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랑지구 실사영화 시리즈 | ||||
유랑지구 (2019) | → | 유랑지구2 (2023) | → | 유랑지구 3 (2027) |
1. 개요
중국에서 2023년 춘제연휴에 개봉한 SF 영화이다. 유랑지구의 속편이지만, 프리퀄이다.2. 예고편
3. 등장인물
한글 자막판에는 등장인물들이 한국한자음으로 나온다. 괄호안에 표기.- 한둬둬(한송이) (왕즈[1])
류페이창과 마찬가지로 중국인으로 UEG에 선발된 우주비행사 후보생. 그러니까 1편의 둬둬는 이 사람의 이름을 따서 지은 것이 된다.
- 장펑 (샤이)
우징의 상관.
- 투헝위(도항우) (유덕화)
DLP를 연구하는 양자 컴퓨터 과학자. 교통사고로 사망한 딸을 디지털 세계에서 부활시켜보려 한다.
- 투야야(도야야) (왕약희)
투헝위의 딸. 교통사고로 사망한 뒤, 디지털 세상에서 의식이 백업된 일종의 디지털 생명체 상태이다. AI와 비슷하면서도 다른 점은 자가 학습으로 정신과 지능이 성장한 것이 아니라 사망 시점의 투야야의 의식을 백업한 것이라는 점과 상업적 목적으로 생산되어 같은 이름을 지녔어도 다른 인격을 가질 수 있는 다른 AI와 달리 오직 투헝위 하나만을 위해 존재한다는 점이다. 모니터 화면상으로 나타난다.
- 마자오 (닝리)
투헝위의 동료과학자이자 상관
- 여성 테러리스트 두목 (클라라)
우주엘리베이터를 파괴하려고 잡입한 세 명의 테러리스트 중의 두목이다.
- 저우저즈 (리쉐젠)
UEG의 중국대사. 수많은 반대(주로 미국 정치인들이 태양의 적색왜성화를 근거없는 음모론으로 치부한다는 것이 언급된다.)를 무릅쓰고 UEG를 움직여 인류를 구하기 위한 유랑지구 계획을 지구적으로 추진하게 한다.
- 하오샤오시(효희) (주안만자)[2]
저우저즈의 비서.
4. 줄거리
기여자가 적고 영화가 3시간으로 길기 때문에 다소 오류가 있을 수 있음.4.1. 프롤로그
가까운 미래, 과학자들은 지구가 100년 후 적색거성이 되는 태양에 삼켜져 멸망할 것을 밝혀낸다. 지구에는 혼란이 닥치고 인류는 멸망의 위기에서 유래없이 단결하여 UN(국제연합)을 UEG(United Earth Government, 지구 통합 정부)로 개편하여 지구에 행성 엔진을 달아 알파 센타우리로 옮긴다는 "움직이는 산 프로젝트(Moving Mountain project)"를 마련하여 이를 실행할 준비를 진행한다. 이에 병행하여 지구의 움직임의 방해가 될 수 있는 달 또한 이동시키기 위해 "달 추방 프로젝트(Lunar Exile Project)"도 추진된다.한편 인류를 신체의 구속에서 해방시켜 인간의 영혼을 디지털 세계에 업로드시켜 부활시키려는 디지털 라이프 프로젝트(Digital Life Project, DLP)가 진행되었으나 UEG는 이를 금지하고 이에 종사하는 과학자들을 유랑지구 계획에 전속시킨다.
4.2. 2044년 우주 엘리베이터 위기
유랑지구 계획을 위해 선발된 여러 국적의 우주비행사 중 류페이창은 같이 선발된 후보생 한둬둬와 함께 지내며 썸을 탄다.금지에 반발하는 잔존 디지털 라이프 세력은 유랑지구 계획을 좌초시키기 위해 지상 기지에 테러를 가한다. 류페이창, 한둬둬 및 다른 후보생들이 테러를 저지한다.
