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원작의 이손드레}}}에 대한 내용은 [[이손드레]]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이손드레#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이손드레#|]]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원작의 이손드레: }}}[[이손드레]]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이손드레#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이손드레#|]]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하스스톤 에메랄드의 꿈 속으로 직업 전설 | |||||||||||
| | | | ||||||||
토르톨라 | 온아라 | 아샤메인 | 우르솔 | ||||||||
이손드레 | 메리스라 | 악의적인 렌퍼럴 | 불굴의 토레스 | ||||||||
| | | |||||||||
골드린 | 숲의 군주 세나리우스 | 아감마간 | |||||||||
브롤 베어맨틀 | 하뮬 룬토템 | 비운의 왈로우 | |||||||||
아미드랏실 | |||||||||||
| | | | ||||||||
아에시나 | 엘룬의 대행자 아비아나 | 오멘 | 우르속 | ||||||||
칸주 | 티란데 | 알라라시 | 니센드라 | ||||||||
볼코로스 |
1. 개요
[Include(틀:하스스톤/카드, 전사=, 전설=, 하수인=, 확장팩=에메랄드의 꿈 속으로,한글명=이손드레, 일러명=이손드레, 영문명=Ysondre,
비용=7, 공격력=8, 생명력=5, 용족=,
효과=<b>도발\, 죽음의 메아리:</b> 이번 게임에서 이손드레가 죽은 횟수만큼 무작위 용족을 소환합니다.,
플레이버한=손 들어!,
플레이버영=Because sondre!,
황금링크=https://cards.hearthpwn.com/enUS/webms/EDR_465.webm,
간판=,
간판획득=카드 팩,
간판링크=https://cards.hearthpwn.com/enUS/sig_webms/EDR_465.webm)]
소환: 꿈과 광기는 종이 한장 차이지. (What separates dream from madness?)
상대 영웅이 이세라일 때 소환: 그대의 꿈은 이제 흐릿한 기억이군요, 여왕님.(Your Dream is a distant memory, my queen.)
공격: 하아아압! (Hyah!)
사망: 끝없는... 악몽.... (Endless Nightmare...)
상대 영웅이 이세라일 때 소환: 그대의 꿈은 이제 흐릿한 기억이군요, 여왕님.(Your Dream is a distant memory, my queen.)
공격: 하아아압! (Hyah!)
사망: 끝없는... 악몽.... (Endless Nightmare...)
소환 시 음악은 살게라스의 무덤 음악이다. 53분 10초부터.
2. 상세
전사의 에메랄드의 꿈 속으로의 전설 카드. 한때 녹색용군단이자 이세라의 부관이었으나, 악몽에 의해 타락해버린 이손드레다.죽음의 메아리 능력은 악몽의 용들인 타에라, 레손, 에메리스가 이손드레의 악몽으로부터 되살아난 것을 모티브로 한다.
주의할 점으로 '이손드레가 죽은 횟수'를 따지기 때문에, 아군 이손드레 뿐 아니라 상대가 소환한 이손드레가 죽은 횟수까지 포함된다. 희박한 확률로 미러전을 하거나 상대가 복사할 경우 등에는 손해를 볼 수 있으니 주의.
3. 평가
3.1. 출시 전
용전사의 핵심이 될 카드로 일단 랩터의 해 에메랄드의 꿈 기준으로 정규전에서는 이손드레의 죽메 발동을 방해하는 효과, 침묵이나 변이, 기타 제압 카드들이 적다는 것이 운용하는 입장에서 호재라 할 수 있는데 대표적인 정규 카드로는 왕실 사서, 길니아스 홍보물[1], 사술 정도이며 일시적으로 무력화하는 데 그치는 천공의 위상차 광선[2], 레드 카드, 아나크로노스, 덱에 섞어 넣는 재포장, 꿈 카드인 꿈과 샬라드라실에서 얻을 수 있는 타락한 꿈 등이 있다. 정규전 로테이션이 바뀌는 과정에서 전체적은 카드 파워 평균이 낮아졌기 때문에 제압 걱정은 줄어든 셈.그러면서도 이손드레를 준비하는 과정은 편해졌다. 에메랄드의 꿈 전사는 타락의 둥지, 광기에 대한 굴복 등 용족을 부활, 복사 관련 카드들을 지원받으면서 기존의 바위언덕 수호병이나 황천의 원령 역사가의 생성 카드로 뽑을 수도 있으며 어둠의 선물 중 살아있는 악몽[3], 지속되는 공포[4]의 시너지도 좋다. 그리고 8/5라는 공격에 치중된 능력치도 죽메가 핵심인 하수인에게 낮은 체력은 오히려 이득이며 또 물 공급지라는 걸출한 카드는 여전히 건재하기 때문에 이손드레를 찍어내는 것 자체는 어렵지 않다. 이렇게 양산하는 이손드레들로 인해 이론상 2~3번 정도만 죽어도 순식간에 용족들이 필드를 채우며 웨이브를 만드는 걸 볼 수 있다.
