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8 23:38:06

이송하

이송하의 타이틀 이력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73a3c, #000000 20%, #010101 80%, #373a3c);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WHO IS THE KING ?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d400> 초대1 2대 3대 4대
'''
유짓수
'''
유수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6.18 ~ 2022.12.11)
'''
피에로
'''
이송하
(2차 방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12.31 ~ 2024.9.28)
'''
아이언 스파이더
'''
오하라 주리
파일:일본 국기.svg
(2024.9.28 ~ 2024.12.28)
직쏘

문기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12.28 ~ 2025 08.23 )
<rowcolor=#ffd400> 5대 6대 7대 8대
머큐리

플라비오 산토스
파일:브라질 국기.svg
(2025.8.23 ~ )
1 유수영은 본 체급대에서의 활동을 위해 타이틀을 반납했다.
----
BLACK COMBAT Lightweight Championship.
}}}}}}}}}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tablebordercolor=#07090a><tablealign=center><tablebgcolor=#07090a>
파일:deep_logo.jpg
DEEP 라이트급 챔피언
Lightweight Championship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초대 2대 3대 4대 5대
미시마 도네 쇼노스케
파일:일본 국기.svg
오비야 노부히로
파일:일본 국기.svg
요코타 카즈노리
파일:일본 국기.svg
방태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키쿠노 카즈노리
파일:일본 국기.svg
6대 7대 8대 9대 10대
히로타 미즈토
파일:일본 국기.svg
나카무라 다이스케
파일:일본 국기.svg
키타오카 사토루
파일:일본 국기.svg
다케다 코지
파일:일본 국기.svg
오하라 주리
파일:일본 국기.svg
11대 12대 13대 14대 15대
이송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에토 키미히로
파일:일본 국기.svg
노무라 슌타
파일:일본 국기.svg
}}} }}}}}} ||
파일:피에로이송하.png
<colbgcolor=#ec1d23><colcolor=#000> 싸비 MMA
'''이송하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e4002b;font-size:.9em"
'''
출생 1994년 5월 21일 ([age(1994-05-21)]세)
충청북도 음성군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86cm, 체중 70.3kg
리치 190cm, 혈액형 O형
종합격투기 전적 8전 4승 4패
3 SUB, 1 판정
2 SUB, 2 판정
스타일 그래플링
랭킹 블랙컴뱃 라이트급 4위
등장곡 Jagwar Twin - Happy Face
학력 음성고등학교 (졸업)
병역 대한민국 해병대 병장 전역(병 1188기)
주요 타이틀 블랙컴뱃 2대 라이트급 챔피언
Deep 11대 라이트급 챔피언
기타 블랙컴뱃 라이트급 타이틀 방어 2회
데뷔 종합격투기 : 2021년 프로 《AFC 16》
(데뷔일로부터 [dday(2021-05-31)]일)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파이팅 스타일3. 커리어
3.1. AFC3.2. TBC3.3. 블랙컴뱃
3.3.1. vs. 김정균 (타이틀전)3.3.2. vs. 박종헌 (1차 방어전)3.3.3. vs. 오하라 주리 (2차 방어전)3.3.4. vs. 오하라 주리 (3차 방어전)
3.4. DEEP
3.4.1. vs. 에토 키미히로 (1차 방어전)
4. 여담


1. 개요

대한민국 국적의 블랙컴뱃 라이트급 종합격투기 선수.

2. 파이팅 스타일

186cm라는 큰 키와 190cm의 긴 리치를 이용한 포인트성 원거리 타격과 노기 주짓수가 바탕인 그래플링을 통한 서브미션이 주특기인 그래플러다. 광남 신승민, 야차 최준서와 같이 진성 타격가라고 볼 수는 없다. 스트라이킹과 그래플링을 결합한[1] 침착한 경기운영이 최고 장점이다. 그래플링의 비율이 확실히 크기 때문에 웰라운더가 아니라 그래플러라고 볼 수 있다.

