에 비례해서 무언가를 하는 카드. 그 "무언가"가 최고의 효과라고 평가받는 스킵이기 때문에 당연히 좋은 카드로 평가받는다. 심지어 최대 4공포까지 줄 수 있으며, 공기2/대지2/동물3 이라는 비교적 간단한 조건을 만족시키면 무지막지한 피해까지 줄 수 있다.

2.2.8. 거부할 수 없는 부름

이름 거부할 수 없는 부름
Irresistible Call
파일:irresistible_call.webp
에너지 비용 6
속도 파일:Fasticon.png
사정거리 파일:Sacredsiteicon.png로부터 2
대상 지역 내륙 지역
원소 파일:Esun.png파일:Eair.png파일:Eplant.png
효과 파일:Townicon.png 5개, 파일:Dahanicon.png 5개, 파일:beaststoken.png 5개, 그리고 파일:Explorericon.png 15개를 끌어온다.
2파일:Esun.png 3파일:Eair.png 2파일:Eplant.png:
침략자가 대상 지역에서 모든 행동을 건너뛴다. 대상 지역을 고립시킨다.

무지막지한 양의 탐험가/마을/다한/맹수를 한 곳에 모으는 재밌는 카드. 코스트도 그만큼 재밌기 때문에 보통은 잘 안 쓰인다. 도시는 전혀 못 건드린다는 것도 단점이고, 방어나 공포나 피해 등 중요한 건 다 안 주는 게 가장 큰 문제다. 강화를 하더라도 쓰레기장 만들기 + 한 턴 버티기에 6코스트를 날려야 한다면, 게임을 이미 이겨서 관광중이거나 이거라도 안 하면 지는 비참한 상황이거나 둘 중 하나일 것이다.

2.2.9. 대지를 녹여 유사로 만들다

이름 대지를 녹여 유사로 만들다
Melt Earth Into Quicksand
파일:melt_earth_into_quicksand.webp
에너지 비용 4
속도 파일:Fasticon.png
사정거리 1
대상 지역 파일:Sandwetland.png
원소 파일:Emoon.png파일:Ewater.png파일:Eearth.png
효과 파일:Fearicon.png 1. 피해 2. 대상 지역을 고립시킨다.
침략자/파일:Dahanicon.png이 대상 지역으로 이동한 후에, 그것을 파괴시킨다.[4]
2파일:Emoon.png 4파일:Ewater.png 2파일:Eearth.png:
피해 +4. 파일:Badlands.svg 1개 추가. 파일:wildtoken.png 1개 추가.

1공포 + 2피해 + 고립 + 이동하는 침략자 파괴 효과를 가지고 있다. 4코스트로 1공포 + 2피해 + 고립만 하면 너무 끔찍하기 때문에 보통은 다른 카드와 연계해서 쓰는 것이 좋다. 문제는 그렇게 해도 웬만한 상황이 아니면 시원찮은 성능인 데다가, 대상 지역이 사막/습지만 가능하다는 점.

강화 조건은 달2/물4/대지2로 끔찍하게 어렵긴 하지만 달성만 하면 자체 효과만으로도 괜찮은 정도는 된다.

2.2.10. 사냥터에 자리 잡다

이름 사냥터에 자리 잡다
Settle Into Hunting-Grounds
파일:settle_into_huntinggrounds.webp
에너지 비용 3
속도 파일:Fasticon.png
사정거리 -
대상 지역 자신
원소 파일:Emoon.png파일:Efire.png파일:Eplant.png파일:Eanimal.png
효과 당신의 파일:Presenceicon.png파일:Badlands.svg파일:beaststoken.png로도 취급한다.
(각 행동마다, 각 파일:Presenceicon.png마다 어떻게 취급할지 결정)[5]
당신의 파일:Presenceicon.png는 움직일 수 없다.
2파일:Eplant.png 3파일:Eanimal.png:
당신의 지역 중 하나에 파일:Fearicon.png 2와 피해 2.

현신을 불모지와 맹수의 속성을 둘 다 가진 토큰으로 취급할 수 있게 해주는 특이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문제는 그 효과 말고는 아무 것도 없어서, 콤보로 쓰지 않는다면 정말 "아무 것도 하지 않는" 카드가 되어버린다는 점. 원소도 그렇고 사실상 거의 송곳니 말고는 써먹기가 힘들다.