UEG는 유랑지구 계획에 앞서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달에 행성 엔진을 달아 지구로부터 떨어뜨린다는 이산(移山)[3] 계획을 마련하는데, 여기 참여하게 된 과학자는 투헝위였다. 투헝위는 양자컴퓨터 550a로 디지털 라이프 프로젝트를 몰래 연구하고 있는데...
얼마 후 가봉의 수도 리브르빌에 위치한 우주 엘리베이터의 지상 기지에서 사건이 발생한다. 모든 우주 엘리베이터와 전투용 드론이 해킹되었고 해킹된 우주 엘리베이터는 정거장으로 가고 드론들은 무차별적으로 사람을 공격한다. 지상이 그렇게 개판 5분 전일 때 류페이창의 캐빈02에서도 테러리스트가 깽판을 치고 있었다. 해킹된 드론으로 원격 폭탄을 엘리베이터에 단 뒤 적절한 시기에 캐빈 내의 테러리스트가 폭발시켜 우주정거장을 추락시키려는 음모임이 밝혀진다.
그때 지상관제탑에서는 우주 엘리베이터를 살리고 드론의 지휘 체계를 복구하고자 550c를 사용한다. 550c는 운영체계 실시간 구축이 되는 인공지능 양자 컴퓨터이다. 몇 분 후 운영 체계 생성을 끝넨 550c덕에 관제부는 드론의 전원을 끄고 우주 엘리베이터를 다시 지구로 복귀시킨다.
류페이창과 일행도 캐빈 내의 테러리스트를 제압하는 데에 성공하고 한둬둬에게 꽃다발로 프로포즈도 한다.
하지만 결국 우주 정거장은 추락하고 만다.
4.3. 달 추방 프로젝트
이러다 결국 움직이는 산 프로젝트가 실패하는 것 아니냐며 디지털 라이프 프로젝트의 재개가 논의된다. 100년 뒤의 일, 그것도 어쩌면 정부의 거짓부렁일지도 모르는 일을 대비하기 위해 지금 당장 세금 내기 싫다는 이유로... 정치적 분쟁이 이루어지다가 중국이 단독으로으로 시험 운행까지는 시도해보기로 합의된다.달의 투헝위는 달 엔진 시험 운전을 위해 550c를 받지만 무언가 석연잖은 이유로 일찍 찾아온 태양 폭풍으로 인해 손상된다. 이후 투헝위는 자신이 보관 및 사용중이던 550a를 제공하는 대신 550 시리즈의 개발 참여를 보장받는다. 투헝위는 550a의 자신의 사망한 딸 야야의 의식을 넣어 대화하고 있었는데, 하드웨어의 한계상 2분밖에 대화를 하지 못하고 있던 상황이었다. 애초에 디지털 라이프 프로젝트는 불법이기도 하고.
달 엔진도 성공하고 지구 엔진도 성공하여 이제 움직이는 산 프로젝트는 전 세계적인 지지를 받고 공식적으로 "유랑지구 프로젝트(Wandering Earth Project)"로 개명된다.
4.4. 2058년 달 추락 위기
이후 14년 동안 적도 근처의 7,000개가 넘는 엔진이 건설되어 지구의 자전을 멈추려고 한다. 또한 그 아래의 지하 기지가 건설되어 태양으로부터 멀어져 추워진 지표면으로부터 대피하려고 한다. 이 모든 과정을 550c, 550w이 감독하고 있고 휴머노이드 로봇 덕분에 생산력이 비약적으로 증대된다. 이 과정에서 "Lunch atop a Skyscraper"과 비슷한 장면도 나오는데 다소 노골적이라 오히려 싸구려로 보인다... 아무튼 증대된 생산력에도 지하 기지의 여건상 50%의 인구만이 대피할 수 있다.류페이창은 한둬둬와 결혼해 아들 류치를 얻는다. 시간이 흐르면서 태양 복사량이 급증하고 인구의 상당수가 암에 걸리게 되고 한둬둬 역시 암에 걸린다. 지하 기지 추첨 티켓은 류페이창과 동행인으로서의 류치만 얻고 한둬둬는 얻지 못한다.
