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30 17:38:11

장제(삼국지)

장제(후한 군벌)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삼국시대 위나라의 관료에 대한 내용은 장제(조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삼국시대 오나라의 승상에 대한 내용은 장제(손오)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사도구(四盜寇)
이각 곽사 장제 번조

후한의 표기장군
평양후
張濟
장제
<colbgcolor=#232323><colcolor=#BDBDBD> 작위 <colbgcolor=#ffffff,#191919>평양후(平陽侯)
최종 관직 표기장군(驃騎將軍)
성씨 (張)
이름 (濟)
생몰 ?년 ~ 196년
고향 양주(凉州) 무위군(武威郡) 조려현(祖厲縣)
사망지 형주(荊州) 남양군(南陽郡) 양성(穰城)
가족 조카 장수(張繡)
여동생 장강자(張姜子)
아내 추씨(鄒氏)
역임한 관직 교위(校尉)[1]→ 진동장군(鎭東將軍)→ 표기장군(驃騎將軍)


[clearfix]

1. 개요

후한 말의 인물이자 동탁 휘하의 무장으로 양주 무위군 조려현 사람. 아내는 추씨[2], 여동생은 장강자, 조카는 장수.[3]

2. 생애

192년 1월 동탁의 사위 우보의 명령으로 이각, 곽사와 함께 파견되어 중모에서 주준을 격파했고, 이어 연주 진류군예주 영천군의 여러 현을 공략하며 약탈을 자행했다.

192년 4월 동탁왕윤 등에게 암살되자, 이각·곽사·번조 등과 함께 연합 세력을 이루어 장안을 공격했다. 이들은 장안을 접수하는데 성공해 동탁 살해의 주모자인 왕윤을 죽이고 헌제를 납치했다. 장제는 이때 헌제에게서 진동장군으로 임명되었다가 표기장군 평양후로 다시 임명되었으며, 홍농에 주둔했다.

후에 장안에 있던 이각과 곽사가 헌제를 놓고 패권싸움을 벌이자, 장제는 홍농에서 병력을 이끌고 장안에 들어가 둘을 화해시키고는 헌제를 홍농으로 데려오도록 했다. 곽사는 변심해 헌제를 미 땅으로 데리고 가버렸으나, 양봉에게 격파된다. 양봉은 동승과 함께 헌제를 데리고 낙양으로 가는 여정에 오른다. 이때 장제는 이각·곽사와 함께 양봉을 추격해 양봉을 궁지에 몰아넣지만, 헌제의 중재로 일단 물러난다. 하지만 결국 황제를 잃은 셈이 되어 이들 세력은 목적도 없이 공중에 뜬 상태가 되고 말았다.

이후 장제는 군량 부족으로 형주 북부를 약탈[4]하기 시작했고, 그러다가 화살에 맞아 사망한다. 그의 군세는 조카인 장수가 이어받게 된다.

후에 조조는 장수의 항복을 받아낸 후 장수의 군영에 머물 때 미인인 장제의 미망인 추씨를 첩으로 삼았으며, 이는 장수를 분노하게 만들어 장수가 다시 조조를 공격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때 조조는 아들 조앙·조카 조안민·충복 전위를 잃고 겨우 목숨을 건지게 되었다.

위 내용으로 미루어 장제는 이각·곽사의 휘하 세력이라기 보다 둘과는 어느 정도 독립된 세력으로 볼 수 있으며, 일찌감치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이각·곽사의 무리에 비해 장제의 군세는 조카 장수가 계승해서 발전시켜 하나의 독립 세력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현대에 장제 부부의 묘가 발굴되었으며 출토물 중 청동마가 유명하다.#

3. 미디어 믹스

조조전에 호로관 전투에서 등장하지만, 성벽 너머에서 동탁처럼 싸움을 구경한다.

3.1.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

파일:張濟.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599.jpg
삼국지 12, 13, 14

독립 세력이라기 보다는 이각 휘하 장수로 등장하며, 지력이 10~20대인 우매한 무장 스타일의 이각·곽사보다는 지력이 높아 50대 전후를 마크하고 있으나, 무력은 70 전후로 조금 낮게 나온다. 통솔력은 근소하게 장제가 높다. 이 두 사람이 그냥 무력형이면 장제는 지력, 정치력, 매력도 평균 수준 이상인 밸런스형 무장이다.

삼국지 3에서는 사도구 중에서 유일하게 장군이 될 수 있는 능력치를 달고 나온다.

