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8 14:08:14

율리안 뤼에르손

율리안 리에르손에서 넘어옴

1 코벨
VC
· 2 얀 코투 · 3 안톤 · 4 [[니코 슐로터베크|N. 슐로터베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900; font-size: .8em"]] · 5 벤세바이니 · 6 외즈잔 · 7 조브
8 F. 은메차 · 9 기라시 · 10 브란트 · 13 그로스 · 14 바이어 · 16 뒤랑빌 · 17 추쿠에메카
20 자비처 · 21 파비우 실바 · 23 [[엠레 잔|엠레 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900; font-size: .8em"]] · 24 스벤손 · 25 쥘레 · 26 뤼에르손 · 27 아데예미
28 안셀미노 · 30 드레베스 · 31 오스트신스키 · 33 마이어 · 37 캠벨 · 39 마네 · 42 카바르
파일:UEFA EURO CRO.png 니코 코바치
※본 문서는 간략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파일:Julian Ryerson(25-26).png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No. 26
'''
율리안 뤼에르손
Julian Ryerson
[1]
<colbgcolor=#ffd900> 출생 1997년 11월 17일 ([age(1997-11-17)]세)
아그데르주 링달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노르웨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노르웨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83cm / 체중 86kg[2]
포지션 풀백[3], 센터백[4]
주발 오른발
소속 <colbgcolor=#ffd900><colcolor=#fff> 유스 링달 IL ( ~2013)
비킹 FK (2013~2015)
선수 비킹 FK (2015~2018)
1. FC 우니온 베를린 (2018~2023)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2023~ )
국가대표 42경기 1골[5] (노르웨이 / 2020~ )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d900> 등번호 <colbgcolor=#fff,#191919>노르웨이 대표팀 - 5번, 14번, 22번
비킹 FK - 18번, 51번
1. FC 우니온 베를린 - 6번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26번
에이전시 파일:Creative Artists Agency 로고.svg
}}}}}}}}} ||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기록
5.1. 대회 기록5.2. 개인 수상
6. 여담7. 같이 보기

1. 개요

노르웨이 국적의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풀백.

2. 클럽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율리안 뤼에르손/클럽 경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율리안 뤼에르손/클럽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율리안 뤼에르손/클럽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국가대표 경력

자국의 연령대 대표팀을 거쳐왔으며, 2020년 11월 18일에 치러진 오스트리아와의 UEFA 네이션스 리그 원정 경기를 통해 성인 대표팀에 데뷔했다.

4. 플레이 스타일

주 포지션은 라이트백이지만, 레프트백, 3백의 스토퍼, 윙백, 수비형 미드필더까지 소화하는 유틸리티 플레이어다.

뤼에르손은 오른발뿐만 아니라, 왼발로도 공격을 전개할 수 있다. 양발 사용이 자유롭다 보니, 이를 이용한 유연한 공격 전개가 가능하다. 드리블, 패스, 킥 모두 양발로 시도할 수 있고 판단 속도도 준수하기에, 뤼에르손에게 공이 가면 매우 간결한 공격 전개가 펼쳐지고 공격 패턴도 다채로워진다. 단순하게 직선적으로 움직이는 오버래핑은 물론, 중앙으로 좁혀서 공격 전개의 영향력을 더하는 언더래핑을 때에 맞춰 시도한다.

뤼에르손은 풀백으로서 기동력이 상당히 좋다. 움직임이 민첩하고 활동량도 성실하게 가져가는 등 공수양면 넓게 움직이면서 경기장 내에서 지대한 영향력을 끼친다. 수비 시 상대를 1대1로 따라붙는 수비를 즐기는데, 지상 경합에서도 60%에서 우위를 차지할 만큼 거친 플레이도 마다하지 않는 파이터적인 면모를 보여준다.

다만, 준수한 발밑에 비해 스탯을 생산하는 능력이 아쉬워서 그의 준수한 드리블링이나 패싱, 크로스 능력이 다소 평가절하되는 부분이 존재한다. 또한 수비 상황에서 태클을 성급하게 시도해 파울을 내어주는 횟수가 잦으며, 공중볼 경합에 있어서는 아쉬운 모습을 보인다.

