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28 11:57:45

원펀맨(애니메이션 3기)


파일:원펀맨 한글 로고1.png
줄거리 (연표) | 등장인물 | 히어로 (S급·A급·B급·C급·순위 불명) | 괴인 (재해 레벨) | 설정 (도시 · · 히어로 협회 · 무술) | 비판
애니메이션 (TVA 1기 · TVA 2기 · TVA 3기 · 변경 및 추가 요소)
게임 (원펀맨 어 히어로 노바디 노우즈 · 원펀맨: 최강의 남자)
원펀맨 3기 (2025)
ワンパンマン 第3期
ONE-PUNCH MAN Season 3
<nopad> 파일:원펀맨 3기 키 비주얼_대한민국.jpg
{{{#010101,#01010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ffd700,#ffd700><colcolor=#010101,#010101> 장르 히어로, 액션, 개그
원작 ONE
무라타 유스케
감독 나가이 신페이
시리즈 구성 스즈키 토모히로
캐릭터 디자인 쿠보타 치카시
쿠로다 신지로(黒田新次郎)
시라카와 료스케(白川亮介)
서브 디자인 하코다 나나미(箱田ななみ)
오자와 카즈노리
크리처 디자인 진구지 노리유키(神宮司則之)
미술 감독 무라카미 사쿠라(村上さくら)
색채 설계 타나하시 마유미(店橋真弓)
촬영 감독 히로세 유키(廣瀬唯希)
편집 고토 마사히로(後藤正浩)
음향 감독 이와나미 요시카즈
음악 미야자키 마코토(宮崎 誠)
음악 제작 란티스
기획 나카요시 하루토(仲吉治人)
이토 타카유키(伊藤隆行)
마에다 마모루(前田 衛)
유미야 마사노리(弓矢政法)
우스이 쇼타로(薄井勝太郎)
마츠다 준스케(松田準典)
사노 준코(佐野順子)
우사 요시키(宇佐義大)
프로듀서 마츠이 치나츠(松井千夏)
오오이시 준코(大石淳子)
카와무라 타카유키(川村貴之)
애니메이션 제작총괄 마츠쿠라 유지
애니메이션 제작
프로듀서
후지시로 아츠시(藤代敦士)
애니메이션 제작 J.C.STAFF
제작 히어로 협회 본부
방영 기간 2025. 10. 12.[1] ~ 방영 중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테레비 도쿄 / (일) 23:4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애니플러스[2] / (화) 01:00
스트리밍
[[Laftel|
LAFTEL
]]
#!if 링크 != null
[[https://laftel.net/item/43396|▶]]
#!if 주석 != null
^^^^
#!if 링크1 != null
[[https://laftel.net/item/|▶]]
#!if 주석1 != null
^^^^
#!if 링크2 != null
, [[https://laftel.net/item/|▶]]
#!if 주석2 != null
^^^^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화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주제, 폭력성, 언어)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1. 개요2. 공개 정보
2.1. PV
2.1.1. 본편
2.2. 키 비주얼
3. 등장인물4. 설정5. 주제가
5.1. OP5.2. ED
6. 회차 목록7. 평가
7.1. 방영 전7.2. 방영 후7.3. 총평
8. 논란
8.1. 제작진 사이버불링

1. 개요

일본의 만화 원펀맨을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시리즈 중 제3기. 제작사는 J.C.STAFF, 감독은 나가이 신페이[3], 방영 시기는 2025년 10월.

2. 공개 정보

  • 2022년 8월 18일 오후 12시, 공식 계정에서 티저 비주얼[4]과 함께 제3기 제작을 발표하였다.#
  • 2024년 3월 1일, 특보로 제작진의 정보가 일부 공개되었다. 감독은 미정이지만 제작사 및 시리즈 구성, 캐릭터 디자인, 음악은 2기와 그대로 간다고 밝혔다.
  • 전작 2기의 프로듀서인 후지시로 아츠시(藤代敦士)는 인터뷰에서 자신이 이 작품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직책은 불명.
  • 2025년 9월 3일, 제작진이 온전히 밝혀졌으며, 15초 CM이 공개되었다. 감독은 나가이 신페이가 담당한다.

2.1. PV

2.1.1. 본편

특보
PV 제1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PV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d700,#ffd700><colcolor=#000000,#000000> 작화감독 오자와 카즈노리
1인 원화
}}}}}}}}} ||
PV 제2탄

====# 캐릭터 #====
<rowcolor=#010101,#010101> 히어로 PV #01
사이타마
히어로 PV #02
히어로 PV #03
제노스
히어로 PV #04
지옥의 후부키
<rowcolor=#010101,#010101> 히어로 PV #05
실버팽
히어로 PV #06
전율의 타츠마키
히어로 PV #07
아토믹 사무라이
히어로 PV #08
동제
<rowcolor=#010101,#010101> 히어로 PV #09
좀비맨
히어로 PV #10
돈신
히어로 PV #11
초합금 쿠로비카리
히어로 PV #12
섬광의 플래시
<rowcolor=#010101,#010101> 히어로 PV #13
탱글탱글 프리즈너
히어로 PV #14
꽃미남 가면 아마이마스크