2.2.11. 잠들어 영원히 못 깨다

이름 잠들어 영원히 못 깨다
Sleep and Never Waken
파일:sleep_and_never_waken.webp
에너지 비용 3
속도 파일:Fasticon.png
사정거리 파일:SandLand.png로부터 2
대상 지역 원하는 곳
원소 파일:Emoon.png파일:Eair.png파일:Eearth.png파일:Eanimal.png
효과 침략자는 대상 지역에서 모든 행동을 건너뛴다.
이 능력이 제거하는 파일:Explorericon.png 2개마다 파일:Fearicon.png 1.
파일:Explorericon.png를 2개까지 제거한다.
3파일:Emoon.png 2파일:Eair.png 2파일:Eanimal.png:
당신의 지역을 통틀어서 파일:Explorericon.png를 6개까지 제거한다.

행동 스킵+탐험가 제거+공포의 효과를 가진 카드. 그냥 써도 스킵+탐험가 2개 제거라 나쁘지 않은데, 어렵지 않은 조건으로 강화까지 하면 여러 지역에 걸쳐 탐험가 8개 제거+4공포라는 강력한 성능으로 탈바꿈한다.

이 카드는 그냥 써도 좋지만 특히 러시아 상대로 굉장히 강력하다. 기본적으로 러시아 탐험가는 파괴 효과에 내성이 있는데, 이 카드는 "제거"라 내성을 뚫고 들어간다. 죽어도 안 죽던 러시아 탐험가가 8개씩 사라지는 걸 보면 속이 다 시원해질 것이다.

2.2.12. 대지에 원한을 흩뿌리다

이름 대지에 원한을 흩뿌리다
Spill Bitterness Into the Earth
파일:spill_bitterness_into_the_earth.webp
에너지 비용 5
속도 파일:Fasticon.png
사정거리 0
대상 지역 원하는 곳
원소 파일:Efire.png파일:Ewater.png파일:Eearth.png
효과 피해 6. 파일:Badlands.svg/파일:strifetoken.png 2개와 파일:Blighticon.png 1개 추가.
파일:Blighticon.png이 존재하는 최대 3개의 인접한 지역에, 파일:Badlands.svg/파일:strifetoken.png 1개 추가.
3파일:Efire.png 3파일:Ewater.png:
최대 3개의 인접한 지역에, 각 침략자에게 피해 1.

5코스트 6피해+2불모지/내분은 준수하지만 오염 추가 효과가 거슬린다. 보통 이런 걸 쓰는 지역엔 이미 오염이 쌓여 있기 마련이기 때문에 페널티가 너무 크기 때문. 페널티를 고려해보면 차라리 6코스트 5피해인 번개 발톱이 나아보일 지경.

원소 조건도 불3/물3으로 만족시키기 까다로운 편인데 효과도 그렇게 좋지는 않다. 광역 1피해면 불모지를 감안하더라도 다른 능력까지 연계해야 하기 때문.

2.2.13. 폭풍의 낫

이름 폭풍의
Storm-Swath
파일:stormswath.webp
에너지 비용 3
속도 파일:Slowicon.png
사정거리 파일:Sacredsiteicon.png로부터 1
대상 지역 원하는 곳
원소 파일:Efire.png파일:Eair.png파일:Ewater.png
효과 파일:Fearicon.png 2. 기준 지역과 대상 지역에 모두:
각 침략자에게 피해 1.
2파일:Efire.png 3파일:Eair.png 2파일:Ewater.png:
파일:Fearicon.png +1. 이 능력은 +1 사정거리를 얻는다.
기준 지역과 대상 지역에 모두 인접한 지역 하나에, 각 침략자에게 피해 1.
당신이 피해를 준 각 지역에서, 파일:Townicon.png 1개 파괴.

특이한 범위를 가진 광역기. 기본적으로 공포2+두 지역에 광역 피해 1이면 연계해야함을 감안하더라도 나쁘지 않으며, 불모지가 있거나 다른 광역기와 조합한다면 3코스트 치고는 굉장히 좋은 아웃풋을 낼 수 있다. 더군다나 이 능력으로 "대상 지역"을 그냥 "사정거리의 기준이 되는 지역"으로 찍어버릴 수 있는데, 이렇게 하면 광역 2데미지가 되어 연계 없이도 한 지역을 반 초토화시킬 수 있다.

