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용 |
실외용 |
1. 개요
담배를 피우면서 재를 털거나 담배꽁초를 버리는 용도의 그릇.2. 형태
내열성 소재인 열경화성 플라스틱이나 유리, 금속으로 되어 있으며 재를 떨 때 비산되는 담뱃재를 잘 받기 위해 높이가 낮고 널찍한 원형이나 사각형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사방으로 담배가 겨우 들어갈 듯한 둥근 홈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은 담배를 피우다 다른 일을 볼 때 담배를 놓으라고 만든 받침대이다.종종 재떨이에 물로 적신 휴지를 깔곤 하는데 이는 꽁초를 더 효율적으로 끄기 위함은 물론 담뱃재나 화재의 원인이 되는 불씨가 날리는 것을 방지해 주고 재떨이를 편하게 비울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물이 다 증발하면 종이에 담뱃불이 옮겨 붙어 화재의 위험이 생기기 때문에 충분히 물에 적셔주어야 하고 중간중간 체크할 필요가 생긴다. 담배꽁초는 의외로 부피를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생각보다 재떨이가 금방 찬다. 재떨이의 용도 특성상 제때 제때 비우지 않으면 아무리 고급 재떨이라도 영 지저분해보이기 십상이니 제때제때 비우자.
3. 어형
'재털이'로도 자주 부른다. '재를 털다'에서 파생시킨 것인데, 사전적으로는 '먼지를 떨려고 이불을 털었다' 식으로, '털다'는 흔들거나 세게 치는 점이 '떨다'와 구분되기 때문에 살짝 쳐서 떨어지는 '재'는 '떨다'밖에 쓸 수 없게 되어 있다. 그러나 실생활에서 타동사 '떨다'는 사용 빈도가 크게 줄어들어, '먼지를 털다'로 쓰는 사람이 압도적으로 많아졌다. 중세국어에서도 'ᄩᅥᆯ다', 'ᄠᅥᆯ다'로 둘은 비슷한 형태에 성조까지 같았다. 이대로 '떨다'가 완전히 빈도가 줄어들면 '재털이'도 공통인정이 될 수도 있겠다. 혹은 설겆이 -> 설거지의 사례처럼 재떨이의 '떨이'가 어원 인정을 받지 못해 발음대로 쓴 '재떠리'가 표준 표기가 된다던지.다만 '떨치다'나 '떨어트리다', '떨어지다' 등 '떨다'의 파생어는 자주 쓰이며, '나쁜 생각을 떨쳐내다', '떨이로 팔다'[1]와 같이 '언짢은 생각 따위를 없애다.'나 '팔다 남은 것을 모두 팔아 버리거나 사다.'라는 뜻의 '떨다'도 본 형태는 잘 안 쓰이지만 파생어는 여전히 많이 쓰인다. 대응되는 '털다'의 파생어가 없기 때문인 듯하다. 예외
로 '털어내다'는 파생어가 아니지만 파생어 '떨어내다'를 대체하고 있다.
한편 '재를 떨다'라고 하는 사람은 줄었어도 '재떨이'는 여전히 '재떨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은 것은 아무래도 파생어가 역사적 흔적을 많이 남긴다(=언어 변화의 영향을 덜 받음)는 사례가 된다.
영어로는 ashtray, 일본어로는 灰皿(はいざら)라 한다.
4. 대용품
재떨이가 없을때는 대용품으로 빈 우유팩이나 음료캔, 페트병 등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역시 보기에 심히 좋지 않다.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할때 끼치는 민폐는 덤. 실제로 알루미늄 캔 등을 재활용할 때 안에 든 담배꽁초 때문에 재활용 공정이 쓸 데 없이 늘어나며 그로 인하여 엄청난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고 한다. 백 개의 알루미늄 캔 속에 담배꽁초가 단 하나만 들어 있어도 백 개의 알루미늄 캔 전부에 담배꽁초 제거 작업을 해야 되기 때문이다.사실 깡통 같은 금속 용기는 고온에서 한 번에 녹여버린 다음 불순물을 걷어내는 식으로 작업하게 되므로 낭비되는 금속 물질의 문제 말고는 크게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다. 보통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내용물을 비우고 세척해서 재활용해야 하는 유리병이다.