===# CM #===
15초 선전 CM

2.2. 키 비주얼

파일:원펀맨 3기 티저비주얼.webp 파일:원펀맨 3기 키 비주얼 최공 Ver..jpg 파일:원펀맨 3기 키 비주얼 최강 Ver..jpg
<rowcolor=#000000,#000000> 티저 비주얼 키 비주얼 (최공 Ver.)[a] 키 비주얼 (최강 Ver.)[a]
파일:원펀맨 3기 키 비주얼 최강 VS 최공 Ver..jpg
키 비주얼 (최강 VS 최공 Ver.)[a]

====# 히어로 비주얼 #====
파일:원펀맨3기사이타마.png 파일:원펀맨3기킹.png 파일:원펀맨3기제노스.png 파일:원펀맨3기후부키.png
<rowcolor=#010101,#010101> 사이타마 제노스 지옥의 후부키
파일:원펀맨3기실버팽.png 파일:원펀맨3기타츠마키.png 파일:원펀맨3기아토믹사무라이2.jpg 파일:원펀맨3기동제.jpg
<rowcolor=#010101,#010101> 실버팽 전율의 타츠마키 아토믹 사무라이 동제
파일:원펀맨3기좀비맨.jpg 파일:원펀맨3기돈신.jpg 파일:원펀맨3기쿠로비카리.jpg 파일:원펀맨3기플래시.jpg
<rowcolor=#010101,#010101> 좀비맨 돈신 초합금 쿠로비카리 섬광의 플래시
파일:원펀맨3기탱글탱글프리즈너.jpg 파일:원펀맨3기아마이마스크.jpg
<rowcolor=#010101,#010101> 탱글탱글 프리즈너 꽃미남 가면 아마이마스크

====# 괴인 비주얼 #====
파일:원펀맨3기오로치.png 파일:원펀맨3기교로교로.png 파일:원펀맨3기검은정자.png 파일:원펀맨3기홈리스황제.png
<rowcolor=#010101,#010101> 괴인왕 오로치 교로교로 검은 정자 홈리스 황제
파일:원펀맨3기이블천연수.png 파일:원펀맨3기추남대총통.png 파일:원펀맨3기하구키.png 파일:원펀맨3기포치.png
<rowcolor=#010101,#010101> 이블 천연수 추남 대총통 하구키 지나치게 거대해진 포치
파일:원펀맨3기냐앙.png 파일:원펀맨3기가로우.jpg
<rowcolor=#010101,#010101> 냐앙 가로우

3.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원펀맨/등장인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원펀맨/등장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원펀맨/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설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원펀맨/설정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원펀맨/설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원펀맨/설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주제가

5.1. OP

OP
Get No Satisfied!
TV ver.
Full ver.
<colbgcolor=#ffd700,#ffd700><colcolor=#010101,#010101> 노래 JAM Project feat. BABYMETAL
작사 카게야마 히로노부
작곡
편곡 TLI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d700,#ffd700><colcolor=#010101,#010101> 콘티 하사코 카이(羽迫 凱)
연출
작화감독 츠즈키 유카코(都築裕佳子)
오노 카즈미(小野和美)
총 작화감독 하세가와 신야
원화 오바 밴, 아오키 켄이치로
}}}}}}}}} ||

5.2. ED

ED
そこに有る灯り
그곳에 있는 불빛
TV ver.
MV ver.
Full ver.
<colbgcolor=#ffd700,#ffd700><colcolor=#010101,#010101> 노래 후루카와 마코토
작사 이소타니 요시에(磯谷佳江)
작곡 혼다 유키(本多友紀)
편곡 미즈노야 레이(水野谷 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d700,#ffd700><colcolor=#010101,#010101> 콘티 하사코 카이(羽迫 凱)
연출
원화 카와무라 아카리(河村あかり)
}}}}}}}}} ||