불2/공기3/물2 라는 비교적 쉬운 조건으로 강화하면 사정거리가 1 늘어나며, 추가로 한 지역에 광역 1 피해를 줄 수 있으며 마을 파괴 효과까지 추가된다. 이 때도 역시 지역을 제자리로 찍으면 광역 2데미지 + 인접한 지역 광역 1데미지가 된다. 여러 모로 상황만 잘 맞춰지면 3코스트 치고는 훌륭한 효율을 보일 수 있는 카드.

2.2.14. 상처 입은 야생이 침략자들에게 반격하다

이름 상처 입은 야생이 침략자들에게 반격하다
The Wounded Wild Turns on its Assailants
파일:the_wounded_wild_turns_on_its_assailants.webp
에너지 비용 4
속도 파일:Slowicon.png
사정거리 1
대상 지역 파일:Blighticon.png이 있는 지역
원소 파일:Efire.png파일:Eplant.png파일:Eanimal.png
효과 파일:Badlands.svg 2개 추가. 파일:beaststoken.png를 2개까지 끌어온다.
파일:Blighticon.png/파일:beaststoken.png/파일:wildtoken.png마다 피해 1.
2파일:Efire.png 3파일:Eplant.png 2파일:Eanimal.png:
이 능력에 의해 파괴된 침략자마다 파일:Fearicon.png 2 (최대 파일:Fearicon.png 8).

구리다. 아무런 빌드업 없이는 불모지 2개 + 3-5피해에 그치는데, 이는 4코스트 느린 능력 치고는 많이 심심하다. 강화를 하면 그나마 공포도 대량으로 얻을 수 있어서 쓸만해지는 편.

2.2.15. 미풍에 돋아나는 덤불

이름 미풍에 돋아나는 덤불
Thickets Erupt with Every Touch of Breeze
파일:thickets_erupt_with_every_touch_of_breeze.webp
에너지 비용 3
속도 파일:Fasticon.png
사정거리 파일:Sacredsiteicon.png로부터 2
대상 지역 내륙 지역
원소 파일:Eair.png파일:Eplant.png
효과 피해 2. 그리고 둘 중 하나 선택:
파일:wildtoken.png 3개 추가.
혹은
파일:Blighticon.png 1개 제거.
3파일:Eplant.png:
파일:Fearicon.png 1. 피해 +2.

꽤나 준수한 카드. 3코스트 빠른 능력에 피해2 + 험지3개 추가면 꽤 심심해 보일 수 있지만, 이 카드의 진가는 이른 타이밍에 나왔을 때 보여진다. 초반에 피해2로 탐험가나 마을을 짤랐다면 그 지역이 비워질 텐데, 이 때 험지 3개면 잉글랜드스코틀랜드가 아니라면 당분간 신경을 꺼도 될 정도이며, 디펜스 게임에서 한 지역이 자동 디펜스가 되는 건 엄청난 이점으로 작용한다. 더군다나 풀3 강화효과는 풀 원소를 쓰는 정령이라면 누워서 떡먹기로 달성이 될 텐데, 이 경우 3코스트 빠른 능력 1공포+4피해로, 그냥 깡 효과만 보더라도 좋은 카드가 된다.[6] 여기에 험지3개/오염제거 효과까지 달려있으니 유틸성 면에서도 뛰어난 편. 여러모로 이른 타이밍에, 혹은 풀 정령이 잡았다면 게임이 많이 편해지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2.2.16. 살기를 품은 어둠으로 변하다

이름 살기를 품은 어둠으로 변하다
Transform to a Murderous Darkness
파일:transform_to_a_murderous_darkness.webp
에너지 비용 6
속도 파일:Slowicon.png
사정거리 -
대상 지역 아무 정령
원소 파일:Emoon.png파일:Efire.png파일:Eair.png파일:Ewater.png파일:Eplant.png
효과 대상 정령은 자신의 파일:Sacredsiteicon.png를 하나 선택할 수 있다.
그 지역에: 대상 정령의 각 파일:Presenceicon.png파일:Badlands.svg로 교체한다; 교체된 파일:Presenceicon.png는 게임에서 사라진다. 그 파일:Badlands.svg를 원하는 만큼 밀어낸다. 파일:Fearicon.png 3. 교체된 파일:Presenceicon.png마다 피해 3.
3파일:Emoon.png 2파일:Efire.png 2파일:Eair.png:
인접한 지역에 피해 1
인접한 지역에 피해 1.

