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16 19:09:07

이춘풍전


李春風傳
1. 소개2. 줄거리3. 등장인물4. 그 외

1. 소개

조선 시대,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판소리로 불리웠다는 기록은 없지만 문체나 사설에 판소리의 흔적이 남아있어서 판소리계 소설로 분류한다고 한다.[1]

제목은 이춘풍전이지만 이춘풍은 페이크 주인공에 가깝고 제대로 활약하는 진 주인공은 이름도 안 나오는 이춘풍의 부인 김 씨이다. 현명하고 진취적인 여성상을 내세웠다는 점이 이 소설의 포인트. 다만 작중에서 이춘풍을 방탕한 길로 빠져들게 하는 것이 기생인 추월이라는 것과 결국 추월까지 벌을 받았다는 점에서 오늘 날의 막장 드라마 플롯과 비슷하게 여겨진다.

2. 줄거리

숙종 때 한양에서 부유하게 살던[2] 이춘풍은 선대가 물려준 재산을 다 탕진하지만[3] 그 부인이 현명해서 다시 먹고 살 만한 수준이 되나 그 상황에서도 정신을 못차리고 사업을 일으키겠다며 관에서 이천 냥을 빌려[4] 평양으로 가버린다. 평양 기생 추월은 그 돈을 탐내어 유혹하고, 이에 넘어간 춘풍은 역시 이천 냥을 다 날려먹은 끝에 추월의 종 노릇을 하게 된다. 미녀이지만 인성이 나쁜 추월은 춘풍을 막 대하고 부려먹는다.

한편 한양에서 남편이 돌아올 날을 기다리던 이춘풍의 부인은 남편이 비참하게 됐다는 소식을 전해듣게 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남장을 하고[5] 감사의 비장이 되어 평양에 따라간다. 그녀는 감사의 노모를 지극히 모셨는데, 처음에는 어디에서 굴러먹은 무뢰배가 자기 노모를 희롱하는 줄 알고(남장한 춘풍의 부인을 보고 감쪽같다며 손뼉을 치는 노모...) 목을 베려던 감사도 그 자초지종을 알게 되자 한바탕 웃고는 평양 감사로 임명되면서[6] 그녀를 자신의 비장으로 삼아서 데려갔기 때문이다.[7] 당연히 그 사정을 알 리가 없는 추월은 비장한테 수작을 걸다가 박살나고, 춘풍과 함께 공금횡령[8]으로 죽도록 맞고[9] 오천냥으로 토해내게 된다.

춘풍은 다시 한양으로 되돌아오지만 시치미 뚝 떼고 있는 부인 앞에서 또 추월이 타령을 하면서 찌질거린다(...). 결국 이 꼬락서니를 보다못한 아내가 다시 비장으로 등장한 다음에야[10] 정신차리고 아내한테 사과하며 항상 아내를 존중해준다. 그 뒤 가업을 일으키고 자손도 많이 보며 오래오래 잘 살았다는 이야기. "그래, 지아비를 묶어놓고서 곤장을 때리니 속이 시원했소?" / "아내를 홀로 남겨두고 추월이 따라주는 술을 마실 때는 속이 시원하셨습니까?"라는 대화가 포인트(...).

3. 등장인물

  • 이춘풍
    작품의 주역이지만 영 못미더운 인물상을 지녔다. 그는 한양 갑부 집안 자제이지만 선대의 재산을 다 탕진해버린다. 그의 부인이 겨우 집안 경제를 먹고살만한 수준까지 회복시키자, 그는 평양가서 돈을 벌겠다며 부인이 번 돈에 호조 돈까지 빌려서 평양으로 간다.
    그러나 이춘풍은 장사를 잘 해내긴 커녕 평양 기생 추월에게 넘어가 돈 다 뜯기고 추월에게 부려먹혀지는 신세가 된다. 그는 그의 부인의 기지와 평양 감사의 도움으로 돈도 되찾고 겨우 집에 돌아온다. 그러나 이춘풍은 집에 돌아와서도 정신 못차리고 추월이 타령을 하며 찌질대다가 부인이 비장 모습으로 다시 변장한 후에야 정신을 차린다. 현대였다면 당장 이혼당해도 할 말이 없다
  • 이춘풍의 부인
    작품의 주역으로 남편과 달리 재주 많고 현명하며 이 사람이 일해서 돈을 벌기 때문에 사실상 이춘풍네의 기둥 역할을 한다. 그녀는 무능한 남편을 대신해 열심히 돈을 벌어 남편이 거덜낸 집안 경제사정을 먹고살만큼 회복시킨다. 그러나 남편이 그녀가 벌어다둔 돈에 더해 호조 돈까지 빌려 평양에 장사하러가겠다 하자 말려보지만 남편 마음을 돌리지 못한다.
    그녀는 훗날 평양 감사가 되는 이웃 양반의 노모를 잘 모셨다. 이것이 계기가 되어, 그녀가 나중에 남편을 도우러 평양에 갈 때 마침 평양 감사로 부임한 이웃 양반에게 부탁해 평양 감사의 비장으로 남장하고 평양까지 간다.
    이춘풍의 부인은 비장 상태로 평양에 갔다가 자기에게 수작거는 추월을 혼쭐낸다. 그녀는 이후 춘풍이 뺏긴 2000냥에 추가로 돈을 더 받아내서 무려 5000냥을 얻어낸다. 이후 자기 덕에 풀려난 이춘풍이 집으로 돌아왔을 땐 시치미 때고 있었다. 그러나 그녀는 이춘풍이 추월이 언급을 하며 찌질거리는걸 보고 비장 모습으로 다시 변장해 남편 정신을 차리게 만든다.
  • 평양 감사
    본래 이춘풍의 이웃인 양반. 그는 이춘풍의 사정을 알게 되자 남장하고 비장이 된 이춘풍의 부인을 데리고 평양 감사로 부임한다.[11]
  • 추월
    평양의 기생. 그녀는 이춘풍의 돈을 탐내서 이춘풍을 꼬신다. 추월은 이춘풍의 돈이 다 떨어지자 그를 종처럼 부린다. 그러나 비장으로 변장한 이춘풍의 부인에게 걸려 혼쭐나고 5000냥을 토해내게 된다.