삼국지 5에서는 무력 70/지력 63/정치 66/매력 72의 능력치에 특기는 화계, 내분, 고무, 복병, 분기, 난사이며 기본 진형은 학익, 구행. 다른 시리즈에 비해 능력치 배분이 후한 편으로 모든 작을 통틀어서 유일하게 지력 60대, 매력 70대를 찍는다.[5] 무쌍이 없어서 잉여인 분기를 제외하면 특기들이 대부분 수비에 쓸만해서 약소 군주가 영입할 경우 꽤 좋은 무관으로 굴릴 수 있다. 특히 189년 시나리오에서는 초반부터 용명이 3000이상이기 때문에 초기 시나리오라 경험이 부족한 다른 장수들에 비해 많은 병력(13000명)을 굴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5/무력 70/지력 48/정치력 56. 돌진, 충차를 보유하고 있고 노병계, 궁기병계 병법은 없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2/무력 64/지력 55/정치력 57/매력 65에 특기는 돌격, 기습, 역공 3개로 밸런스형. 이각, 곽사 패거리 중에서는 상당히 괜찮은 장수다. 내정 관련 특기는 없지만 이각 세력에서는 정치 높은 무장이 가후 정도인지라 내정에서도 어느 정도 써먹을 수 있는 수준이다.[6] 부인으로 추씨를 시작부터 두고 있어 다른 이와의 결혼은 에디터를 쓰지 않는 이상 불가능.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서는 동탁 세력에 속한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0/무력 66/지력 52/정치력 53/매력 55로 전작에 비해 크게 너프되기는 했지만 그래도 이각, 곽사, 번주보다 좋다. 특기는 없고 병과도 기병적성만 A이고 나머지 병과적성은 C인지라 전투만큼은 이각, 곽사보다 안 좋을 수도 있다.[7] 영웅집결에서는 조카의 부하로 설정되었다.

삼국지 12에서는 대우가 좋아져서 원래 이각의 부하로 나오는 군웅할거 시나리오에서는 이각을 떠나 독립세력으로 등장한다. 11까지 군웅할거 시작 연도는 194년 6월인데 12부터는 195년 1월로 나오기에 이 시점에서는 장제가 독립한 시기이기 때문. 일러스트는 수염을 덥수룩하게 기른 모습. 하지만 완에 위치하였고 바로 옆에 조조가 있기 때문에 멸망 1순위 세력으로 꼽힌다. 그래도 수하에 조카랑 가후가 있고 완의 재야를 등용하고 초반에 조조와 싸움 걸지 말고 동맹을 맺고 조공을 바치고 장안의 이각을 노리는게 쉬운 길이다. 사실 이 방법보다 더 좋은 방법은 시작하자마자 낙양을 털면된다. 서황, 양수 등의 인재와 비옥한 영토 및 방어기지를 얻을 수 있고 여기를 점령하고 버티는 자체가 조조의 확장을 견제하는 효과까지 있어서 좋다. 198년까지 버티면 사마의까지 나와서 그때까지 모은 물량과 인재를 바탕으로 서북방을 쓸어버리고 조조와 맞짱뜨면 된다. 영웅집결에서도 드디어 장수 대신에 군주가 되었다.

삼국지 13에는 195년 군웅할거와 영웅집결에서 군주로 등장한다.[8] 능력치는 통솔력 76/무력 72/지력 55/정치력 53이고 특기는 문화 1(추씨 인연 효과), 훈련 5. 전수특기는 훈련이다. 중신특성은 없고 전법은 창속약화. 이번에는 시작 위치가 완에서 홍농으로 바뀌었다. 바로 옆에는 장안의 이각이 있으니 손쉽게 먹어버리고 다음은 마등을 노리자. 이번에는 조조와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초반 걱정은 덜게 되었다. PK에서 추가된 이상 위명은 천하명장이라 간접적으로 상향되었다. 특히나 군주로 등장하는 군웅할거와 소패왕용약 시나리오에서는 시작부터 천하명장을 찍고 시작한다. 몰년이 196년이긴 하지만 비자연사이기 때문에 216년까지 생존한다. 장제에게 자식이 있어도 장수가 있다면 장제가 사망한 후 장제의 자식이 아니라 조카 장수가 군주의 자리를 물려받는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0, 무력 66, 지력 55, 정치 53, 매력 60으로 전작에 비해 통솔력과 무력이 각각 6 하락했다. 개성은 저돌, 동요, 주의는 패도, 정책은 군제개혁 Lv 3, 진형은 봉시, 장사, 전법은 돌격, 견제, 친애무장은 추씨, 혐오무장은 없다. 삼국지 13까지만 해도 군주 자리를 유지했었지만 이번 작에서는 군웅할거 시나리오에서는 이각의 부하로 등장하고,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서는 조카인 장수의 부하로 신분이 떨어졌다.

3.2. VC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VCG 군-동탁 퍼스트덱 문서
4.6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요코야마 미츠테루 삼국지

파일:전략장제.png

이름만 언급되었다.

