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17 20:42:30

잡기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격투기의 종류}}}에 대한 내용은 [[그래플링]]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그래플링#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그래플링#|]]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격투기의 종류: }}}[[그래플링]]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그래플링#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그래플링#|]]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雜技2. 게임 용어
2.1. 대전 격투 게임에서2.2. 기타 액션 게임에서

1. 雜技

잡다한 기술.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잡다한 놀이의 기술이나 재주'를 뜻한다고 명시돼 있다.

흔히 화투카드놀이, 마술 등 손을 갖고 노는 종목에 한정해서 잡기라고 칭하기도 하지만, 좀더 넓은 의미에서는 노래, 등을 포함한다. 실력 수준을 크게 중요하게 보지는 않는다. 다만 "잡기", 즉 "잡다한 기술"이라는 의미 자체가 이러한 것들을 낮잡아 보는 용어이므로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 과거 한 정신과 의사가 방송에서 바둑을 잡기라고 표현했다가 바둑인들의 반발을 산 적이 있다.

1.1. 무협소설

전투용이 아니라 이런저런 곳에 도움이 되는 말하자면 생활스킬. 또는 쓸데없거나 크게 도움 안 되는 잡재주를 뜻하기도 한다.
아래에 대표적인 잡기들을 설명한다.
  • 축골공
    근육을 줄여 키와 몸집을 줄이는 기술. 내공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인 몸집으로는 통과하지 못하는 작은 구멍을 통과할 때 쓰이거나, 역용술과 함께 변장에 쓰인다. 대표적인 예로 용비불패에 나오는 마교 장로가 있다.
  • 역용술
    얼굴모양을 바꾸는 기술. 역시 내공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다. 단순히 변장과 다르게 얼굴 근육과 뼈를 움직여서 전체적으로 모습을 바꿀 수 있다고 서술되는 경우와, 역용술이 단순히 변장이라고 서술되는 경우가 있는 듯 하다.
  • 벽호공
    벽에 달라 붙어서 이동할 수 있는, 말하자면 클라이밍 기술. 손발에 흡력(吸力)을 발생시켜서 벽에 찰싹 달라붙는 것이다. ...주인공은 보기 흉하기 때문에 쓰지 않는다. 그냥 경신술의 어기충천같은 기술로 휙 뛰어올라 넘어간다.
  • 귀식대법
    내공을 써서 숨을 멈추고 심장박동을 낮추며 혈류량을 조절해 가사상태로 들어가는 기술, 죽은 척 할 때나 은신할 때 쓰인다. 살수들의 기본기중 하나.
  • 전성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전음입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전음입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전음입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흔히 '전음'으로 대표되는, 내공으로 목소리를 전달하는 기술. 어기전성, 천리전음, 육합전성, 혜광심어 등이 있다. 어기전성은 내공으로 목소리를 전달하는 기초적인 기술이며, 천리전음은 장거리로 전달할 수 있는 기술. 육합전성은 사방에서 목소리가 들리는 것 처럼 느끼게 하여 시전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없게 하는 기술. 그리고 혜광심어(慧光心語)는 '이심전심'처럼 뜻을 상대방의 마음에 직접 전달하는 기술이다. 태극검제라는 작품에서 주인공은 전음에 내공을 잔뜩 실어 상대를 공격한 바 있다.

1.2. 기타

중국어에서 잡기는 서커스를 의미한다.

2. 게임 용어

말 그대로 잡는 행동을 말한다. 적이 나를 잡는 것, 내 캐릭터가 적을 잡는 것 모두 포함해서 말하며, 주로 액션 게임에서 자주 찾아볼 수 있다.

2.1. 대전 격투 게임에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잡기(대전 격투 게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잡기(대전 격투 게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잡기(대전 격투 게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기타 액션 게임에서

내가 적에게 하는 경우, 주로 충분히 잡을 만한 크기의 적에게 적용된다. 너무 큰 경우 게임적 허용으로도 넘어가기 힘든 경우가 많아 잡기가 적용되지 않을 때가 많다. 대전 액션 게임이 아닌 액션 게임에서 잡기의 장점은 일단 한번 잡으면 속성 차이 같은 예외가 아닌 이상 데미지가 반드시 들어간다는 점 이다.[1] 거기다 적을 잡은 뒤 던지는 식이 아닌, 내려 꽂거나 하는 식으로 바로 내 앞에 쓰러지는 경우, 설령 데미지가 부족해 피를 다 못깎았다 하더라도 적이 쓰러졌다가 일어나는 과정에서 몇대 더 때려서 데미지를 추가로 줄 수 있다.

적이 나에게 하는 경우 앞서 말한 '데미지가 반드시 들어간다.' 는 장점이 그대로 적용되기에 매우 위험한 기술에 속한다. 특히나 보스 몬스터가 하는 경우, 잡기의 범위가 넓은 경우가 많아 더더욱 위험하다. 보통은 그 잡기 범위에서 최대한 멀어져 판정에서 벗어나는 것이 상책이다.

소울라이크에선 인간형 적의 뒤로 돌아가 배후 공격을 하면 특정 모션과 함께 강한 데미지를 주는 시스템이 있다. 이를 뒤잡기 또는 줄여서 뒤잡이라 부른다.



[1] 세키로: 섀도우 다이 트와이스의 배후 인살과 같이 잡기가 아예 즉사기 취급인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