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9 15:20:23

태종(요)

요태종에서 넘어옴

요 황제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83E22 0%, #a0522d 20%, #a0522d 80%, #783E22); color: #ece5b6;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요(大遼)
<rowcolor=#ece5b6> 초대 제2대 제3대 비정통 제4대
태조 태종 세종 목종
<rowcolor=#ece5b6>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경종 성종 흥종 도종 천조제
북요(北遼)
<rowcolor=#ece5b6> 초대 제2대 임조칭제 제3대 제4대
선종 소제 덕비 유제 회제
서요(西遼)
<rowcolor=#ece5b6> 초대 임조칭제 제2대 임조칭제 제3대
덕종 인종 말제
<rowcolor=#ece5b6> 제4대
결제
}}}}}}}}}
<colbgcolor=#a0522d><colcolor=#ece5b6>
요 제2대 황제
태종 | 太宗
파일:요회릉.jpg
회릉 능문 전경.
출생 902년 11월 25일
위치 미상
사망 947년 5월 15일 (향년 44세)
난성(欒城)
(現 허베이성 스자좡시)
능묘 회릉(懷陵)
재위기간 거란 황제
927년 12월 11일 ~ 947년 2월 24일
대요 황제
947년 2월 24일 ~ 947년 5월 15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a0522d><colcolor=#ece5b6> 성씨 야율(耶律)[1]
중국식 : 덕광(德光)
거란식 : 요골(堯骨)
부모 부황 태조
모후 순흠황후
형제자매 4남 1녀 중 차남
배우자 정안황후
자녀 5남 2녀
묘호 태종(太宗)
존호
927년 헌상 [ 펼치기 · 접기 ]
사성황제(嗣聖皇帝)
938년 헌상 [ 펼치기 · 접기 ]
예문신무법천계운명덕장신지도광경소효사성황제
(睿文神武法天啓運明德章信至道廣敬昭孝嗣聖皇帝)
시호 효무황제(孝武皇帝)
→ 효무혜문황제(孝武惠文皇帝)
연호 천현(天顯, 927년 ~ 938년)
회동(會同, 938년 ~ 947년)
대동(大同, 947년)
절일 천수절(天授節)
}}}}}}}}} ||
1. 개요2. 생애3.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요나라의 제2대 황제(재위 926년 ~ 947년). 거란식 이름은 야율요골, 중국식 이름은 야율덕광.

2. 생애

야율아보기(요태조)가 죽자 한때 그의 측근이었던 외숙부 술률노속과 어머니 순흠황후 술률씨가 잠시 섭정하여 후계에 위험이 되는 장수와 부인들을 모조리 모아놓고 "선황제가 그리우냐."라고 묻고는 '그렇다.'고 하자 마땅히 저승가서 뵈어야 옳다고 하고는 순장시켜 남김없이 몰살시켰다. 이후 중원문화를 숭상하던 장남 야율돌욕은 어머니의 신임을 받지 못했고 차남인 야율요골이 황제의 자리에 올랐다.[2]

야율돌욕은 발해 점령 후 태자의 신분으로 발해 부여부 자리에 괴뢰국인 동란국을 세우고 왕이 되어 발해 지방을 다스렸다. 동란국은 괴뢰국이었으나, 어느 정도 자치권과 외교권을 가지고 있어서 각국과도 교류했으며 일본에도 사신을 보내 지속적 관계를 요청하나 무시당한 일이 있다. 그러나 요의 세력이 강성해지고 중앙집권화가 조금씩 이뤄지면서 동란국은 982년, 거란에 완전히 합병되었다. 야율돌욕은 동생에게 황위를 뺏기자, 이를 한탄하는 시를 남기고[3] 후당으로 망명하여 이찬화라는 중국식 이름을 받고 절도사가 되었으나 936년에 이종가에게 살해당했다.

936년, 후당의 정변에 개입해 석경당의 편을 들어 마지막 황제 이종가를 죽음으로 내몬 뒤 후당을 멸망시켰다. 석경당은 후진을 건국하고 스스로 거란의 제후국이 되었으며, 또한 거란은 군사를 빌려준 대가로 하북의 연운 16주를 획득하였다. 그러나 석경당 사후 즉위한 그의 조카 석중귀는 신하 노릇을 거절하고 945년에는 거란의 침략을 격퇴하기까지 한다. 이 때 아들을 잃게 되는데, 태후 술률평도 강화를 주장하지만 뚝심있게 밀어 붙인다. 결국 요와의 전투에서 나름 재미를 본 후진이 침략해오자 이를 격퇴한 뒤 역으로 수도 개봉으로 진격, 함락시켜 후진을 멸망시키고 석중귀를 포로로 끌고갔으나, 병사들에게 줄 상급을 구한다는 명목으로 점령지를 수탈하고 병사들의 약탈을 방관하는 등, 점령지 관리를 소홀히 한 탓에 한인들이 봉기하고 후진의 절도사들이 반격을 가해와서 3개월만에 퇴각하고 말았다.[4][5][6]