6. 회차 목록

<rowcolor=#010101,#010101> 회차 제목[8] 콘티 연출 작화감독 총작화감독 방영일
#25[9] 作戦の会議
작전 회의
나가이 신페이 이시다 미유키
(石田美由紀)
오노 카즈미
(小野和美)
츠즈키 유카코
(都築裕佳子)
오노 카즈미 日: 2025.10.12.
韓: 2025.10.21.
#26 怪人の条件
괴인의 조건
타나카 히카루
(田中 瑛)
오노 카즈미
코마츠 카나에
(小松香苗)
홍범석
(洪範錫)
나카야마 유미
(中山由美)
日: 2025.10.19.
韓: 2025.10.28.
#27[10] 生物の限界
생물의 한계
오타니 마사히토
(雄谷将仁)
미야자키 슈지
(宮崎修治)
但伊楊
王瑞浩
王家梁
杜明ぜい
楊国慶
陳瑜
李茹雪
葛欢
葛玉東
岸影動画
Anime Infinite
日: 2025.10.26.
韓: 2025.11.04.
#28 反撃の狼煙
반격의 봉화
후지와라 카즈마사
(藤原和々)
츠즈키 유카코
김정남
(金正男)
카와무라 아카리
(河村あかり)
미나미 쇼타
(南 翔太)
하세가와 신야 日: 2025.11.02.
韓: 2025.11.11.
#29[11] 怪人の王
괴인의 왕
소쿠자 마코토
(則座 誠)
나카야마 유미
시미즈 소라토
서채영
강수정
방효진
Indiana Souf
Korti Arts
Salim Gallow
Triple A
미나미 쇼타
日: 2025.11.09.
韓: 2025.11.18.
#30[12] 不揃いのヒーローたち
오합지졸 히어로들
니시무라 타이키
(西村大樹)
沈陶裔
董立則
罗睿
陈亮
郁慧云
王经国
周乐谣
林夏洲
张倩茹
오노 카즈미 日: 2025.11.16.
韓: 2025.11.25.
#31 後の先
카운터
Omar Vallejos
나가이 신페이
미야자키 슈지 코마츠 카나에
홍범석
츠즈키 유카코
서채영
나카자키 모에카
(中崎萌佳)
Triple A
鹿角映画
Orangestudio
Kiwi animation studio
七彩動画
studio cat
岸影動画
하세가와 신야 日: 2025.11.23.
韓: 2025.
#32 忍の券
日: 2025.11.30.
韓: 2025.

7. 평가

7.1. 방영 전

애니메이션 제작사가 2기를 담당했던 J.C.STAFF로 그대로 유지되었는데, 2기에서 평이 좋지 않았던 음향 연출, 과도한 그라데이션 효과, 들쭉날쭉한 전투 퀄리티와 작붕 등의 요인들로 인해 제작사 유지에 대한 반응은 좋지 않다.

2025년 3월 7일 오후 12시에 PV 제1탄이 공개되었다. PV를 본 대다수 팬들의 반응은 혹평인데, 인물 작화는 좋지만 대부분이 정지 컷이었고 원펀맨이라는 작품과 맞지 않는 너무 맑은 색채, 낮아진 전투씬의 퀄리티 등이 팬들의 분노를 불러일으켰다. 다만 이번 PV 작화감독인 오자와 카즈노리의 말에 따르면 PV 제1탄은 1인 원화라고 말하여 사전 제작 PV일 수도 있다는 추측[13]이 생겼다.

이후 감독이 나가이 신페이로 발표되자 팬덤은 절망에 빠졌다. 나가이 감독은 주로 초단편/단편 위주로 활동하여 본작 전까지는 24분짜리 정규 시리즈 감독을 해본 적이 없고, 감독과 연출 커리어도 액션과 거리가 먼 일상물이나 에로성 높은 작품들밖에 없으며, 연출 커리어 내내 동적인 연출을 보여준 바도 없기 때문이다. 즉 여러모로 원펀맨이라는 작품과 최악의 상성을 자랑하는 감독이 배정된 셈이다. 거기다 나가이는 한 번 애니메이션 업계를 은퇴했다가 복귀하여 콘티 연출가로 활동하고 있기에, 1기의 퀄리티 때문에 다른 감독들이 죄다 고사해서 나가이가 짬처리를 당한 게 아니냐는 추측이 있다.[14] 아무튼 시즌별 감독 면면만 놓고 보자면 1기는 물론이고 2기보다도 전망이 암울하다고 볼 수 있다. 또 같은 분기에 방영하는 동 제작사 작품인 믿었던 동료들에게 던전 오지에서 살해당할 뻔했지만 기프트 『무한 뽑기』로 레벨 9999의 동료들을 손에 넣어 전 파티 멤버와 세계에 복수&『참교육!』합니다!의 제작 프로듀서가 J.C STAFF의 1군을 자주 기용하고 액션 작화를 잘하는 애니메이터와 인맥이 있는 스즈키 카오루(鈴木 薫)로 밝혀지면서 이쪽에 1군 애니메이터가 몰릴 가능성이 생겨 더욱 작화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이에 나가이 감독은 X에 입장을 표명했는데, # 자신은 3D와 2D를 접목한 하이브리드 연출을 지향한다며 팬들이 원하는 연출과 상성이 맞지 않을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밝히고 또 자기 자신이 유명하지 않은 만큼 그동안 이름을 드러내지 않도록 요청했다고 한다. 이에 팬들은 감독의 해명에 수긍하여 퀄리티 기대치를 낮추고 감독을 응원하는 반응이다. 한편으로는 나가이 감독의 연출 경력을 보면 액션 작품이 없을 뿐 콘티로 참여한 에피소드에서 딱히 비판을 받은 적은 없었기에 혹시 모를 가능성을 믿어본다는 반응도 있다.