체급내에서 압도적으로 큰 키, 긴 리치는 킥싸움, 앞손 싸움에서 이송하를 유리하게 만든다. 장신의 다리에서 나오는 킥은 사정거리가 엄청나다. 이 긴리치는 스트라이킹 뿐만 아니라 그래플링 상황에서도 긴 리치로 순식간에 그립을 만들어 서브미션을 따낼 수 있게 만든다.

타격에서는 리치를 이용해 킥싸움, 잽싸움으로 거리 싸움을 하는 것이 주 전략이다. 카운터 니킥 또한 요긴하게 사용한다. 하지만 장신의 타격가에게 필요한 두 요소인 거리조절 능력과 카운터를 하이 레벨로 갖추고 있지는 않다. 그 때문에 큰 공격을 허용하기도 하고 긴다리를 이용하지 못하고 킥싸움에서 오히려 맞기도 한다. 타이틀전에서 김정균에게 묵직한 주먹을 얻어맞고 위험한 그림이 나오기도 했지만 뒤에 언급될 그래플링으로 위기 모면을 하기도 했다.

그래플러로 볼 수 있을 정도로 타격보다 그래플링 능력이 상당히 부각된다. 레슬링, 주짓수의 비중이 상당히 크고 기량 모두 우수하다. Double G FC 헤비급 챔피언 김명환과 오디션에서 노기 주짓수를 해서 판정 승리를 따내기도 할 정도로 우수한 기량을 자랑한다. https://youtu.be/4ohYdvUE6vw?si=Gt4pTiVYjynfgzK7 (물론 타격, 파운딩 있었으면 승패 달라졌을 가능성이 크다)

김정균과 경기에서도 타격을 허용하고 그래플링 운영으로 위기를 모면하는 모습이 많이 보였고, 백포지션에서 깊은 초크를 걸기도 했다. 박종헌과 경기 당시 리치가 짧은 선수들이라면 풀렸을 암바와 트라이 앵글을 긴 팔과 다리를 이용해 묶어 경기에서 승리를 거머쥐었다. 스트라이커 성향도 있지만 서브미션 승리도 아마추어부터 프로까지 4번이나 있기 때문에 오히려 그래플링 기량이 타격보다 우수해 보이기도 한다. 게다가 십수년동안 갈고닦은 그래플링 방어를 가진 딥의 라이트급 챔피언 오하라 주리를 레슬링 테이크다운과 백컨트롤-하체관절기로 잡아내며 높은 수준의 그라운드를 보여줬다.

긴 리치와 큰 키도 장점으로 작용하지만 가장 큰 장점은 침착함. 김정균에게 뜻밖에 사커킥을 맞고도 당황하지 않고 견뎌내며 테이크다운까지 시켰고, 방어전인 박종헌과 경기에서는 슬립으로 넘어졌으나 곧바로 트라이앵글 - 암바를 잡으며 혼란스러운 상황에서도 서브미션 캐치에 성공했다. 이렇듯 이 침착함이 변수를 쉽게 제어할 수 있게 만들고 전략 수행능력, 타격과 레슬링 같은 우수한 스킬을 더욱 빛나게 만든다.

체력과 맷집도 출중한 것으로 보인다. '곰주먹' 김정균과 승부에서도 치고박는 명승부를 펼쳤으나 3라운드까지 기세가 이어졌고 레슬링과 타격을 번갈아 하면서도 끝까지 집중력을 잃지 않았다.

3. 커리어

이송하의 총 전적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순서 경기일 대회명 상대 경기결과 비고
1 2021.05.31 AFC 1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상욱 2R 판정패 프로 데뷔전
2 2021.09.11 TBC 0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성혁 1R 3:22 리어 네이키드 초크 승
3 2022.01.07 TBC 0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홍성찬 3R 판정패
4 2022.12.31 블랙컴뱃 04: The Era of the New King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정균 3R 판정승 블랙컴뱃 라이트급 타이틀전
5 2023.04.15 블랙컴뱃 06: The Final Checkmat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종헌 1R 1:11 암바 승 1차 방어전
6 2023.09.18 블랙컴뱃 08: The Last Samurai 파일:일본 국기.svg 오하라 주리 2R 2:37 니바 승 딥, 블랙컴뱃 라이트급 더블 타이틀전
7 2024.03.09 DEEP 118 IMPACT 파일:일본 국기.svg 에토 키미히로 2R 2:37 리어 네이키드 초크 패 딥 타이틀 1차 방어전
8 2024.09.28 블랙컴뱃 12: The Return of the Kings 파일:일본 국기.svg오하라 주리 2R 4:17 길로틴 초크 패 블랙컴뱃 타이틀 3차 방어전
}}} ||