6코스트 느린 능력으로 자기 현신을 불모지로 변신시키고 3 공포+ 3n 피해를 주는 의미불명의 카드. 보통 6코스트 느린 능력 정도면 한 지역을 초토화시키거나 공포를 무지막지하게 쌓는 것이 최소한의 기대치인데, 이 카드는 그에 한참 못 미친다. 심지어 강화 효과는 그저 웃음벨. 정령섬 최악의 능력 카드를 꼽으라고 하면 순위권에서 빠지지 않고, 1위를 심심찮게 차지하는 카드이다.

2.2.17. 나무들이 천상의 빛을 내뿜다

이름 나무들이 천상의 빛을 내뿜다
Trees Radiate Celestial Brilliance
파일:trees_radiate_celestial_brilliance.webp
에너지 비용 3
속도 파일:Fasticon.png
사정거리 1
대상 지역 파일:JungleLand.png 혹은 파일:Noblighticon.png
원소 파일:Esun.png파일:Emoon.png파일:Eplant.png
효과 파일:Fearicon.png 3. 방어 6.
이번 차례에, 대상 지역의 침략자는 다음 건설 행동을 건너뛴다.
3파일:Esun.png 2파일:Emoon.png 2파일:Eplant.png:
당신이 가진 파일:Esun.png마다 피해 1.

3코스트 3피해+6방어+건설 스킵. 부식과 침체의 바람 정도도 준수하다고 평가받는 걸 생각하면 꽤 우수하다. 대상 지역이 언뜻 보면 까다롭지만, 사실 정글 또는 오염이 없는 지역이라서 오히려 굉장히 널널한 편이다. 해3/달2/풀2의 어렵지 않은 조건으로 강화하면 최소 빠른 능력으로 3피해를 입힌다는 것도 장점.

2.2.18. 자신의 본질을 거센 급류로 쏟아내다

이름 자신의 본질을 거센 급류로 쏟아내다
Unleash a Torrent of the Self's Own Essence
파일:unleash_a_torrent_of_the_selfs_own_essence.webp
에너지 비용 2
속도 파일:Fasticon.png
사정거리 -
대상 지역 자신
원소 파일:Esun.png파일:Emoon.png파일:Efire.png파일:Ewater.png
효과 4 에너지를 얻는다. 능력 카드를 잃고 4 에너지를 추가로 얻을 수 있다.
혹은
X 에너지를 지불하고 (최소 1), 0 사정거리의 지역에 피해 X.
2파일:Esun.png 3파일:Efire.png:
둘 다 할 수 있다.

2에너지로 최대 8에너지를 창조해내는 창조경제 카드. 에너지를 모아뒀다가 한 지역을 누킹하는데도 쓸 수 있다. 에너지만 넘칠 때 급한 대로 한 지역을 정리하는 데 쓸 수 있지만, 이 카드 자체의 코스트도 고려해보면 효율이 정말 구리다.[7] 이런 용도로 쓰려면 두 효과를 번갈아서 써야 하는데 순환이 너무 느리기 때문에, 강화효과가 필수이다. 강화를 할 수 있다면 최소 8피해를 즉발로 줄 수 있어 급한불을 끌 수 있는 카드가 된다.

2.2.19. 공포와 뼈로 된 저주를 읊조리다

이름 공포와 뼈로 된 저주를 읊조리다
Utter a Curse of Dread and Bone
파일:utter_a_curse_of_dread_and_bone.webp
에너지 비용 4
속도 파일:Slowicon.png
사정거리 파일:Sacredsiteicon.png로부터 1
대상 지역 원하는 곳
원소 파일:Emoon.png파일:Eanimal.png
효과 대상 지역에 있는/인접한 파일:Blighticon.png마다, 파일:Badlands.svg 1개, 파일:diseasetoken.png 1개, 혹은 파일:strifetoken.png 1개를 추가한다. (각각 최대 3개)
그리고: 파일:Fearicon.png 2. 피해 1.
3파일:Emoon.png 2파일:Eanimal.png:
당신이 추가한 각 토큰 종류마다, 1 사정거리 내에 하나를 더 추가한다.
인접한 지역 하나에 피해 1.