다만 원작의 인기가 1기 제작 당시만큼 폭발적이지 않아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제작 상황이 순탄치 않다는 현실에도 불구하고 서양 팬들의 작화에 대한 기대치가 이상하리만치 높은 만큼 진격의 거인 The Final Season처럼 제작진에 대한 사이버 불링이 우려되는데, 이미 ONE PNG MAN이라는 멸칭을 붙여 장면을 PNG 이미지 한장으로 때웠다는 누명을 씌우는 중이다. 현실적으로 TV로 방영되는 애니메이션에서 인물이 모든 장면에서 시시각각 움직일 수는 없으며 이는 극장판에서도 불가능한 부분이다.

그나마 팬들이 동아줄이라도 붙잡고 있는 것은 J.C.STAFF의 액션 애니메이터로 알려진 아오키 켄이치로로, 2기처럼 전반적인 액션 감수 역할을 수행하며 참가해주면 그나마 볼만한 액션이 나올 것이라고 믿고 있다. 하지만 아오키가 3기에 참가하는 비중이 적거나 없다면 1기와 2기에 비해 절망적인 수준으로 퀄리티가 처참해질 수 있다. JC의 원펀맨 2기에서 연출로 유일하게 호평 받았고, 기동전사 건담 수성의 마녀 부감독으로 발탁될 정도의 실력자인 안도 료 감독의 마왕 2099에서도 베테랑 애니메이터만 기용했기에 실력있는 젊은 프리랜서 인력을 기대하긴 어려워 보인다. 그러므로 JC의 정직원인 아오키 켄이치로의 참여 비중이 높을지 이목이 집중된다.

7.2. 방영 후

오프닝의 퀄리티는 나쁘지 않다는 반응이 많으며, 오프닝 후반부 퀄리티는 대부분 호평한다.[15][16] 실제로 오프닝은 오바 밴아오키 켄이치로가 액션을 담당한 파트가 많다. 다만 시작 부분에 2기에서 나온 사이타마의 진심 펀치를 그대로 갖고 왔으며, 일부 유명 애니메이션의 주제가 연출을 거의 그대로 가져와[17] 이에 대한 비판도 있었다.

일단 25화(3기 1화)는 굵은 선과 얼굴 표현, 디테일 표현 등 인물 작화는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뽑혀주었다. 색감과 촬영도 2기보다 훨씬 나아진 모습이며 대부분의 장면에서 그림체가 매우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문제는 움직이는 장면이 손에 꼽을 정도로 없다. 당연히 아예 정지화면인 것은 아니고 필요한 동작들은 전부 표현이 되었다. 하지만 만화책을 토씨 하나 안틀리고 옮겨놓은 수준이라 동작과 동작 간의 이읆새가 좋지 못하고 사실상 아오키 켄이치로가 그려낸 씬을 빼면 거의 정지 화면이라 봐도 무방하며 그렇다고 작화는 최소한으로 쓰되 적은 움직임으로 눈속임하는 연출적 기교가 들어가 있지도 않다. 액션 씬이 없고 빌드업을 하는 구간이라 하더라도 워낙 움직이는 장면이 없어 '원프레임맨'이라는 별명이 생길 지경. # 가히 같은 제작사 중 백 스트리트 걸스: 조폭 아이돌, 극주부도 시리즈 수준으로 움직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18]

또한 짧게 끝낼 부분은 길게 가져가고 길게 가져가야 할 부분은 매우 짧게 끝내는 이해할 수 없는 연출도 비판받고 있으며, 키리사킹괴인공주 초S의 대치 장면이 삭제되어 많은 사람들이 아쉬워했다. 결국 원펀맨답지 않게 24분 내내 지루하다는 혹평이 다수였으며, 시리즈 중 가장 호평받는 1기는 물론 2기도 일상씬을 지루하지 않게 연출하고 전개를 어색하지 않게 각색한 것을 보면 만화책을 거의 그대로 옮겨놓은 수준의 3기는 구성이 썩 좋지 못하다고 할 수 있다.

26화(3기 2화) 또한 인물 작화는 높은 수준으로 뽑혔다. 하지만 군중들의 시위 장면도 아무 움직임 없이 정지 화면 스크롤로만 40초 가량 때웠고, # 사이타마의 달리는 장면, 모브가 칼 들고 설치는 장면 등 모두 어색함의 극치라 많은 비판을 받았다. 거기다 가로우가 언덕을 스르륵 내려오는 장면은 황당함 그 자체라고 볼 수 있는데 미끄러져 내려오는 것이 맞긴 하나 흙먼지가 흩날린다거나 하는 표현이 거의 없고,[19] 움직임에 원근법이 적용되지 않는 데다가 가속도도 묘사되지 않아 등속으로 느리게 움직인다. 거기다 방향도 묘하게 움직이는 쪽과 달라서 엄청난 위화감이 있다. 한마디로 완전히 연출 실패다. 이 때문에 서구권에선 문워크, Virtual Insanity, 원슬라이드맨, 원 프레임 맨 등이라 불리며 밈이 되었다. #

액션신의 시작인 키리사킹이 타레오에게 칼을 내밀며 달려드는 장면의 경우 만화에서는 키리사킹의 공격 시전을 한 컷으로 마무리해 다음 장면에서 바로 가로우가 칼을 막아 액션의 강세가 죽지 않지만 애니화에서는 시간 때우기인지 키리사킹의 공격 시전 시간을 과도하게 길게 보여줘서 리메이크판에서 보여주었던 타레오의 위기의 순간에서 강세가 죽어버렸다. 그래도 키리사킹의 위험성과 가로우유수암쇄권은 속도가 느린 것을 빼면 묘사가 나쁘지 않고 부드럽다는 등 호평도 많다.