모래를 채워둔 장독을 재떨이 통으로 쓰기도 한다.
5. 종류
5.1. 재떨이 통
주로 야외에 설치하는 통 형태의 재떨이다. 피우고 남은 담배 크기의 쓰레기 밖에 넣을 수 없도록 입구가 독특한 형태를 띄고 있다.
야외용 재떨이는 특성상 재떨이를 자주 비울 수 없고 실내 재떨이보다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며 바람 등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실내용 재떨이보다 훨씬 더 크고 서서 이용할 수 있도록 받침대가 달려 있다.
흡연자 건강의 문제와 간접흡연의 폐해가 잘 알려저 공공장소의 야외 재떨이는 점점 철거되고 있으며 일부 흡연구역과 사유지를 제외하고는 상당수가 사라진 상태이다. 그것까지는 좋은데 일부 몰지각한 흡연자들과 시너지를 일으켜 길거리에 투기되는 담배꽁초의 양이 대폭 늘었다. 관리가 힘들고 미관을 해친다는 이유로 공공장소의 쓰레기통마저 정부가 없애기 시작하면서 이런 현상을 가속시킨 점도 있다.
5.2. 휴대용 재떨이
휴대용 재떨이라는 것도 있다. 손바닥보다 좀 작은 사이즈의 통으로 뚜껑이 달려 있어 담뱃재를 털고 담배 꽁초를 넣게 되어 있다. 한국에 비해 일본에서는 보편화 되어 있으나, 한국에선 2010년대 이후부터 실내 흡연을 금지시켰기 때문에 보기가 어렵다. 반대로 일본의 경우 특정한 경우가 아니면 실내 흡연이 금지되어 있지 않고 인식도 크게 나쁜 편은 아니라 실내에서 담배를 피는 경우가 한국보다 많기 때문에 그런 모양. 일례로 우리나라의 경우 식당에선 특수한 경우가 아니면 금연을 해야 하지만 일본의 경우는 식당은 물론이고 남녀노소 다 이용하는 카페에 흡연석이 따로 없이 재떨이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도 있을 정도. 즉 실내에 따로 구비된 재떨이가 없을 경우 물어보고서 펴도 된다고 하면 자기의 재떨이를 꺼내 쓰면 되니까.
하지만 일본의 경우 길에서 담배를 펴도 재떨이를 꺼내 재를 거기에 떨어내고 꽁초도 넣어 가는 반면 한국은 꽁초는 챙겨도 재는 길에 그냥 떨어대곤 한다. 물론 일본에서도 길에 재를 떨어대는 사람은 많다. 한국의 골목만큼 담배꽁초가 많진 않지만 오사카 같은 대형도시이면서 도시 내에 금연구역이 없는 경우 버려진 담배꽁초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한국의 경우 아예 안 피우면 모를까 휴대용 재떨이까지 구비하지는 않는 편. 하지만 길이나 바깥에서 재를 떨고 꽁초를 버리는 것은 좋지 않으니(돌아다니며 길빵을 한다는 것이 아니다) 금연과 함께 휴대용 재떨이의 사용을 에티켓으로 정착시키는 것도 좋을 것 같다.
다만 시판되는 대다수의 휴대용 재떨이는 뚜껑을 닫아도 완벽하게 밀봉이 되지 않아 냄새가 조금씩 새는 경우가 많다. 냄새를 최대한 없애기 위해서는 별도의 파우치에 휴대용 재떨이를 넣어서 2중으로 보관하고 탈취제나 향수로 냄새를 덮어야 한다.