3.1. AFC

3.1.1. vs. 김상욱

vs. 김상욱 (팀스턴건)

3.2. TBC

3.2.1. vs. 최성혁

vs. 최성혁 (팀한클럽)

3.2.2. vs. 홍성찬

vs. 홍성찬 (코리안탑팀)

3.3. 블랙컴뱃

3.3.1. vs. 김정균 (타이틀전)

파일:블랙컴뱃 로고.jpg
Ⅳ. THE ERA OF NEW KINGS
BLACK COMBAT 04
2022. 12. 31 / 인천 파라다이스시티 크로마 클럽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FD400"
COMAIN EVENT
'''#4 이송하
피에로
'''
(3R 만장일치 판정승)
주심
배기성
'''#3 김정균
곰주먹
'''
(패)
"박종헌(헌터) 선수와 라이트급 타이틀 방어전 매치 약속"

3.3.2. vs. 박종헌 (1차 방어전)

파일:블랙컴뱃 로고.jpg
Ⅵ. THE FINAL CHECKMATE
BLACK COMBAT 06
2023. 04. 15 / 인천 파라다이스시티 스튜디오파라다이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FD400"
MAIN EVENT
'''#C 이송하
피에로
'''
(1R 1:11 암바 승)
주심
배기성
'''#1 박종헌
헌터
'''
(패)
"일본격투단체 DEEP 라이트급 챔피언인 오하라 주리와 매치를 언급"

3.3.3. vs. 오하라 주리 (2차 방어전)

파일:블랙컴뱃 로고.jpg
Ⅷ. THE LAST SAMURAI
BLACK COMBAT 08 / DEEP 115 IMPACT
2023. 09. 18 / 일본 도쿄 고라쿠엔홀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FD400"
Double Title Match
'''C 오하라 주리
아이언 스파이더
'''
(패)
주심
후쿠다 마사토
'''C 이송하
피에로
'''
(2R 3:38 슬로예프 스트레치 승)

2라운드 2분 37초 만에 서브미션 슬로예프 스트레치[2]로 승리했다. 이번 승리로 전적을 4승 2패로 끌어올렸으며 블랙 컴뱃 라이트급 챔피언 자리의 2차 방어를 해냄과 동시에 딥 라이트급 챔피언에 등극하였다. 거의 모든 팬들이 오하라 주리의 압도적인 승리를 예상하던 상태에서 이번 대회 최대의 이변을 일으켰다. 또한 이 승리로 블랙컴뱃 vs DEEP 2차 대항전의 승리를 확정지었다.

3.3.4. vs. 오하라 주리 (3차 방어전)

파일:블랙컴뱃 로고.jpg
XII. THE RETURN OF THE KINGS
BLACK COMBAT 12
2024. 09. 28 / 서울특별시 성북구 화정체육관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FD400"
MAIN EVENT
'''C 이송하
피에로
'''
(패)
주심
이환욱
'''#1 오하라 주리
아이언 스파이더
'''
(2R 4:17 닌자 초크 승)
"부상 회복 후 팬분들께 다시 챔피언이 되는 그날까지 열심히 해보겠다는 말을 남겼다"

3.4. DEEP

3.4.1. vs. 에토 키미히로 (1차 방어전)

파일:deep_logo.jpg
DEEP 118 IMPACT
2024. 03. 09 / 일본 도쿄 고라쿠엔홀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FD400"
7경기
'''이송하
피에로
'''
(패)
주심
우에마츠 나오야
에토 키미히로
(2R 2:07 리어 네이키드 초크 승)
"ㅡ"