류페이창은 추가 자리를 얻기 위해 내비게이터 국제우주정거장(Navigator ISS)에 지원한다. 로봇팔+CCTV처럼 생긴 550w는 "와이프는 어차피 죽을 텐데 아들을 데려가면 부양인 자격으로 삼촌도 데려갈 수 있는데 개이득 아님?"이라며 압박 면접 겸 패드립을 치자 류페이창은 화를 참지 못하고 분노를 터트리고 만다.
중국과 세계 각국의 정보기관은 무언가 기묘하고 낯선 데이터 분리 작업을 통해 2044년 공격에 대한 정보 받은 바 있다. 그런데 2058년 공격에 대한 정보 역시 발견되었고 이에 대한 우려가 커진다.
류페이창의 폭발을 지켜보던 과학자 투헝위는 가족 생각이 났는지 550w에 딸 야야의 의식을 업로드하고자 한다. 밤 몰래 침입하여 업로드 하던 도중 군인, 경비가 찾아오지만 결국 업로드는 완료되었고 투헝위는 체포된다.
알 수 없는 이유(당연히 야야, 550w와 관계있다.)로 달의 엔진이 오작동하여 오히려 지구를 향해 떨어지는, 달 추락 위기가 시작된다.
4.5. 핵폭탄 프로젝트
UEG는 핵무기를 사용해 달을 터트리려고 한다. 핵만으로 달을 터트리는 건 아니고 도화선처럼 달의 중심에서 핵융합을 유도하려는 계획이다. 폭발 이후 30분 내에 지구 엔진이 가동되면 파편으로부터 벗어나 안전할 수 있다. 한편 다시금 기묘한 경로를 통해 전세계의 핵무기에 대한 정보가 들어온다.그러나 위기가 갑작스러웠던 탓에 지구 엔진을 잇는 전용 제어망이 완성되지 않은 상태였다. 따라서 도쿄, 베이징, 달라스에 위치한 루트 서버 데이터 센터를 재부팅하여 오랫동안 차단되었던 인터넷을 재가동 후 이를 제어망으로 활용하려는 계획이 시작되었다. 투헝위는 이 프로젝트에 합류하여 베이징 루트 서버 재가동 작업에 투입된다.
류페이창은 달에 핵무기를 배치하는 임무에 투입된다. 폭발한 달 엔진으로부터 날아오는 파편에 수많은 비행사가 희생되고 핵무기가 파괴된다. 류페이창도 충돌 이후 불시착을 한다. 근처의 버려진 연구 기지에서 착륙선을 발견하게 되고 동료들은 거짓말을 통해 태워 국제정거장에 보낸 뒤 자신은 다시 핵무기 배치를 위해 작업한다.
한편 지구의 UEG는 핵 암호 해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개수는 많은데 나라마다 체계가 다르고 암호가 기록되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렇게 시간이 흘러 달이 로슈 한계에 도달하여 파편이 지구를 향해 쏟아질 위기에 처한다.
이 무렵 달 파편은 이미 지구에 충돌하기 시작했고 베이징의 데이터 센터에도 떨어져 내부가 침수되고 만다. 다른 모든 일행이 죽은 뒤 마지막까지 복구를 위해 열심히 노력하던 투헝위도 결국 복구를 실패한 채 무언가를 한 뒤 익사하고 만다.
UEG는 결국 암호 해독에 실패하여 결국 핵무기는 원격 동작이 아닌 수동 폭발로 터트리는 것으로 계획이 변경된다. 다른 데이터 센터 팀으로부터 성공 연락이 오지만 베이징 팀으로부터는 연락이 오지 않는다. 핵이 폭발해도 지구를 이동시키지 못하면 어차피 실패이기 때문에 사령관은 분노하며 중국을 탓한다. 중국 대사는 중국인은 결코 실패하지 않는다며 자신을 믿고 핵무기를 터트리라고 말한다.