자치통감에는 이 때 요 태종이 ''중국인을 다스리기가 이렇게 어려운지 몰랐다!'고 탄식했다고 전하며 요사에서는 태종이 자신의 잘못을 후회하고 반성했다고 한다. 태종은 여양도를 지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고 한다. ''짐이 이번 원정에서 세 가지 잘못을 했다. 군사를 풀어 말 먹이와 곡식을 빼앗은 것이 첫 번째이고, 백성들의 사적인 재산을 빼앗은 것이 두 번째이고, 여러 절도사를 서둘러 진으로 돌려보내지 않은 것이 그 세 번째이다.' 그리고 태종은 황태제에게 전황에 대해 얘기하며 자신의 잘못을 수습할 해결 방안도 제시하여, ''하동은 아직 귀부하지 않고 서로의 추장들도 서로 무리지어 어디로 귀부할까를 밤낮으로 생각하고 있으니, 그들을 제압하는 방법은 오직 백관들의 마음을 구하고, 군사들의 마음을 다독거리며, 백성들의 마음을 어루만지는 세 가지 방법뿐이다.'' 라고 말했다. 이를 통해 요 태종이 개봉에 머무르는 3개월 동안 중국의 정치적 상황, 경제, 문화, 행정에 대해 체험하면서 중국을 어떻게 다스려야 하는지에 대해 고민하고 초보적으로나마 그 통치법을 이해하게 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요는 이 때의 실패를 교훈 삼아 연운 16주와 정주민들에 대한 통치 방식을 개선하고 중앙집권화된 제국으로 성장할 발판을 마련하려 했다. 그러나 태종 본인은 이때쯤에 건강이 악화되어 열병에 걸렸는데 의사들이 그를 온몸에 얼음으로 감싸 열을 낮추려고 했으나, 병세는 나아지지 않고 오히려 악화되었고 결국 그대로 사망했다. 사후 시신이 그대로 얼음과 함께 본국으로 돌아와 안장되었다. 그가 죽은 후 후사는 형 야율돌욕의 장남이자 태종에게는 조카인 세종이 계승하였다.