4. 여담

  • 프로필 사진에도 나와있는 신사적인 인사는 피에로의 시그니처 포즈이고 이미지와 상당히 잘맞는다는 평을 받고 있다.
  • 2023년 12월 27일, 일양약품 헐커스한일중학교 레슬링부에 '줌앤줌 희망 두배 릴레이' 일환으로 '헐커스 컨디셔닝 솔루션'을 전달했다. 기사
  • DEEP의 사에키 대표는 피에로라는 링네임부터 강렬한 인상을 받았다고 한다.
  • 친동생 이성은(레오파파)도 종합격투기 선수로 블랙컴뱃에서 활동 중이다.
  • 목과 무릎이 안 좋다. 무릎과 목 부위 부상을 당하기도 했으며 목디스크로 병원에 입원하기도 했다.
  • 블랙컴뱃 챔피언 중 라이트급 챔피언 2차 방어로 최다 방어 기록이다.[3]

==# 둘러보기 #==
<colbgcolor=#151509> 파일:블랙컴뱃 로고.jpg
PRO-AUDITION {{{#!wiki style="margin:0px -10px -6px; color: #fff"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50%"
{{{#!folding [ 시즌 1 ]
{{{#!wiki style="margin:-6px -1px -10px"
심판
유우성
팀장
검정 정도한
참가자
유수영 (유짓수) 김정균 (곰주먹)
임정민 (옐로우 몽키) 김성웅 (바이퍼)
박종헌 (헌터) 김성재 (김관장)
김동환 (아수라) 이영훈 (영타이거)
이성원 (매드 카우) 문병일 (SCP-09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min-width:50%; color: #fff"
{{{#!folding [ 시즌 2 ]
{{{#!wiki style="margin:-6px -1px -10px"
진행
검정
교관
박종헌 (헌터) 김정균 (곰주먹)
임정민 (옐로우몽키) 이성원 (매드카우)
참가팀
싸비 MMA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f0000;" 이길우
김성빈 (파이톤) 김준현 (OLK)
이송하 (피에로) 남지훈 (더 퍼지)
칼슨 해적단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000;" 황보융
이강남 (해적왕) 차범준 (빌런차)
선석호 (김첨지) 전현우 (더 마스터)
MMA 스토리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0ff;" 차정환
황성주 (황빠따) 홍종태 (찐홍이)
윤다원 (맨티스) 최원준 (화이트 베어)
익스트림 컴뱃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8000;" 조정현
이승철 (플래시) 임관우 (진격의거인)
김진수 (시크릿웨폰) 박건환 (터미네이터)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4f3b76;" 최창현 (쇼타임)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4f3b76;" 김명환 (맘모스)
트라이 스톤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4f3b76;" 김재중
정도한 (조커) 김동규 (빅마우스)
박한빈 (스몰고릴라) 김동환 (아수라)
큐브 MMA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4f3b76;" 김형광
류창현 (머신건) 윤성욱 (버드와이저)
정용완 (큐브) 김연균 (갓균)
스웰즈 코리아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4f3b76;" 김기현
이진세 (빡세) 이준용 (리신)
박어진 (히드라) 이재규 (5분의 힘)
팀 솔리드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4f3b76;" 윤정재
김민찬 (아랑) 최서준 (무사시)
최은호 (라온) 박용정 (Daddy P) }}}}}}}}}{{{#!wiki style="display:inline-block;min-width:50%; color: #fff"
{{{#!folding [ 시즌 3 ]
{{{#!wiki style="margin:-6px -1px -10px"
감독
검정
심판진
유우성 이환욱
배기성 장성효
참가 선수
아톰급
홍예린 (고스트) 김남희 (광녀)
전수민 (짱구) 황다비 (팬텀)
밴텀급
김종훈 (빅 모아이) 박형근 (근자감)
윤호영 (윤방관) 이현수 (쉐도우)
페더급
김민우 (코리안 모아이) 신승민 (광남)
