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8 12:47:15

장년

연령별 호칭

인간발달
의학적
신생아
(출생일~28일미만)
영아
(28일이상~2세미만)
어린이
(2세이상~12세미만)
청소년
(12세이상~19세미만)
성년
(19세이상~65세미만)
노인
(65세이상)
사회학적 태아기 신생아기 청소년기 노년기


1.
1.1. 개요1.2. 인식
2.

1.

1.1. 개요

보통 30대~40대 초중반에 들어있는 남성과 여성을 가리키는 말이다. 사전상 장년의 정의는 '사람의 일생 중에서, 한창 기운이 왕성하고 활동이 활발한 서른에서 마흔 안팎의 나이. 또는 그 나이의 사람#.'이라고 하고 있다. 즉, 20대인 청년보다는[1] 나이를 먹은 세대이기는 한데 말뜻으로 보나 글자로 보나 '패기가 넘치는 나이대'임을 명시하고 있다. 이들을 묶어서 '청장년층'이란 단어도 쓰인다. 40대 이하를 장년이라 할 때 이쪽에 가깝다.

참고로 이때 장년의 장은 '씩씩할 장()'이다. 후술된 장년(年)은 50대 중반~60대 초반의 사람들을 가리키는 말이어서 혼동하기 쉽다. 흔히 청장년할 때 장년은 장년(壯年) 개념이 쓰이는 경우가 많지만[2], 중장년할 때 장년은 쓰는 사람에 따라 두 장년이 모두 쓰일 수 있는 개념이라 헷갈릴 수 있다.

1.2. 인식

사회적 위치 등으로 세대를 양분한 신세대, 기성세대에서, 장년자부터를 기성세대로 인식한다. 헌데 사전에서는 '청장년'이란 표현만 표준어이고, 뜻부터가 아직 혈기 넘치는 나이라고 하고 있어 실제로 꽤 젊은 나이인데, 아직 표준어도 아닌(!) '중장년'이라는 사회적 표현으로 더 많이 쓰여 4~50대랑 함께 기성세대로 묶인다는 게 일견 당혹스럽기도 한 나잇대다. 장년대에선 부모가 되는 사람들도 많은 반면, 아직 꿈도 안 꾸는 사람도 있다. 사회적 인식의 변화에 많은 영향을 받는 연령대라고 할 수 있겠다. 2020년대부터는 30대는 기성세대가 아니라 신세대로 묶이는 편이라 오히려 청장년, 2030으로 묶이는 편이다. 아직 본격적인 노화가 시작되기 전이며 외모도 20대에 비해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그래서 젊은 세대인 20대와 묶어지며, 장년이라는 단어가 청년, 중년에 비해 크게 알려지지도 않고 중년 및 밑의 후술할 장년과 헷갈릴 수도 있어 청년으로 보기도 한다. 2010년대 까지는 30대를 장년으로부르는 편이었으나 2020년대 현재는 30대는 그냥 청년으로 치고 장년이 40~60대 초반을 뜻하는 중년과 사실상 동음이의어가 된 셈.

보통 '중장년(中壯年)'이라는 말을 많이 듣게 되는데 아직 표준어아니며[3], 중장년이라는 말이 정확히 어느 세대를 가리키는지를 모르는 사람도 많다. 이는 장년자와 중년자를 같이 총칭하는 말이므로 보통 30~50대, 중년의 의미를 좁게 잡으면 30~40대를 가리키는 말이 된다. 순서 때문인지 장년이 중년보다 더 많은 나이대인 줄 아는 경우도 꽤 있다.[4] 물론 후술된 장년(年) 개념의 중장년이라면 말은 된다. 중장년이란 표현 때문인지, 장년을 중년의 유의어로 알고 있거나, 중년과 뒤바꿔 알고 있는 경우도 있다.

한국에서는 2020년대 기준 중년층과 함께 민주당계 정당 지지층이 많은 나이기에 무당층이 우세한 청년층이나 보수정당 지지자가 많은 노년층과는 구분되는 경향이 있다. 일단 나이대가 나이대인지라 사회 부조리나 기득권 개혁에 관심이 많고 기성 언론 및 사법 시스템에 대해 불신하는 경향도 좀 있다.

2.

55~64세 명칭 고령자 아닌 '장년'.

이쪽은 일상용어가 아니라 정책적으로 만들어진 용어지만 일상생활에서 사람들이 생각하는 '중장년'의 '장년'은 이쪽에 더 가깝다. 20세기만 해도 55세가 넘으면 노인 취급을 했지만, 21세기 들어 사람들의 기대수명이 늘면서 55세~64세도 여전히 일선에서 뛰는 사람들이 계속 늘어나고 있기에 이들을 일컫는 기존의 '고령자'란 단어가 사회통념에 맞지 않다고 여겨 '장년(長年)'으로 대체하기로 한 것으로 보인다. 즉 중년의 연장선이다. 50대 이상을 장년이라고 할 때는 이쪽에 가깝다.

기사와는 달리 아직 법률적으로 대체되지는 않았지만, 1번 항목의 壯年이 사람들에게 익숙하지 않기 때문인지 정책과정에서는 잘 쓰이고 있다.

대한민국 법령에서는 장년이라는 표현이 쓰인 예가 없으나, 조례에서는 장년, 청장년 또는 중장년을 거론하여 이를 대상으로 한 것들이 다수 있다.

사실 1990~2010년대에는 위의 항목에 해당되는 30대를 장년이라 불렀으나 2020년대 현재는 오히려 '장년' 이라 하면 이쪽에 해당되는 연령대 또는 중년과 동의어로 인식하고 있어 40대~60대 초반 정도를 장년이라 부르고 있다.


[1] 사실 청년 항목에도 있듯 요샌 사회적 인식의 변화에 따라 30대까지 청년으로 보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으며, 장년을 포함시켜도 30대 초반까지는 청년이라 불러 장년의 나이가 올라가고 있다. 게다가 '장년' 이라는 어감이 중년과 같고, 밑의 해당되는 장년과 발음이 같다보니 중년층을 연상시켜 30대 자체를 장년 대신 청년이라 많이 부른다.[2] 20~30대를 청년, 40~50대를 장년으로 하는 청장년은 長과 壯이 합쳐지는 편이다.[3] 물론 언어의 특성상, 사회에서 계속 쓰다보면 언젠간 표준어가 될 수도 있긴 하다.[4] 더 연상인 중년의 중(中)이 앞에 오고 장년의 장(壯)이 뒤에 오는 게 이상해보이지만 청소년, 청소년 세대 등의 말도 마찬가지이다. 청소년도 더 연상인 청년의 청(靑)이 앞에 오고 소년의 소(少)가 뒤에 온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