극심한 고통으로 요동치는 대지, 대지의 고통을 집중시키다와 비슷하게 오염 토큰에 비례하여 무언가를 하는 카드. 오염이 꽤 쌓여있을 때는 적절히 쓰면 불모지/역병/내분 토큰을 도합 4-6개, 강화가 돼있다면 7-9개까지도 깔 수 있다.

단점은 오염이 아직 쌓여있지 않다면 효과가 거의 보조능력카드 정도라는 것. 그리고 토큰 까는 것 이외의 효과는 공포2+피해1로(물론 불모지로 증폭되긴 하겠지만) 처참하다. 여러모로 상황을 많이 타는 카드.

2.2.20. 부드럽게 사라져 모든 기억에서 잊히다

이름 부드럽게 사라져 모든 기억에서 잊히다
Vanish Softly Away, Forgotten by All
파일:vanish_softly_away_forgotten_by_all.webp
에너지 비용 3
속도 파일:Slowicon.png
사정거리 2
대상 지역 원하는 곳
원소 파일:Emoon.png파일:Eair.png
효과 침략자 1개와 파일:Explorericon.png/파일:Townicon.png 1개를 제거한다.
혹은
피해를 입은 모든 침략자를 제거한다.

제거를 방지하거나 제거 효과를 바꾸는 침략자/시나리오 효과는 이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없다.
3파일:Emoon.png 3파일:Eair.png:
4개 이상의 침략자가 존재하는 아무 지역 2개에서:
침략자 1개 제거.

위쪽 효과로 쓰면 최대 아웃풋이 도시+마을 제거일 텐데, 3코스트 느린 능력 치고는 아쉬운 아웃풋이다. 아래쪽 효과는 다른 광역기가 선행되어야 의미가 있는데, 어차피 이미 피해를 입은 침략자라면 폭풍의 낫 같은 것만 써도 쓸려나갈 것이다. 예외적으로 안개는 회복 불가를 패시브로 가지고 있고 원소도 잘 맞으며, 자체 광역기도 3개나 되기 때문에 나름 유용하게 쓸 수 있다.

강화 효과도 달3/공기3이라는 어려운 조건에 비해 침략자 2개 제거라는 심심한 효과이며, 그마저도 침략자가 이미 쌓여 있는 곳에서만 제거할 수 있어 비효율적이다. 이런 단일 파괴/제거 효과는 혼자 있는 침략자한테 써서 지역을 아예 비우는 게 가장 효율적이기 때문. 여러 모로 애매한 카드.

2.2.21. 명령의 목소리

이름 명령의 목소리
Voice of Command
파일:voice_of_command.webp
에너지 비용 3
속도 파일:Fasticon.png
사정거리 파일:Sacredsiteicon.png로부터 1
대상 지역 파일:Dahanicon.png이 있는 지역
원소 파일:Esun.png파일:Eair.png
효과 파일:Townicon.png/파일:Cityicon.png에게만, 파일:Dahanicon.png/파일:Explorericon.png마다 피해 1.
방어 2. 정복 행동 동안, 파일:Explorericon.png파일:Dahanicon.png과 같은 편에 서서 싸운다. (파일:Dahanicon.png과 같은 타이밍에 피해를 입거나 받고, 같은 원천과 피해를 주고받는다.)
3파일:Esun.png 2파일:Eair.png:
위 효과에 앞서, 파일:Explorericon.png/파일:Townicon.png/파일:Dahanicon.png를 2개까지 끌어온다.

탐험가들을 꼬셔서 다한의 편에 서서 싸우게 만드는 카드. 탐험가 위주의 적대국인 프랑스, 러시아 상대로 좋으며, 특히 러시아 탐험가는 공격력이 2기 때문에 더욱 효율적이다. 사실 얘네들 상대가 아니더라도 빠른 능력 데미지+마인드 컨트롤이라는 밸류 자체가 상당하기 때문에 꽤 좋은 카드이다.

참고로 제공하는 방어는 다한/탐험가 수에 비례하지 않고 그냥 2로 고정이기 때문에, 다른 방어 수단을 준비할 필요는 있다.