3.4. 삼국지톡

파일:장제.png
수염을 꼬아 놓은 털보로 등장한다.

3.5. 마사토끼 삼국지 가후전

가후와 함께 저족에서 붙잡힐 때 있던 사람이자 동탁과 가후를 연결한 사람으로 나온다. 가후와 동탁의 시점에서 전개되는 만큼 장제 또한 지속적으로 등장하나, 머리 쓰는 일을 가후가 전담하는 만큼, 동탁에게 가후를 천거한 것 외에 직접적인 활약은 많지 않다. 삼보의 난 이후 군사를 이끌고 완성을 점거했는데, 원술의 부하인 진기가 고용했다가 버리고 간 장노의 군사들과 싸워 이겼지만 아군이 쏜 화살에 맞아 사망했다.

3.6. 천지를 먹다

유비 3형제와 엮일 일이 없건만 어째서인지 낙양 전투의 보스로 나와 썰린다.

3.7. 삼국전투기

맥도날드 세트의 커피로 등장. 그래서인지 이각, 곽사, 장제, 번조 4인방 중 유일하게 컬러가 다르다. 동료 중 한 명인 번조와 함께 낙양 전투 (3)편의 타이틀 컷을 장식하기도 하였다.

낙양 전투 편에서는 장안을 공격했다가 식량 부족으로 퇴각하는 마등군을 번조와 함께 습격하는 것으로 나온다. 마등과 한수가 추격을 뿌리치고자 나눠져서 도망치자 장제는 마등을 쫓는데, 마초방덕의 활약 덕에 추격은 실패한다. 이후 번조가 이각, 곽사에게 숙청되자 위기감을 느끼고 그들에게 굽히고 들어가는 것으로 묘사된다. 이후 홍농으로 쫓겨나다시피 떠나고, 황제의 장안 탈출을 계획한 양표에게 포섭된 무장 중 1명으로 나온다. 이후 이각, 곽사를 화해시킨다는 명목으로 장안에 와서 황제를 빼돌리는 것을 돕는 것까지는 좋았는데 이후 같이 포섭됐던 양봉과 나중에 끼어든 동승과 내분이 일어나게 되고, 양봉과 동승이 손을 잡으면서 또 밀려나게 된다.

이후엔 선성 전투 (1)편에서 군벌들의 근황을 정리할 때 재등장. 황제 구출에 협조했으나 양봉, 동승에게 밀려나 홍농에 자리를 잡고 있었다. 사실상 빈털털이가 된 상태에서 어떻게든 재기하려고 형주의 양성을 공략하고자 했으나 잘 되지는 않았고, 최후에는 전투 중 화살에 맞아 사망한 것으로 나온다.

완 전투 편에서는 추씨의 남편이었다고 언급되는 부분에서 1컷 정도 모습을 비춘다.

작가는 전반적으로 이각, 곽사 등과 비슷하나 그래도 지능 면에서는 조금 낫다고 평하였다. 하지만 결국 나중에 나왔을 땐 잘난 거라곤 아내가 미인이라는 것 하나 뿐으로 묘사되고, 그래서인지 아내 추씨도 무능력한 장제보다 조조를 더 좋아한 것으로 묘사된다.

3.8. 창천항로

동탁이 조조의 위세를 두려워하는 동탁 수하들에게 분노한 이후, 자기 심정을 헤아리는 사람들을 호명하면서 첫 등장한다. 이후에는 조카 장수에 의해 이름만 언급된다.

[1] 한 때 중앙군의 교위였다[2] 다만 이 여성의 성이 추씨라는 건 삼국지연의의 창작이고, 실제로는 성명이 알려지지 않았다.[3] 장제는 장수의 막내 삼촌이다. 원굉후한기 29권에 장제가 장수의 계부(季父, 막내 삼촌)라는 기록이 있다.[4] 원래 장제는 세력을 이끌고 유표에게 의탁하려 했으나, 그가 정착핬던 형주 북부 현지의 유표군과 트러블이 생겨 공격행위에 나선 것으로 여겨진다. 장제 사후에는 유표가 직접 나서 이 갈등을 수습했다.[5] 종합치만 따지면 이각 3인방은 물론 화웅, 이유보다도 좋다. 물론 뒤의 둘과 가치를 비교하기에는 무리가 있다.[6] 조카인 장수는 정치력과 매력이 장제보다 낮다. 매력은 그렇다쳐도 정치가 40대밖에 안 된다.[7] 이각과 곽사 모두 기병적성 A에 이각은 창병, 병기적성이 B이고, 곽사는 창병, 극병적성이 B다.[8] 198년 여포토벌전에서는 장수가 군주로 등장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1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1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