5. 기록

5.1. 대회 기록

5.2. 개인 수상

6. 여담

  • 미국인 아버지와 노르웨이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종종 아버지와 함께 미국 문화를 즐기는 모습을 SNS에 올리곤 한다.
  • 기본 포지션은 풀백이지만 유틸리티 플레이어라는 점에서 같은 국적의 욘 아르네 리세와 종종 비교된다.
  • 머리에 부항을 뜬 듯 희한한 염색을 하고 다닌다.

7. 같이 보기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2025-26 시즌 스쿼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d9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2024-25 시즌
등번호 국적 포지션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비고
<colbgcolor=#fff><colcolor=#000> 1 <colbgcolor=#fff><colcolor=#000> 파일:스위스 국기.svg <colbgcolor=#fff><colcolor=#000000> GK <colbgcolor=#fff><colcolor=#000> 그레고어 코벨 <colbgcolor=#fff><colcolor=#000> Gregor Kobel <colcolor=#000> VC
2 파일:브라질 국기.svg DF 얀 코투 Yan Couto
3 파일:독일 국기.svg DF 발데마르 안톤 Waldemar Anton
4 파일:독일 국기.svg DF 니코 슐로터베크 Nico Schlotterbeck VC
5 파일:알제리 국기.svg DF 라미 벤세바이니 Ramy Bensebaïni
6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MF 살리흐 외즈잔 Salih Özcan
7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MF 조브 벨링엄 Jobe Belingham
8 파일:독일 국기.svg MF 펠릭스 은메차 Felix Nmecha
9 파일:기니 국기.svg FW 세루 기라시 Serhou Guirassy
10 파일:독일 국기.svg MF 율리안 브란트 Julian Brandt
13 파일:독일 국기.svg MF 파스칼 그로스 Pascal Groß
14 파일:독일 국기.svg FW 막시밀리안 바이어 Maximilian Beier
16 파일:벨기에 국기.svg FW 쥘리앵 뒤랑빌 Julian Duranville
17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MF 카니 추쿠에메카 Carney Chukwuemeka
20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MF 마르셀 자비처 Marcel Sabitzer
21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FW 파비우 실바 Fábio Sliva
23 파일:독일 국기.svg MF 엠레 잔 Emre Can C
24 파일:스웨덴 국기.svg DF 다니엘 스벤손 Daniel Svensson
25 파일:독일 국기.svg DF 니클라스 쥘레 Niklas Süle
26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DF 율리안 뤼에르손 Julian Ryerson
27 파일:독일 국기.svg FW 카림 아데예미 Karim Adeyemi
28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DF 아론 안셀미노 Aaron Anselmino [1]
30 파일:독일 국기.svg GK 파트리크 드레베스 Patrick Drewes
31 파일:독일 국기.svg GK 실라스 오스트신스키 Silas Ostrzinski
33 파일:독일 국기.svg GK 알렉산더 마이어 Alexander Meyer
37 파일:미국 국기.svg FW 콜 캠벨 Cole Campbell
39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DF 필리포 마네 Filippo Mané
42 파일:독일 국기.svg DF 알무게라 카바르 Almugera Kabar
구단 정보
감독 : 니코 코바치 / 홈 구장: 지그날 이두나 파크
출처: 분데스리가 공식 홈페이지, 트랜스퍼마켓 /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8월 21일

