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씨삼룡 ,李氏三龍, | |||
이조 | 이소 | 이□ |
<colcolor=#fecd21> 李邵 이소 | ||||
최종직위 | <colbgcolor=#fff,#000>치중종사(治中從事) | |||
본관 | 이(李) | |||
명 | 소(邵) | |||
자 | 영남(永南) | |||
생몰연도 | ?년 ~ 225년 | |||
고향 | 익주(益州) 광한군(廣漢郡) 처현(郪縣)[1] | |||
사망지 | 익주(益州) 촉군(蜀郡) 성도현(成都縣)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역임한 관직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 .93em;" | 촉한 ,(유비 → 유선), | 서좌부종사→ 서조연(西曹掾)→ 치중종사(治中從事) | }}}}}}}}} |
[clearfix]
1. 개요
삼국시대 촉한의 인물이며 자는 영남(永南)으로 이조, 이막의 동생. 익주 광한군 처현 사람.2. 생애
재능과 명성이 있어 일찍 죽은 다른 형제, 이조와 함께 이씨삼룡 중의 한 사람으로 불리었다.[2] 유비가 익주로 와서 유장을 항복시키고 익주를 평정하자 주의 서좌부종사에 임명되었다.223년에 제갈량이 서조연으로 임명했으며, 제갈량이 225년에 남쪽의 혼란을 진압하기 위해 출정하려고 하자 치중종사로 임명해 성도에 남겨졌지만 그 해에 사망했다.[3]
양희는 이소에 대해서 사려가 깊다고 평가했으며, 224년에 제갈량이 두미를 등용하기 위해 그에게 보낸 글에서도 언급이 된다. 이 편지에서 이소는 왕모, 비관, 왕련, 양홍, 정군간, 이조, 문공과 함께 두미의 고결한 뜻을 찬탄했다고 한다.
3. 창작물에서의 이소
3.1.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
삼국지 14 |
형 이조와 함께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형과는 달리 관모를 쓴 채 왼손을 펼치면서 위로 올리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44, 무력 28, 지력 68, 정치 64, 매력 71이다. 개성은 명성과 능리, 주의는 형과 같은 예교, 정책은 정령철저 Lv 3, 진형은 방원,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과 혐오무장 역시 모두 없다. 생년은 188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3.2. 소설 제갈공명
촉한과 손오와 우호 관계를 맺은 후에 촉나라에서 유능한 인재가 모였다며, 다음 세대에 촉나라를 이끌어 갈 사람들이 승상부에 자리잡게 되었다고 하면서 그 명단에 장완, 비의, 마훈, 동윤, 종예, 두미, 오량, 곽유지 등과 함께 이름이 언급되었다.[1] 처현은 이조 사후 224년에 동광한군으로 분리된다.[2] 이막의 경우 성질이 영 좋지 않아 아예 같은 형제임에도 이 분류에서 제외되었다.[3] 동생 이조는 이릉대전 시기에 사망했고 이막은 이소 사후에도 생존했으나 1차 북벌때 항명으로 '크나큰 실책'을 범해 대업을 망친 마속을 참하려던 제갈량을 향해 서쪽 오랑캐(서융)도 용서라는 개념이 있는데 승상은 그딴것도 못합니까 비방하다(장완도 마속에 대해 변호 했지만 이는 촉이 심각한 인재부족이라 처형만은 봐주자 급이었다. 다만 이막은 마속을 변호하기 보다는 제갈량을 까기 위해서라는 목적이 다분하다, 참고로 보급을 잘 지켰다면 이길수 있는 전쟁을 항명으로 패전으로 만든것 자체가 군법으로 용서될 사례는 아니었으며 마속은 막상 자신의 실책으로 형세가 크게 불리해지자 탈영까지 저질렀다.) 지방으로 쫓겨났고 이막은 이에 제갈량을 향해 원망을 품다 제갈량이 오장원에서 사망하자 슬퍼하는 황제 유선에게 '황제는 제갈량에게 눈치나 보고 살았는데 제갈량이 죽었으니 기뻐하시죠'따위의 표문을 올렸다가 분노한 유선에게 처형당한다.(상국, 승상이라는 황제를 위협할수도 있는 권력을 가졌음에도 제갈량은 권력을 사유화 하거나 유선을 핍박한적은 없다. 또 제갈량이 죽자 촉 전체가 제갈량의 업적을 칭송하면서 슬퍼했던것을 보면 이막이 크게 어그로 끈셈) 이조, 이소 형제가 고결함으로 널리 알려졌는데 이막은 형제들의 명예를 먹칠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