냄새 걱정을 덜기 위해서 담뱃갑과 함께 휴대하여 꽁초를 밀봉할 수 있는 특수용지인 시가랩을 휴대용재떨이와 함께 또는 대용으료 사용하는 사례도 최근 늘고 있다. #
5.3. 차량 내 재떨이
고속버스 좌석에 달린 재떨이1990년대에서 2000년대 초반까지는 자동차에 기본적으로 재떨이가 장착되어 나왔다. 시가잭과 함께 일반적인 옵션이었고, 센터페시아나 센터 콘솔박스 후면, 심지어는 도어트림에 재떨이가 달린 차종도 있었다. 고속버스나 시외버스에도 앞좌석 등받이 잡지꽂이 위쪽에 뚜껑달린 재떨이가 기본으로 설치되어 있었다. 차량 내 흡연이 일반적이었던 당시 시대상 때문인데, 이 때문에 주유소에는 차량의 재떨이를 비우는 전용 쓰레기통이 있기도 했다. 2010년대 중반 이후로는 거의 찾아볼 수 없는 과거의 산물이다. 지금은 롤스로이스등 일부 초호화 차량의 옵션에서나 찾아볼 수 있다.
5.4. 항공기 내 재떨이
흡연이 금지되어 있는 비행기에도 설치되어 있다. 흡연이 가능하던 시절에는 좌석마다 재떨이가 설치되어 있거나 승무원이 직접 재떨이를 제공했었지만, 흡연이 금지된 이후에도 여전히 화장실에 재떨이가 있다. 이는 미 항공보안청에서 지정한 규정에 따른 것인데, 승객이 만약 몰래 기내 화장실 등에서 흡연을 할 경우 불씨라도 확실히 꺼서 2차 사고를 막으라는 의미이다.6. 흉기 위험
돌이나 금속, 유리, 도자기 등으로 이루어진 고급 재떨이는 무게가 상당히 묵직하여 흉기로 돌변하기도 한다. 실제로 실내에서 찾을 수 있는 흉기 대용품으로 재떨이 만한 것이 없을 정도로 딱 손에 들기 좋은 크기에 딱 던지기 좋은 무게, 그리고 딱 사람 다치기 좋은 모양이다. 과거 폭력사건을 보면 재떨이가 흉기로 쓰인 사건이 종종 보인다.재떨이로 사람을 때린 예는 생각보다 흔히 찾을 수 있다. 영화 넘버 3에 등장하는 조폭 캐릭터인 "재떨이" 박재철과 명탐정 코난의 일러스트레이터 살인사건이 좋은 예시. 재떨이를 얼굴에 던지는 것은 쪼인트와 함께 높으신 분들의 원거리 공격이자 진노했을 때 자신의 부하에게 시전하는 필살기들 중 하나다. 김성모의 만화 대털의 주인공 교강용의 주무기이기도 하다. 현실 사례로는 프로게이머 강도경은 임요환이 자기 군대 후임으로 들어오자 재떨이를 머리에 맞췄다는 이야기가 유명하다.
7. 여담
일본의 유명 가부키 배우인 이치카와 에비조는 이 재떨이를 화제거리로 만든 에피소드를 연출하기도 했다. 요약하면, 술에 취한 나머지 일반인도 아니고 대형 폭력 조직의 술자리에 쳐들어가서는 조직의 수장에게 재떨이에 술을 따라서 마시도록 강요하며 진상을 부린 것. 당연히 에비조는 그 자리에서 두들겨 맞아 곤죽이 되었다. 그리고 조직원들이 폭행죄로 처벌을 받은 것과 별개로 에비조 본인도 기자들 앞에서 사과하는 모습을 보여야 했다. 본인에겐 다신 기억하기 싫은 흑역사이겠지만...[1] 동음이의어처럼 보이지만 '떨다'의 다른 뜻 중 하나로 되어 있다. '몸을 떨다'의 '떨다'와는 동음이의어 관계가 맞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