특이사항으로는 유수암쇄권의 묘사와 효과음이 완전 바뀌었다. 2기에서의 효과음에 대한 비판을 의식해서인지 효과음은 아예 뜯어 고친 것으로 보이는데 이에 대한 호불호가 갈리는 중이다. 물이 흐르는 듯한 효과음이 자연스럽다기 보단 이질적으로 느껴진다는 평이 존재한다. 유수암쇄권의 묘사 같은 경우 주술회전의 주력처럼 굵은 외곽선이 추가되었는데 2기에서의 유수암쇄권이 워낙 자연스럽게 뽑혔기에 이런 표현에 대해서도 호불호가 갈리는 중.

27화(3기 3화)에 와서는 그나마 희망을 놓지 않던 분위기도 전부 사그라들 정도로 비판의 강도가 거세졌다. 액션이 본격적으로 나오기 시작하는 회차인데 일단 연출된 액션씬들 모두 이펙트는 적절하게 들어 있으며, 많이 움직이기는 하지만 그것들이 전부일 정도로 화면 이음새와 편집이 이상해서 싸운다는 느낌보다는 허우적대는 느낌이 강해졌다. 그리고 일상씬도 이전 25화, 26화에 비해 템포의 기복이 심한데, 속사포마냥 랩을 구사하는 대사와 갑자기 제노스를 세 번에 걸쳐 클로즈업하는 이상한 줌인 연출 등 원작의 컷을 애니메이션 연출로 재구성하지 않고 그대로 갖다 붙여 움직임만 조금 추가한 다음 전개 빼기에 급급한 모습을 보이면서 재미를 하나도 살리지 못했다는 혹평이 지배적이다. 특히 PV에서 잘 나온 액션씬을 다수 삭제하고 대신 퀄리티 낮은 오리지널 액션씬으로 대체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나가이 감독의 이해할 수 없는 결정에 팬들의 공분을 샀다.[20] 더구나 PV에서 사용된 장면 중엔 정상적으로 움직이는 장면이 있었으나 정작 본편에선 움직이지도 않고 정지화면으로 바꾸는 등의 이해할 수 없는 연출이 나와버렸다. 심지어는 키리사킹에게 가슴이 그려지는 이상한 작화붕괴까지 나와서[21] 또한 3화부터 오프닝 영상에 변화가 생겼는데 캡틴 미즈키의 하의가 반바지로 변경되었으며 괴인공주 초S의 단독 등장씬이 추가되었다. 괴인공주 초S의 등장씬 추가는 둘째 치고 캡틴 미즈키의 하의를 굳이 반바지로 변경한 이유는 불명.[22]

28화(3기 4화)는 J.C 본사 쪽 애니메이터들이 만든 에피소드이며 액션신이 적기에 그나마 볼만한 퀄로 나왔으나 여전히 만족할 수준은 아니라는 평이 많다.

29화(3기 5화)는 오바 밴, 아오키 켄이치로, 오자와 카즈노리를 액션 작화가로 기용하여 좋은 액션을 보여주었다. 이 액션 장면만 한정해서 보면 2기의 고점 근처까지도 갈 수 있을 것이라는 극찬이 나왔을 정도. 그러나 여전히 정지 화면이 많고 또 컷 간 이음새와 연출의 어색함이 사라지지 않아서 팬들은 이를 나가이 감독의 어쩔 수 없는 한계로 받아들이는 추세이다.

30화(3기 6화)는 중국의 X10(上海炫舟, SHANGHAI XUANZHOU CULTURE MEDIA) 하청 편이며, 연출과 작화 오류가 넘쳐서 시리즈 최저점을 찍었다는 악평이 많다. 작화를 했던 중국 애니메이터 말로는 J.C와 제작위원회 측에서 다른 애니메이션 절반 수준의 촉박한 일정을 강요했으며[23] 콘티도 엉망인 게 와서[24] 제대로 그릴 수 없었다고 해명했다. 자신들이 받은 금액도 정확한 금액은 밝힐 수 없지만 다른 애니메이션에 비해 충격적인 수준으로 낮다고 폭로했다. 그냥 실력이 없어서 그런 거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오자 자신들은 충분한 환경을 제공받은 메달리스트 10화와 11화도 했는데 그게 작화가 나쁘다는 이야기는 전혀 없었다고 반론했다.[25] #