박찬수 (찬스) 조규준 (한마 바키)
라이트급
윤다원 (맨티스) 장정혁 (탈북파이터)
방태현 (철권) 김근희 (흑사자)
무제한급
최원준 (화이트 베어) 최준서 (야차)
전영준 (돌주먹) 설영호 (낮 도깨비) }}}}}}}}}{{{#!wiki style="display:inline-block;min-width:50%; color: #fff"
{{{#!folding [ 시즌 4 ]
{{{#!wiki style="margin:-6px -1px -10px"
감독
검정
교관 및 심판진
이환욱 (할리) 배기성 (엘리펀트)
박기훈 (박스훈트) 김재원 (동키콩)
팀장 / 부팀장
화이트팀 팀장 / 김동규 (빅 마우스) 블랙팀 팀장 / 유수영 (유짓수)
화이트팀 부팀장 / 정도한 (조커) 블랙팀 부팀장 / 최효준 (UFC 아저씨)
참가 선수
플라이급
정원희 (투견) 박태호 (앤쵸비)
이성재 (포세이돈) 김민우 (매드독)
성낙중 (가린샤) 이성제 (레이지 보이)
페더급
손유찬 (천안짱) 최성혁 (키라)
이성철 (겜블러) 이민재 (이글 아이)
김하림 (헬 보이) 변인석 (변달)
라이트급
장근영 (슬로스) 임재윤 (Lil Shoota)
이환성 (위버멘쉬) 조성원 (매드 조커)
김석민 (마우이) 황도윤 (사쿠라) }}}}}}}}}{{{#!wiki style="display:inline-block;min-width:50%; color: #fff"
{{{#!folding [ 시즌 5 ]
{{{#!wiki style="margin:-6px -1px -10px"
감독
검정
심판
이환욱 (할리) 안창률
선도부
황성주 (황빠따) 김성빈 (파이톤) 박석광 (그리드)
참가팀
큐브 MMA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4f3b76;" 최재현 (캡틴 하남) 한상운 (울프) 윤성욱 (버드와이저)
황도윤 (사쿠라) 정용수 (히트맨) 정용완 (그루트)
칼슨 해적단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4f3b76;" 이강남 (해적왕) 선석호 (김첨지) 하준혁 (돌멩이)
방성혁 (시라소니) 김근희 (흑사자) 정민훈 (슬라임)
고교天王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4f3b76;" 지혁민 (춘천대장) 박찬수 (양산 접착제) 이동규 (샤크)
남대현 (대호) 이형준 (Q평E평 너네집 한평) 최찬우 (매드 스트라이커)
팀 크레이지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4f3b76;" 이광희 (크레이지광) 권세원 (펀처) 이환현 (체크 메이트)
이효일 (아머) 임종찬 (국화) 양동균 (엔젤) }}}}}}}}}{{{#!wiki style="display:inline-block;min-width:50%; color: #fff"
{{{#!folding [ 시즌 6 ]
{{{#!wiki style="margin:-6px -1px -10px"
감독
검정
플라이급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e4002b;" 김성웅 (바이퍼)
임정민 (옐로우몽키) 김주환 (땅꾼)
손지훈 (NO.7) 이강남 (해적왕)
김민우 (매드독) 윤호영 (윤방관)
정원희 (투견) 옥은찬 (라텔)
밴텀급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e4002b;" 박성준 (언더독)
김성재 (김관장) 장진표 (피라냐)
정경열 (불도저) 이진세 (빡세)
라이트급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e4002b;" 김정균 (곰주먹)
문기범 (직쏘) 전현우 (더 마스터)
박어진 (영보스) 최지수 (마카최프)
웰터급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e4002b;" 최준서 (야차)
김율 (스네이크) 김민석 (방탄)
서동수 (알파고) 오일학 (킹콩)
전창근 (브루스) 박익순 (투혼)
김준교 (울프갱) 박원식 (코리안갱스터)부상 불참 }}}}}}}}}}}}



[1] 타격:그래플링 비율이 4:6~3:7 정도 된다.[2] 백 포지션에서 거는 니바의 변종으로, UFC에서 알저메인 스털링자빗 마고메드샤리포프가 이 기술로 승리를 거둔 적이 있다.[3] 코마키네 타카히로, 박시윤과 타이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