2.2.22. 바위와 가시로 된 벽

이름 바위와 가시로 된 벽
Walls of Rock and Thorn
파일:walls_of_rock_and_thorn.webp
에너지 비용 4
속도 파일:Fasticon.png
사정거리 파일:Sacredsiteicon.png로부터 2
대상 지역 파일:Mountainjungle.png
원소 파일:Esun.png파일:Eearth.png파일:Eplant.png
효과 피해 2. 방어 8.
파일:wildtoken.png 1개 추가. 대상 지역을 고립시킨다.
2파일:Eearth.png 2파일:Eplant.png:
피해 +2. 방어 +2.
파일:Badlands.svg 1개 추가.

4코스트 빠른능력으로 2피해 + 8방어 + 험지 + 고립이라는 종합선물세트를 준다. 코스트가 조금 무거운 게 단점이긴 하지만, 효과 자체가 심플하게 좋고 사정거리도 널널한 편. 2대지/2풀이라는 간단한 조건을 만족시키면 4피해 + 10방어 + 험지 + 불모지 + 고립으로, 충분히 4코스트 이상의 값어치를 해낼 수 있다. 가장 큰 단점은 산악/정글에만 사용가능하다는 것이다.

2.2.23. 공간의 결을 엮어내다

이름 공간의 결을 엮어내다
Weave Together the Fabric of Place
파일:weave_together_the_fabric_of_place.webp
에너지 비용 4
속도 파일:Fasticon.png
사정거리 파일:Sacredsiteicon.png로부터 1
대상 지역 원하는 곳
원소 파일:Esun.png파일:Emoon.png파일:Eair.png파일:Ewater.png파일:Eearth.png
효과 대상 지역과 그 지역에 인접한 지역은 이번 차례 동안 하나의 지역이 된다.

(합쳐진 지역은 원래 두 지역의 지형 속성과 지형 번호를 모두 갖는다. 이 효과가 만료될 때, 기물들을 원하는 대로 나눌 수 있다. 이 나누는 과정은 이동으로 취급한다.)
4파일:Eair.png:
합쳐진 지역을 고립시킨다. 그 지역에 침략자가 있다면, 파일:Fearicon.png 2, 그리고 침략자를 2개까지 제거한다.

두 지역을 하나로 합치는 특이한 카드. 언뜻 보면 뭐가 좋은지 모를 수 있지만, 정령섬에는 한 지역을 조지는 주요능력카드들이 꽤 많기 때문에 이런 카드와 콤보로 사용했을 때 꽤 효과적이다. 또한 이런 용도로 사용하지 않더라도 최소한 한 지역을 완전히 깨끗이 비우는 역할은 할 수 있다. 강화효과는 4공기라는 어려운 조건에 비해 꽤 심심한 편.

다만, 효과가 만료되는 시작이 턴 종료 시기 때문에 건설/정복을 스킵하는 용도로는 쓸 수 없으며, 잉글랜드 상대로 잘못 사용했다간 특수 패배 규칙[8]으로 즉시 패배를 당할 수도 있다.


[1] 보조 능력 카드들 중에선 이 카드와 하늘이 돌아올 계절을 알리다 뿐이다.[2] 대상 정령이 "지역"이 아니라 같은 "섬 보드"에 현신이 있기만 해도 된다.[3] "효과의 반복"이기 때문에, "능력 카드의 사용"을 반복하는 강렬한 폭풍과는 다르다. QnA 참고.[4] 고립과 모순되는 효과인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고립은 매 행동마다 대상 지역이 인접해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플레이어가 결정할 수 있으므로, 침략자를 이동시키고 싶으면 이동시킬 수 있다.[5] 현신으로 취급할지, (불모지+맹수)의 속성을 가진 토큰으로 취급할지 결정한다는 뜻이다.[6] 빠른 능력 피해가 효율까지 좋으면 만능이기 때문에, 빠른 능력 피해는 일반적으로 정령섬에서 코스트가 꽤 비싸다. 사냥에 나서는 호랑이숨막히는 재난 정도의 조건부만 돼도 꽤 좋다고 평가받으며, 동틀 무렵의 활기는 거의 최고의 주요능력카드로 평가받는다.[7] 효율이 안 좋다고 평가받는 번개 발톱이 6코스트 빠른능력 3공포+5피해다. 이 카드는 6코스트 4피해임을 감안하면 효율이 영 좋지 못하다.[8] 한 지역에 건물이 7개 이상 있으면 즉시 패배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