30화는 IMDB에서 10점 만점에 1.4점을 기록하며 기존의 최악의 평점 애니메이션이던 약속의 네버랜드 2기를 큰 차이로 누르고 IMDB 역대 최저 평점 애니가 되었다. #

31화(3기 7화)도 이전 30화와 마찬가지로 거의 모든 액션신을 정지 컷, 슬라이드 컷, 배경 날먹 등으로 때워 무수한 비판을 받았다. 그러면서 원작의 디테일한 장면은 죄다 잘렸다.[26] 특히 타츠마키는 선행컷부터 눈매 작화 오류가 관찰되어 비판이 일었는데 본편에서 전혀 수정되지 않아 온갖 비판이 터져 나왔다. 심지어 캡틴 미즈키는 작화 오류의 정점을 찍었는데, 손가락이 6개로 그려진 장면까지 나왔다.

25~28화(3기 1~4화)까지 인물 작화는 상당히 높아 볼만한 수준이긴 하나, 29화(3기 5화)이후로는 이후엔 저품질 플래시 애니 수준으로 나빠졌고[27] 매 화마다 동적인 묘사가 지나치게 제한되어 있는데, 이는 제작위원회와 제작사 J.C.STAFF가 날림으로 기획했고 그 영향으로 스케줄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액션에 조예가 없는 나가이 신페이가 갑작스레 감독으로 발탁된 것도 촉박한 스케줄 안에 어떻게든 만들어 줄 수 있는 인물을 찾아낸 결과로 보이며 아오키 켄이치로도 스케줄 관리를 역설하는 글을 리트윗하여 3기의 문제점과 불만을 간접적으로 드러냈다. # 이렇게 되면 감독의 역량도 역량이지만 배정받은 스케줄부터 문제이므로 어떻게 만들어도 퀄리티가 좋을 수가 없다. 그리고 이 작품의 희망인 아오키도 믿었던 동료들에게 던전 오지에서 살해당할 뻔했지만 기프트 『무한 뽑기』로 레벨 9999의 동료들을 손에 넣어 전 파티 멤버와 세계에 복수&『참교육!』합니다!과 스케줄이 겹쳐[28] 많은 참가가 불투명하다. 27화에선 아예 감독과 아오키 켄이치로를 제외한 모든 인력이 외주와 하청으로 구성된 것으로 드러났다.[29]

프로듀서의 문제도 지적되고 있는데, 하필이면 J.C.STAFF에서 가장 평가가 나쁜 후지시로 아츠시가 담당했기 때문이다. 후지시로는 다작 프로듀서라서 인맥들이 분산되기 때문에 감독들이 연출력으로 커버가 가능하거나 정적인 드라마 장르들을 제외하면 대체로 평가가 좋지 않다. 사실상 J.C의 짬처리 작품들을 다 맡는다고 보면 되는데, 나가이 감독과 더불어 급하게 맡아줄 프로듀서라서 선정된 것으로 보인다.[30] 게다가 후지시로는 동분기에 아빠는 영웅, 엄마는 정령, 딸인 나는 전생자.도 담당하고 있는데 이 작품은 기획이 정상적으로 된 영향인지 원펀맨 3기보다 베테랑들이 참여하고 있다.

게다가 뱅상 샹사르도 3기에 참여하고 싶었으나 제작위원회가 자기를 부르지 않았다며, 제작사인 J.C.STAFF보다는 제작위원회에 비판의 초점을 맞췄다. 그나마 희망적인 관측으로는 정적인 연출로 때우다 최종화에 작화 퀄리티를 몰빵한 블루 록 VS. U-20 JAPAN처럼 일상 파트에서는 최대한 작화를 절약하고 액션 파트에 집중 투자되는 시나리오지만, 이런저런 정황상 3기의 제작진과 제작위원회가 제대로 만들 의지가 없어 보이기에 전망은 매우 암울하다고 할 수 있다. 그나마 29화는 오바 밴이 액션 원화를 해줬으며, 하시모토 타카시도 자신이 작화한 편이 있다고 했으므로 그게 몇 안 되는 희망이다.

채색 면에서 심심했던 2기와 달리 촬영(시각 효과)를 많이 넣는다. 방영 초기엔 2기보다 낫다는 호평도 있었지만 상황을 가리지 않고 파랑, 초록, 보라색 조명 필터를 마구 넣어 분위기를 해치고 비판을 받고 있다. 원펀맨 팬덤에선 이를 '스머프 필터'라고 부르는 밈이 생겼다.

7.3. 총평

3의 저주를 피하지 못했으며, 원펀맨 애니메이션을 기다린 팬들에게 많은 실망감을 안겨주고 있는 애니메이션으로 평가받는 중이다.[31] 무엇보다 작화 매수가 거의 들어가지 않아 성우의 연기와 만화 원작의 각본만 호평이니 드라마 CD가 어울린다는 등의 조롱받는 작품이 되었다.[32] 나가이 신페이 감독도 감독 커리어에 불명예를 남기게 됐다. 초반에는 작화가 움직여야 하는 애니메이션의 강점을 버리고 한 장면의 작화만 놓고 보면 그림체는 2기보다는 훨씬 좋아졌다는 발전은 있었으나 30화를 기점으로 작화가 2기보다도 나빠지며 이런 강점마저 사라졌다.