3. 둘러보기

요사(遼史)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f6e8e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181818,#e5e5e5
1·2권 「태조기(太祖紀)」 3·4권 「태종기(太宗紀)」 5권 「세종기(世宗紀)」
야율아보기 야율요골 야율올욕
6·7권 「목종기(穆宗紀)」 8·9권 「경종기(景宗紀)」 10·11·12·13·14·15·16·17권 「성종기(成宗紀)」
야율술률 야율명의 야율문수노
18·19·20권 「흥종기(興宗紀)」 21·22·23·24·25·26권 「도종기(道宗紀)」 27·28·29·30권 「천조제기(天祚帝紀)」
야율지골 야율사랄 야율아과 · 야율순 · 야율아리 · 야율대석
※ 31권 ~ 62권은 志에 해당. 63권 ~ 70권은 表에 해당. 요사 문서 참고
}}}}}}}}}}}}
[ 열전(列傳) ]
||<-2><tablewidth=100%><tablebgcolor=#a0522d> 71권 「후비전(后妃傳)」 ||
소탁진 · 소아리신 · 소월리타 · 소암모근 · 술률평 · 소온 · 소철갈지 · 견비 · 소황후 · 소작 · 소보살가 · 소누근 · 소달리 · 소삼천 · 소관음
소탄사 · 소탈리라 · 소사고 · 소비비 · 소귀가
72권 「종실전(宗室傳)」 73권 「야율갈로등전(耶律曷魯等傳)」
야율배 · 야율이호 · 야율준 · 야율오로알 야율갈로 · 소적로 소아고지 · 야율사열적 야율로고 야율파덕 · 야율욕온 · 야율해리(海里)
74권 「야율적랄등전(耶律敵剌等傳)」 75권 「야율적렬등전(耶律覿烈等傳)」
야율적랄 · 소흔독 · 강묵기 · 한연휘 · 한지고 야율적렬 야율우지 · 야율탁진 야율고 야율돌려불 · 왕욱 · 야율도로군
76권 「야율해리등전(耶律解里等傳)」
야율해리(解里) · 야율발리득 · 야율삭고 · 야율노불고 · 조연수 · 고모한 · 조사온 · 야율구리사 · 장려
77권 「야율옥질등전(耶律屋質等傳)」 78권 「야율이랍갈등전(耶律夷臘葛等傳)」
야율옥질 · 야율후 · 야율안단 · 야율와 · 야율퇴욱 · 야율달열 야율이랍갈 · 소해리 · 소호사 · 소사온 · 소계선
79권 「실방등전(室昉等傳)」 80권 「장검등전(張儉等傳)」
실방 · 야율현적 · 여리 · 곽습 · 야율아몰리 장검 · 형포박 · 마득신 · 소박 · 야율팔가
81권 「야율실로등전(耶律室魯等傳)」 82권 「야율융운등전(耶律隆運等傳)」
야율실로 · 왕계충 · 소효충 · 진소곤 · 소합탁 야율융운 · 야율발고철 · 소양아 · 무백 · 소상가 · 야율호고
83권 「야율휴가등전(耶律休哥等傳)」 84권 「야율사등전(耶律沙等傳)」
야율휴가 · 야율사진 · 야율해저 · 야율학고 야율사 · 야율말지 · 소간 · 야율선보 · 야율해리
85권 「소달름등전(蕭撻凜等傳)」
소달름 · 소관음노 · 야율제자 · 야율해리(諧理) · 야율노과 · 소류 · 고훈 · 해화삭노 · 소탑열갈 · 야율살합
86권 「야율합주등전(耶律合住等傳)」
야율합주 · 유경 · 유육부 · 야율요리 · 우온서 · 두방 · 소화상 · 야율합리지 · 야율파적
87권 「소효목등전(蕭孝穆等傳)」
소효목 · 소포노 · 야율포고 · 하행미
88권 「소적렬등전(蕭敵烈等傳)」
소적렬(蕭敵烈) · 야율분노 · 소배압 소항덕 · 야율자충 · 야율요질 · 야율홍고 · 고정 · 야율적록(的琭) · 대강예
89권 「야율서성등전(耶律庶成等傳)」 90권 「소아랄등전(蕭阿剌等傳)」
야율서성 · 양석 · 야율한류 · 양길 · 야율화상 소아랄 · 야율의선 · 소도외 · 소탑랄갈 · 야율적록(敵祿)
91권 「야율한팔등전(耶律韓八等傳)」 92권 「소탈랄등전(蕭奪剌等傳)」
야율한팔 · 야율당고 · 소출철 · 야율결 · 야율복리독 소탈랄 · 소보달 · 야율후신 · 야율고욱 · 야율독매 · 소한가 · 소오야
93권 「소혜등전(蕭惠等傳)」
소혜 · 소우로 · 소도옥 · 야율탁진
94권 「야율화가등전(耶律化哥等傳)」
야율화가 · 야율알랍 · 야율속살 · 소아노대 · 야율나야 · 야율하로소고 · 야율세량
95권 「야율홍고등전(耶律弘古等傳)」
야율홍고 · 야율마륙 · 소적렬(蕭滴冽) · 야율적록 · 야율진가노 · 야율특마 · 야율선동 · 소소삽 · 야율대비노
96권 「야율인선등전(耶律仁先等傳)」
야율인선 · 야율량 · 소한가노 · 소덕 · 소유신 · 소악음노 · 야율적렬 · 요경행 · 야율아사
97권 「야율알특랄등전(耶律斡特剌等傳)」
야율알특랄 · 해리 · 두경용 · 야율인길 · 양적 · 조휘 · 왕관 · 야율희손
98권 「소올납등전(蕭兀納等傳)」
소올납 · 야율엄 · 요신 · 야율호려
99권 「소암수등전(蕭巖壽等傳)」 100권 「야율당고전(耶律棠古等傳)」
소암수 · 야율살랄 · 소속살 · 야율달불야 · 소달불야 · 소홀고 · 야율석류 야율당고 · 소득리저 · 소수알 · 야율장노 · 야율출자
101권 「야율적랄등전(耶律敵剌等傳)」 102권 「소봉선등전(蕭奉先等傳)」
야율적랄 · 야율아식보 · 소을설 · 소호독 소봉선 · 이처온 · 장림 · 야율여도
103·104권 「문학전(文學傳)」 105권 「능리전(能吏傳)」
소한가노 · 이한 · 왕정 · 야율소 · 요휘 · 야율맹간 · 야율곡욕 대공정 · 소문 · 마인망 · 야율탁로알 · 양준욱 · 왕당
106권 「탁행전(卓行傳)」 107권 「열녀전(列女傳)」
소차랄 · 야율관노 · 소포리불 야율상가 · 소의신 · 소와리본 · 소뇌란
108권 「방기전(方技傳)」 109권 「영관·환관전(伶官宦官傳)」
직로고 · 왕백 · 위린 · 야율적로 · 야율을불가 나의경 · 왕계은 · 조안은
110·111권 「간신전(奸臣傳)」
야율을신 · 장효걸 · 야율연가 · 소십삼 · 소여리야 · 야율합로 · 소득리특 · 소와도알 · 소달로고 · 야율탑불야 · 소도고사
112·113·114권 「역신전(逆臣傳)」
야율할저 · 야율찰할 · 야율누국 · 야율중원 · 야율활가 · 소한 · 야율첩랍 · 야율랑 · 야율유가 · 야율해사 · 야율적랍 · 소혁 · 소호도 · 소첩리득 · 고첩 · 야율살랄죽 · 회리보 · 소특열
115권 「이국외기(二國外記)」
고려 · 서하
※ 116권은 國語解에 해당. 요사 문서 참고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0522d><tablebgcolor=#a0522d> ||
}}}}}} ||