50세 이상의 우주비행사 300명이 자살 임무에 자원한다. 핵폭파 카운트 다운을 받은 뒤 핵을 폭파시키는 데에 성공한다. 류페이창은 이번에는 반대로 맨 처음부터 본인과 알고지내던 동료의 거짓말 덕분에 버려진 러시아 수송선을 타고 국제정거장으로 귀환한다.
하지만 사실 투헝위는 익사하기 직전 자신의 의식을 네트워크에 업로드했던 것이었다. 야야와 재회한 투헝위의 디지털 의식은 수 백, 수 천 자리의 무작위 비밀번호를 외우고 있던 야야의 도움으로 마지막 남은 인터넷 서버를 제때 재부팅할 수 있었고 지구 엔진을 가동하는 데에 성공한다.
그리하여 유랑지구 프로젝트는 성공하였고 이제 지구는 공식적으로 목성을 향해 여정을 떠난다.
4.6. 결말, 클로징 크레딧, 쿠키 영상
지구는 태양과 목성을 스윙바이하며 속도를 높이다가 알파 센타우리에 도달할 것이라는 자막이 나온다.크레딧의 초반부, 화려한 미술 스타일로 인류의 발전사가 묘사된다.
일반적인 클로징 크레딧이 나온다.
쿠키 영상이 나온다. 야야와 함께 있는 2075년의 투헝위에게 "모스"(의인화된 550w. 뒤집어보면 moss)가 말을 건다. 2044년 우주 엘리베이터 위기, 2058년 달 추락 위기, 2075년 목성 인력 위기(=유랑지구), 2078년 태양 헬륨 플래시 위기를 언급하며 자신이 이를 일으켰다고 말한다. 왜 이러냐고 투헝위가 묻자 인류의 집착 해소를 위해서라고 답하고 죽음에 대한 해석이 다르다고 말한다.
5. 흥행
2023년 개봉 영화 전 세계 박스오피스 Top 10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fff,#373a3c> 순위 | 제목 | 감독 | 제작국 | 장르 | 박스오피스 |
1 | 바비 | 그레타 거윅 | 미국 | 모험, 블랙 코미디, 판타지 | $1,435,510,498 | |
2 |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 아론 호바스, 마이클 제레닉 | 미국, 일본 | 애니메이션, 모험, 코미디, 가족 | $1,363,400,036 | |
3 | 오펜하이머 | 크리스토퍼 놀란 | 미국, 영국 | 시대극, 전기, 드라마, 정치 | $960,625,482 | |
4 |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 | 제임스 건 | 미국 | 슈퍼히어로, SF, 액션, 모험 | $845,468,744 | |
5 | 분노의 질주: 라이드 오어 다이 | 루이 르테리에 | 미국 | 범죄, 액션, 가족 | $714,582,375 | |
6 | 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 | 호아킴 도스 산토스, 켐프 파워스, 저스틴 K. 톰슨 | 미국 | 애니메이션, 슈퍼히어로, 액션, SF | $681,812,736 | |
7 | 만강홍: 사라진 밀서 | 장이머우 | 중국 | 코미디, 미스터리 | $634,631,282 | |
8 | 웡카 | 폴 킹 | 미국, 영국 | 판타지, 뮤지컬, 코미디 | $618,313,424 | |
9 | 유랑지구2 | 궈판 | 중국 | SF, 액션 | $604,460,538 | |
10 |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 크리스토퍼 맥쿼리 | 미국 | 액션, 첩보, 스릴러 | $570,619,838 | |
출처: The Numbers, 기준일: 2024년 2월 29일 | }}}}}}}}} |
자국 흥행으로 6억 달러의 수익을 돌파했다.