처음부터 작품에 별로 기대가 없던 일반 시청층의 경우에는 보는 사람에 따라서는 평범하게 볼만하다는 의견도 나오긴 한다만, 원펀맨 애니메이션은 자그마치 6년 만이라는 최장 기간을 두고[33][34] 새 애니메이션이 제작되었으니 시청자들의 불만은 한층 더 폭주할 수밖에 없었으며, 그렇다고 종합적인 퀄리티가 좋아지기는커녕 1기는 고사하고 2기보다도 퇴화해서 한숨이 나올 수밖에 없었다. 일단 낮은 평가와는 별개로 그래도 이름값은 하는지 OTT 순위권에는 들어가고 있다.

비단 애니메이션은 아니지만 원펀맨 어 히어로 노바디 노우즈가 발매 직후 쓰레기 게임으로 혹평을 받은 전례가 있으며, 유통이 반다이 측이라 왜 나오는 족족 퀄리티가 이 모양이냐는 반응이 많으며 반다이가 또 쓰레기를 창출했다며 욕을 바가지로 먹고 있다. 두 작품 다 반다이 측에서 유통 및 자본 지원이 들어가니 비난의 강세가 높으며, 원펀맨 3기는 쓰레기 게임과 별반 다를 게 없다는 수준이라 봐도 이상하지 않다고 볼 수 있다. 한편으로는 상술한 여러 정황상 반다이와 제작위원회가 원펀맨 프랜차이즈에 별다른 기대를 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퀄리티 상승은 기대하기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본작의 제작 과정에서 벌어진 잡음에 대해 비교적 잘 알려진 한국일본에서는 오히려 동정표를 받기도 한다. 1기의 높은 평가와 2기의 비판으로 인한 제작 부담감, 미검증된 인물을 감독직에 앉힐 정도의 날림 기획, 그 감독이 자존심을 접고 직접 SNS로 퀄리티에 대한 양해를 구할 정도로 열악한 사정, 원작자들의 과도한 수정 남발과 편집부의 방치 하에 날로 하락하고 있는 원작의 인기 속에서 비정상적으로 만들어졌음이 명확하기 때문이다. 그런 환경 속에서도 제작진들이 어떻게든 온 몸을 비틀어 완성만큼은 해내려는 의지는 보여주었다는 평가가 많다. 반면 여전히 원펀맨의 인기가 높고 제작 사정에 대해 무지한 서양권에서는 크게 비난을 받아 후술할 논란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8. 논란

8.1. 제작진 사이버불링

방영 내내 서양 작화 덕후들의 온갖 조롱과 밈이 도를 넘어서 비판받았다. 제작위원회 뿐만이 아닌 나가이 신페이 감독 및 제작사 J.C.STAFF를 비롯한 제작진 전체를 향한 비난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며 방영 전 우려됐던 사이버불링이 실제로 이루어지고 있다.

물론 작품의 문제점이 혹평을 받으며 지적 혹은 비판을 듣는 것은 애니메이션 뿐만 아니라 어느 업계든 제작진 측이 감수해야 하는 리스크지만 원펀맨의 인지도에 맞물리며 문제되는 부분을 극단적으로 확대시켜 작품 전체를 원색적으로 비난하거나 제작진을 향한 일부 악성팬들의 맹목적인 비난과 협박이 문제되고 있다.