[1] yaruud. '야루드'라는 발음에 가까움.[2] 순장에 관련된 얘기가 이게 끝이 아니다. 순흠황후는 야율아보기가 죽으면서 자신의 신하들을 순장해달라고 했다고 주장했는데 이에 신하들은 반발했다. 문제는 요나라에 실제로 순장 풍습이 있는지라, 지목당한 신하들은 순장을 면할 명분이 없었다. 많은 신하들이 순장당한 와중에 한족 출신 관료 조사온이, 황후가 황제랑 가장 가까웠으니 먼저 순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술률평은 자신은 어린 아들(당시 야율돌욕은 이미 28세였다.)이 있으니 대신 팔 하나를 순장시키겠다며 정말로 자기 팔을 잘랐다. 조사온 역시 순흠황후의 팔과 함께 순장당했다는 이야기가 있으나 요사 순흠황후 열전에서 조사온은 죽음을 면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권중달 역 자치통감에서도 조사온은 살았다고 나온다.[3] 작은 산이 큰 산을 누르니, 큰 산은 아무 힘이 없구나. 고향 사람들 보기가 부끄러워, 아예 나라 밖으로 가버리련다. 원문 : 小山壓大山, 大山全無力. 羞見故鄕人, 從此投外國. 소산압대산, 대산전무력. 수견고향인, 종차투외국.[4] 태종이 개봉에 입성한 직후, 한림학사 장려가 "지금 우리 대요가 중국을 얻었는데, 마땅히 중국인으로 다스리게 해야지, 거란인이나 측근들로만 다스리게 해서는 안 됩니다.'"고 진언했으나 태종은 이를 무시했다.[5] 철퇴하기 전에 요 태종과 풍도가 만난 일화가 있다. 풍도는 요 태종을 만나자 스스로 "저는 재주도 덕도 없는 멍청한 늙은이입니다."고 자신을 낮췄으며 요 태종이 “지금 이 시기에 천하의 백성을 무슨 방법으로 구할 수 있겠는가?” 고 묻자, “페하, 지금 같은 난세에는 그 누구도 어떠한 방법이 없습니다. 설사 부처님이 오신다 해도 방법이 없습니다. 그러나 오직 단 한 명 폐하만이 천하의 백성을 구할 수 있습니다.” 고 말하며 약탈과 학살을 그만해달라고 요청했다. 이 이야기를 들은 태종은 풍도가 마음에 들어 요의 관직을 하사했으며 약탈을 그만두었다고 한다.[6] 사실 이때 거란족들이 한족들을 상대로 너무 난폭하게 굴었다. 야율덕광은 한족을 사로잡으면 얼굴을 칼로 찌르고 살려준다는 글자를 새겨서 풀어주었고, 야율덕광의 사촌동생인 마답은 더 잔인해서 한족을 붙잡으면 얼굴 가죽을 벗기고 눈을 뽑고 팔을 부러뜨려 죽였고 그렇게 해서 죽인 한족의 손과 발을 잘라서 집에 장신구처럼 걸어두었다. 또한 거란족 군대는 지나가는 길가의 집을 모조리 불태워 폐허로 만들었으며, 전투를 벌일 때마다 강제로 끌고 온 주변 백성들을 선봉에 내세워 적의 공격을 맨몸으로 받아내어 죽게 했다. 출처: 중국의 판타지 백과사전/ 도현신 지음/ 생각비행/ 2018년 5월 출간/ 97~9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