4. 그 외

1970년대 동양방송(TBC)에서 일일드라마로 방영하기도 했다. 이춘풍 역에는 김성원, 진주인공인 이춘풍의 아내 역에는 당시 TBC의 단골 여주인공 김창숙이 맡았다. 이춘풍의 난봉질로 가세가 점점 기울어 고래등 같은 기와집이, 크기는 하지만 초가집으로, 나중에는 하인들도 다 사라지고 결국 초가삼간으로 몰락하는 게 꽤 볼만했다.

원작대로 이춘풍의 아내가 원래 살던 기와집을 되사들였으며 뒷부분이 조금 추가되었는데 마지막에는 이춘풍이 정체를 숨기고 있는 비장이 자기 아내라는 사실을 처음부터 알고 있었다는 걸로 나온다. 목소리 듣고 처음부터 알았지만 자기 한 짓이 있으니 그냥 하는대로 당했다고 나온다.

1999년에는 추석 특집으로 MBC에서 단막극으로 제작해 방영했으며 제목은 '내 이름은 춘풍이'. 이춘풍 역에는 조형기, 이춘풍의 부인 역에는 김여진이 출연했다.

2019년 부산교대 김준형 교수는 이춘풍전의 연대가 통설보다 늦은 1900년대라고 주장했다. 김준형 교수에 의하면 현존하는 이춘풍전의 이본은 28종인데 가장 오래된 이본을 따져도 1905년판인 성산 장덕순본이며 그 이상 올라가는 이본이 없고, 대부분의 이본이 개인 소장본이며 조선총독부가 1912~1915년 사이에 조선의 고문헌을 수집한 가운데 이춘풍전이 빠진 점을 들어서 1900년 이후에 이춘풍전이 생성되었을 것이라 주장한다.# 또한 김준형 교수는 이춘풍전의 베이스가 된 소설로 1896년 한성신보에 게재된 '남준여걸'을 지목하는데 한성신보가 고종을 비하하는 가짜 동요 기사를 냈다가 조선인들의 불매운동으로 타격을 입게 되자 이를 타개하기 위한 고육책으로 나온 연재소설들을 내놓은 것 중의 하나가 남준여걸이었고 이것을 패러디한 것이 바로 이춘풍전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1] 위키백과 이춘풍전 항목[2] 그냥 한양 내에서만이 아니라, 조선 팔도에서도 유명한 갑부집안인 듯하다.[3] 그때까지 돈 냄새 깨나 맡은 주변 사람들이 탕진 이후 춘풍을 푸대접하기 시작하는 것이 볼만하다.[4] 여기에 더해 부인이 모아둔 오백냥도 폭력을 써서 강탈해간다.[5] 이런 식으로 고전 소설에서 여성 등장인물이 남장을 하고 등장하는 것을 남장모티프라고 한다.[6] 여담으로 이 감사는 고향에 돌아가기 전 추월이 있는 기생집에서 머물렀을 때 노비 행색으로 집안일을 하는 이춘풍을 본 적이 있다. 같은 고향 유지의 아들이 그런 꼴을 당하는 것을 보고 추월의 악행을 어느 정도 눈치챘을 것이다.[7] 어떤 버전에서는 노모를 정성껏 돌봐준 답례로 감사가 무엇을 원하냐 물었더니 친정 오라비에게 비장 자리 해달라는 것으로 나온다. 당연히 그 오라비는 자기 자신이 분장한 것.[8] 엄연히 관아에서 빌린 돈을 탕진했으므로[9] 하지만 많이 맞은 사람은 추월이다. 이춘풍은 많이 맞지도 않았다. 특히 김씨는 추월을 벌줄 생각이었지 남편은 정신 차리라는 의미로 곤장을 몇대 친 것이다.[10] 바로는 못 알아보고 자기 전에 정체를 밝힌다.[11] 그는 일전에 자기 노모와 남장한 이춘풍 부인이 함께 있는걸 보고 오해해서 이춘풍 부인에게 칼을 휘두를 뻔 했다. 그러나 자초지종을 알게 된 후 오해를 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