하지만 단점도 만만치 않은데 생성되는 용족은 무작위라 어떤 하수인들이 필드를 채울지 모른다는 것이다. 이는 무작위로 용족을 소환하는 연마 성기사와 같은 단점을 공유하는데 자체 든든한 이손드레를 터뜨려가며 나온 용들이 정작 능력치가 낮은 놈들만 나오면 오히려 손해인데 특히 종이 용 같은 극단적인 전투의 함성 의존도가 높은 하수인이 튀어나오는 순간 게임 내내 상대방에게 감탄 극찬을 듣기 쉽다.
만약 이손드레 전사 미러전을 치루는 경우 이손드레의 죽은 횟수는 상대에게도 고스란히 버프를 받는다. 그렇기에 훔쳐지거나 상대도 이손드레 전사일 경우 오히려 먼저 이손드레를 찾고 낸 플레이어가 손해를 보는 기형적 구조를 하고 있다.
3.2. 출시 후
출시 초기 용족 전사의 메인 키카드로 사용되고 있다. 물 공급지, 타락의 둥지, 광기에 대한 굴복으로 계속해서 이손드레를 재소환하며 웨이브를 다시 만드는 덱이다. 핵심으로 돌아온 전시 관리인과 이번에 등장한 고통받는 공포날개로 서치도 충분히 가능. 하지만 그놈의 무작위 효과로 인한 저점과 고점 차이가 너무 크다는 단점으로 인해 진지한 등반용 실전덱으로서는 아쉽다는 평가가 적지 않다.4. 이손드레의 효과로 소환되는 무작위 용족
4.1. 정규전(랩터의 해)
당첨 카드는 검은색 볼드, 꽝 카드는 붉은색 볼드 표기.- 1코스트 : 선물 포장 새끼용, 선박 의사, 적응형 융합체
- 2코스트 : 꽃잎 행상인, 요정용
- 3코스트 : 금빛꽃잎 비룡, 청동 탐험가, 악몽의 용족
- 4코스트 : 고르곤조르무, 환영 녹색날개, 황혼의 비룡, 고통받은 섬멸자[5], 꿈지기, 월광 비룡
- 5코스트 : 고통받는 공포날개, 변이하는 생명체, 별비늘 별자리, 숙면하는 용, 시간 조율자 자리미
- 6코스트 : 교묘한 고룡, 종이 용, 점토 여왕용, 베라누스
- 7코스트 : 니센드라[6], 영원한 노즈도르무, 아나크로노스, 서리아귀
- 8코스트 : 용족의 별미, 칼렉고스,태고의 비룡
- 9코스트 : 에메랄드의 위상 이세라, 잠꾸러기 용
- 10코스트 : 폭주하는 검은날개, 가시살이 비룡
4.2. 야생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분류:하스스톤/카드/하수인/용족#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분류:하스스톤/카드/하수인/용족#|]]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기타
- 원작에서 이손드레는 이세라의 네 부관 중 유일하게 악몽에게서 벗어나는데 성공했지만, 알른의 균열에서 악몽이 퍼지고 자비우스가 에메랄드의 꿈을 타락시키자 이손드레는 악몽을 떨쳐내지 못하고 다시 타락해버리고 만다.
- 하스스톤에 이미 에메리스가 있어 원작 재현이 어느정도 가능하다.
- 플레이버 텍스트는 한영 둘 다 이름을 활용한 언어유희. 영문에서는 'Why(와이)'손드레라서 Because로 바꿨고, 한국판에서는 발음이 유사한 '손 들어'로 바꿨다. 타 언어판에서도 마찬가지인데, 예를 들어 일본어판 플레이버 텍스트에서는 'どれって、これ!(도렛테 코레, 어떻게 해 이거)'라며 운을 맞춰 회답한다.
6. 둘러보기
| |||||
전사 | 주술사 | 도적 | |||
성기사 | 사냥꾼 | 드루이드 | |||
흑마법사 | 마법사 | 사제 | |||
악마사냥꾼 | 죽음의 기사 | ||||
중립 카드 / 전체 카드일람 |
[1] 카드 효괴로 뒤집힌 실버문 홍보물.[2] 기절의 별 선택[3] 내가 이 하수인을 낼 때, 이 하수인을 복사하여 2/2 하수인으로 소환합니다.[4] 환생, 최대 생명력과 강화 효과를 모두 회복한 상태로 환생합니다.[5] 6/6이라는 강력한 스탯에 죽으면 모든 적 하수인 3뎀으로 남은 필드에도 큰 피해를 준다. 원래 그냥 내면 먼저 전함으로 모든 아군 하수인들에게 3뎀을 줘야 하지만, 소환은 전투의 함성이 발동하지 않아 장점만 남는다.[6] 언뜻 보기에는 좋아보이지만 상황에 따라 엄청난 꽝 카드가 될 수 있다. 대표적인 상황은 광역기로 니센드라와 이손드레가 같이 죽었을 때로, 다양한 용족들이 필드를 채워야 하는데 1/1 딱정벌레들로 필드를 채워버리며, 심지어 광기에 대한 굴복 선택풀 에도 끼어들어 이손드레 복사에 걸림돌이 되어버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