6. 평가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IMDb=tt13539646, IMDb_user=6.7, IMDb_highlight=display,
로튼토마토=the_wandering_earth_ii, 로튼토마토_tomato=83, 로튼토마토_popcorn=97, 로튼토마토_highlight=display,
도우반=35267208, 도우반_user=8.3, 도우반_highlight=display,
왓챠=mWz3ygP, 왓챠_user=2.8, 왓챠_highlight=display,
- 전편과 분위기가 다르다. 종말이 임박한 미래의 디스토피아적 모습이 확실히 나온다. SF로는 전편보다 좀 더 본격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 내용이 상당히 난해하다. 복잡하진 않지만 방대한 스토리에 사전 설명 없이 스토리가 전개된다.
예를 들어 디지털 라이프 프로젝트는 작품에 상당히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데 소개는 맨 처음 한 씬으로 떼우고 이후에는 활용만 되고, 후반부에는 인터넷이 차단되었다는 언급 없이 이를 해제한다는 내용만 나오고, 꾸준히 묘사되는 인류에게 도움이 되는 알 수 없는 정보는 형식은커녕 출처조차 결국 밝혀지지 않으며, 컴퓨터 모스가 왜 이러는지도 밝혀지지 않는다.
모스의 경우 유랑지구에서는 악역으로 묘사되기는 하지만 나름의 정의로운, 확률론에 입각한 더 많은 사람을 살리겠다는 이유가 있었는데 여기서는 그런 것 없이 그냥 인류를 죽이려고 작정을 한 듯하다. 쿠키 영상으로 나름의 입장 표명을 하긴 하는데 난해하기만 하다. - 이 작품은 우주비행사 류페이창, 컴퓨터 과학자 투헝위, UEG(UN의 후신) 대사 저우저즈 세 사람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세 이야기는 같이 또 따로 진행되다가 마지막에 유랑지구 프로젝트로 수렴한다.
따로 분리해 본다면 투헝위 에피소드는 SF로서는 상당한 수작이다. 문제는 유랑지구/류페이창에게 먹힌다는 점이다. 애초에 제목부터가 유랑지구이고 디지털 자아, 도덕과 법률, 사랑 등은 세 에피소드 중 하나로만 다뤄지기에는 너무 무거운 주제다. - 유랑지구1은 중뽕이 그렇게 신경쓰이게 나오지는 않았는데 2편은 정치적인 얘기가 포함되서인지 중뽕이 엄청나게 나오고 스토리도 부족한 구석이 확실히 많아졌다. 예로 유랑지구 프로젝트 이름을 중국이 마음대로 바꾼다던지 인류의 절반만 살린다는 계획에서 중국이 반대했다든지 1편에 비해 중국 영화의 느낌이 더 진하게 난다. 그리고 미국인을 자신감만 넘치고 실제로는 아무것도 못하는 사람으로 표현한다든지 러시아는 좋게 포장한다든지...
- 후반부의 군인들이 자살 임무에 투입되느 장면들은 다소 권위주의적으로 보인다. 1편에서는 애초에 군인도 아니었고 군인임을 강조하지도 않아 중국애가 아닌 인류애로 읽혔지만, 2편에서는 사열 이후 경례까지 이루어진다.
- 유랑지구1과 마찬가지로 미국, 유럽이 아닌 다른 국가도 많이 볼 수 있다. 미국 영화, 한국 영화를 주로 보는 한국 관객에게는 시작부터 나오는 가봉의 도시라든지 비중있는 러시아인 조연의 존재는 그 자체가 신선하다.
7. 기타
- 1편에서 한둬둬의 아버지 역을 맡아 2021년에 사망한 오맹달이 CG로 등장한다. 이는 유족의 허락을 받아 넣은 것이라고 한다.
- 1편의 설정에서 바뀐 부분이 나온다. 1편의 설정은 태양이 수십 년 만에 적색거성으로 변할 것이라는 것이었는데 2편에서 100년으로 바뀌었다.
- 2025년 초 한국 넷플릭스에서 시청하면 중간중간 "XXX 위기 n일 전" 자막이 계속 떠서 서스펜스를 반감시킨다. 극장판이나 다른 판본도 이런지는 미지수다.
- 쿠키 영상이 1개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