결국 지속되는 도넘은 비난과 악플에 나가이 신페이 감독은 X 계정을 삭제하기에 이르렀다.[35]
[1] 2025년 10월 6일(월) 00:45에는 2기의 총집편을 방영했다.[2] KT스튜디오지니 판권 위탁방영.[3] 참고로 시즌1의 감독은 나츠메 신고, 시즌2의 감독은 사쿠라이 치카라로 이번 시즌3의 감독을 나가이 신페이가 맡음으로서 원펀맨 TVA판은 시즌마다 감독이 다른 작품이 되었다.[4] 캐릭터 디자이너 쿠보타 치카시가 그렸다.[a] 선공개했던 캐릭터들의 포스터를 단순 편집해 만든 성의 없는 포스터라 평가가 좋지 않다.[a] [a] [8]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9] 2기에서 화수를 이어 간다.[10] Triple A 하청 편.[11] 액션 원화 오자와 카즈노리, 오바 밴, 아오키 켄이치로 등.[12] X10 하청 편.[13] 즉 본편에는 나오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이 사전 제작이 맞을 시 방영까지 7개월밖에 남지 않은 상황에서 아직도 만든 것이 없어 사전 제작 PV를 내보냈다는 게 돼버린다.[14] 애초에 전작인 2기도 많은 제작사가 사양했고 JC 또한 마찬가지로 처음에 거절했을 정도로 원펀맨 애니화가 애니 업계에서는 사실상 독이 든 성배 취급을 받는 상황이라 JC 내부 상황도 별반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15] 오프닝에서의 묘사와 최종 전투는 항상 사이타마가 장식했던 2기까지의 선례를 보면 3기는 괴인왕 오로치전까지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16] 또한 이유는 불명이나 오프닝에서 사이타마와 대치한 오로치의 모습이 수정 전의 디자인이다.[17] 페르소나 5 the Animation 오프닝, 건담 오프닝, 원피스 오프닝 등. 원펀맨에 이 시리즈들의 패러디 요소가 거의 없으므로 오마주라고 하기에 이상한 부분이 많다.[18] 물론 해당 작품들은 개그물이기 때문에 이런 정적인 연출을 해도 허용이 되었다. 하지만 본작은 많이 움직이고 박력이 있어야 하는 액션 작품이라 문제되는 것.[19] 풀이 갈라지는 묘사가 존재하긴 하나 너무 작고 미세하게 표현되서 잘 보이지도 않을 뿐더러 애초에 가로우가 내려오는 장면 자체가 짧기에 이걸 캐치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20] PV에 나온 액션씬을 쓰면 재탕이라고 욕을 먹을 걸 우려해 이런 결정을 한 게 아니냐는 의견도 있다.[21] 원래부터 성별 불명에 원피스를 입고 있는 캐릭터라서 외주를 받은 애니메이터들이 여캐로 착각한 걸로 보인다.[22] 검열 때문인걸로 추측은 가능하나 검열이 원인이라면 미즈키 등장씬 바로 뒤에 추가된 초S 등장씬이 설명되지 않는다.[23] 이 작품보다 촉박한 스케줄로 의뢰한 작품은 명탐정 코난 밖에 보지 못 했다고 한다.[24] 나가이 신페이 감독의 콘티는 원작 만화 책을 오려서 붙인 수준의 물건이었으며 애니메이션 콘티로 쓰기에 충분한 지시가 없었다고 한다.[25] X10은 원펀맨 3기와 같은 J.C 작품인 허니 레몬 소다, 아빠는 영웅, 엄마는 정령, 딸인 나는 전생자.에도 참가했는데 거기서도 작화 논란은 없었다.[26] 원슛터의 근접전투와 총알이 걸린 장면, 캡틴 미즈키가 세킨갈에게 호루라기를 주는 장면 등 캐릭터성을 드러내는 장면들을 죄다 잘랐다.[27] 그나마 29화는 3기에서 유독 부족했던 전투씬이라도 남겼으나 30화는 전투씬이 전혀 없는 에피소드임에도 작화까지 나빠졌다.[28] 거기다 해당 작품의 제작 프로듀서 스즈키 카오루(鈴木 薫)는 아오키와 친한 프로듀서다. 즉 동일 조건이면 저쪽 작화를 더 많이 서포트 해줄 것이라는 뜻이다. 다행인건 아오키는 원펀맨 쪽에 더 비중을 두고 참여하고 있다. 사실 아오키는 스즈키가 아니어도 그냥 J.C에서 만든 작품에 액션이 나오면 전방위로 참여하는 편이다. 스즈키 프로듀서가 액션 장르를 자주 맡아서 작품이 자주 겹쳤을 뿐이다.[29] 물론 하청을 많이 쓴다고 반드시 퀄리티가 하락한다고 볼 수는 없다. 그로스 하청이라는 단어가 존재할 정도로 애니메이션 업계는 하청을 적극적으로 쓰기 때문이다. 다만 돈이나 스케줄 문제로 너무 실력 없는 업체에다 하청을 맡기면 퀄리티 하락이 가시화될 수는 있다.[30] 본작과 견줄 만한 J.C.STAFF와 후지시로 아츠시 작품으로는 반역성 밀리언아서가 있다. 이 작품은 원래 발표된 감독마저 중간에 교체될 정도로 기획이 파행의 끝을 달리던 작품이었다.[31] 전작인 2기 역시 소포모어 징크스를 피하지 못했다.[32] 심지어 그 성우들의 연기도 제대로 녹아들지 않았다.[33] 실질적 제작 기간은 이보다 매우 짧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만큼 남은 시간 동안 제작에 무관심했던 부분은 변호하기 힘들다.[34] 다만 원펀맨 2기가 방영되던 시점에서 어떤 제작사도 맡지 않으려던 걸 JC가 맡았다는 이야기가 돌 정도로 매드하우스가 만든 1기 이후의 원펀맨은 애니메이션 제작사들이 기피하려 하는 작품인 점은 감안해야 할 것이며, 2기 방영 당시의 평가를 생각하면 6년 만에 3기가 나온 것도 어떤 의미로는 대단하다고 볼 수 있다. 단지 그 3기가 2기보다도 실망스러운 퀄리티인 게 문제일 뿐.[35] 파일:원펀맨 3기 감독.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