[1] 첼시 FC에서 임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E3657 15%, #C71E2E 15%, #C71E2E 85%, #2E3657 85%)"<table align=center><table width=250><table bordercolor=#C71E2E> 파일: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
스쿼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소속 클럽
GK 1 외르얀 뉠란
Ørjan Nyland
1990년 9월 10일 ([age(1990-09-10)]세) 65 0 파일:스페인 국기.svg 세비야 FC
12 마티아스 뒹겔란
Mathias Dyngeland
1995년 10월 7일 ([age(1995-10-07)]세) 1 0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SK 브란
13 에길 셀비크
Egil Selvik
1997년 7월 30일 ([age(1997-07-30)]세) 5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왓포드 FC
DF 2 마르쿠스 페데르센
Marcus Pedersen
2000년 7월 16일 ([age(2000-07-16)]세) 30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토리노 FC
3 크리스토페르 아예르
Kristoffer Ajer
1998년 4월 17일 ([age(1998-04-17)]세) 46 2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브렌트포드 FC
4 엘빈 헬란드
Eivind Helland
2005년 4월 25일 ([age(2005-04-25)]세) 1 0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SK 브란
5 데이비드 묄레르 올페
David Møller Wolfe
2002년 4월 23일 ([age(2002-04-23)]세) 16 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15 세바스티안 세불론센
Sebastian Sebulonsen
1996년 4월 2일 ([age(1996-04-02)]세) 1 0 파일:독일 국기.svg 1. FC 쾰른
17 토르비에른 헤겜
Torbjørn Heggem
2000년 7월 16일 ([age(2000-07-16)]세) 9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볼로냐 FC 1909
21 안드레아스 한체올센
Andreas Hanchen
1997년 1월 17일 ([age(1997-01-17)]세) 22 0 파일:독일 국기.svg 1. FSV 마인츠 05
X 율리안 뤼에르손
Julian Ryerson
1997년 11월 17일 ([age(1997-11-17)]세) 37 1 파일:독일 국기.svg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X 레오 외스티고르
Leo Østigård
1999년 11월 28일 ([age(1999-11-28)]세) 33 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제노아 CFC
X 프레데리크 비에르칸
Fredrik André Bjørkan
1998년 8월 21일 ([age(1998-08-21)]세) 16 1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FK 보되/글림트
MF 6 파트리크 베르그
Patrick Berg
1997년 11월 24일 ([age(1997-11-24)]세) 37 0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FK 보되/글림트
8 산데르 베르게
Sander Berge
1998년 2월 14일 ([age(1998-02-14)]세) 60 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풀럼 FC
10 안드레아스 시엘데루프
Andreas Schjelderup
2004년 6월 1일 ([age(2004-06-01)]세) 7 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SL 벤피카
16 스베레 뉘판
Sverre Nypan
2006년 12월 19일 ([age(2006-12-19)]세) 1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미들즈브러 FC
18 텔로 오스고르
Thelo Aasgaard
2002년 5월 2일 ([age(2002-05-02)]세) 5 5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레인저스 FC
19 아론 된눔
Aron Dønnum
1998년 4월 20일 ([age(1998-04-20)]세) 17 2 파일:프랑스 국기.svg 툴루즈 FC
20 안토니오 누사
Antonio Nusa
2005년 4월 17일 ([age(2005-04-17)]세) 18 6 파일:독일 국기.svg RB 라이프치히
22 오스카르 보브
Oscar Bobb
2003년 7월 12일 ([age(2003-07-12)]세) 14 2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맨체스터 시티 FC
23 크리스티안 아른스타
Kristian Arnstad
2003년 9월 7일 ([age(2003-09-07)]세) 1 0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오르후스 GF
X 마르틴 외데고르파일:주장 아이콘.svg
Martin Ødegaard
1998년 12월 17일 ([age(1998-12-17)]세) 67 4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아스날 FC
X 크리스티안 토르스트베트
Kristian Thorstvedt
1999년 3월 13일 ([age(1999-03-13)]세) 31 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US 사수올로 칼초
X 모르텐 토르스비
Morten Thorsby
1996년 5월 5일 ([age(1996-05-05)]세) 27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제노아 CFC
X 펠릭스 호른 뮈레
Felix Horn Myhre
2003년 4월 17일 ([age(2003-07-12)]세) 5 2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SK 브란
FW 7 아우네 헤게보
Aune Heggebø
2001년 7월 29일 ([age(2001-07-29)]세) 2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9 엘링 홀란드
Erling Haaland
2000년 7월 21일 ([age(2000-07-21)]세) 46 5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맨체스터 시티 FC
11 예르겐 스트란 라르센
Jørgen Strand Larsen
2000년 2월 6일 ([age(2000-02-06)]세) 23 3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X 알렉산데르 쇠를로트
Alexander Sørloth
1995년 12월 5일 ([age(1995-12-05)]세) 66 24 파일:스페인 국기.svg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일정 친선 경기 2025년 9월 5일(금)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2026 FIFA 월드컵 예선 조별리그 2025년 9월 10일(수)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6월 27일
}}}}}}}}} ||

[1] 0:33 본인 발음 노르웨이어로 이름을 발음하는데, 거의 '뤼어손'에 가깝게 발음한다.[2]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공식 프로필[3] 좌, 우측 모두 소화 가능하다.[4] 3백 측면 스토퍼 역할[5] 2025년 11월 17일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