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코믹스의 등장인물 오노마토피아 Onomatopoeia | |||
<colbgcolor=#000><colcolor=#fff> | |||
캐릭터 창조 정보 | |||
출판사 | DC 코믹스 | ||
최초 등장 | Green Arrow Vol. 3 #12 2002년 3월 ([age(2002-03-01)]주년) [dday(2002-03-01)]일째 | ||
창조자 | 케빈 스미스, 필 헤스터 | ||
캐릭터 설정 정보 | |||
본명 | 불명 | ||
이명 | 오노마토피아(Onomatopoeia) 바포멧(Baphomet) 존 터드(John Thudd)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0> 인간 관계 | ||
소속 | <colcolor=#373a3c,#ddd>
| ||
가족 관계 | 아내 딸 아들 | ||
생사 관련 | |||
현실 | 프라임 어스 뉴 어스 (리부트 이전) | ||
개인 정보 | |||
신분 | 비공개 | ||
종족 | 인간 | ||
국적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
직업 | 연쇄살인마 범죄자 | ||
근거지 | |||
신체 특징 | |||
성별 | 남성 | ||
신장 | 180cm | ||
체중 | 82kg | ||
모발 | 갈발 | }}}}}}}}} |
[clearfix]
1. 개요
DC 코믹스에 나오는 그린 애로우 계열 슈퍼빌런. 배트맨과 충돌하기도 했다.이름, 정체, 범행 동기 등 모든 것이 베일에 쌓인 수수께끼의 살인마로, 여기까지라면 별로 특이할 것도 없는 캐릭터지만 이름[1]에 걸맞게 의성어로만 소통한다는 것이다. 총을 쏘면서 "탕탕"이라고 하거나, 피가 떨어질 때 "뚝뚝" 이라고 하는 등.
그런 모자라 보이는 언행에 걸맞지 않게 작중에서는 사이코패스 같은 잔혹한 모습을 보여준데다가, 뭔가 인상적인 디자인 덕분에 나름의 컬트적인 인기를 끌게 된 캐릭터이다.
2. 작중 행적
2.1. 리부트 이전
첫등장에서는 자경단을 타겟팅한 잔혹한 연쇄살인을 저질렀으며, 코너 호크 역시 총으로 쏘지만 올리버 퀸의 난입으로 코너는 겨우 목숨을 건진다. 이후 그린 애로우와 치열한 혈투를 펼친 끝에 패배하지만 도주에 성공한다. [2]인피닛 크라이시스에서는 알렉산더 루터 주니어가 결집한 슈퍼빌런 중 1인으로 등장한다.
Batman: Cacophony에서는 아캄 정신병원에서 조커를 탈출시키고 고담시에서 깽판을 벌이지만, 상황이 불리해지자 배트맨으로부터 탈출하기 위해 조커의 통수를 치고 조커를 칼로 찌른 다음, 자신을 잡을 것인지, 조커를 죽게 내버려 둘 것인지 배트맨에게 선택하도록 한다. 물론 배트맨은 그놈의 불살주의 때문에 조커를 살리는 길을 선택하고, 오노마토피아는 다시 탈출에 성공한다.
Batman: Widening Gyre에서는 바포메트라는 자경단으로 재등장. 여기서는 멀쩡하게 말을 하고 얼굴도 공개하는 등 정상인처럼 행동했으며, 배트맨의 목숨을 구하며 든든한 조력자 노력을 했다. 그래서 배트맨 역시 그를 신뢰하게 되어 배트 케이브에 초대까지 하고 정체까지 밝혔으나, 배트맨이 유틸리티 벨트를 벗을 때 갑자기 딸깍이라는 말을 하며 본색을 드러낸 후 당시 약혼까지 갔던 배트맨의 연인 실버 세인트 클라우드를 살해하는 통수를 친다. [3]
2.2. 리부트 이후
|
2023년부터 연재된 그린 애로우 시리즈에서도 짧게 모습을 비춘다.
3. 능력
- 초인적인 내구성
4. 다른 매체에서
4.1. 실사화
- 슈퍼맨과 로이스
슈퍼맨을 상대할 수 있기 위해서인지 실버 밴시처럼 음파를 조종하는 능력을 지닌 강력한 빌런으로 파워업해서 등장한다. 대신 원작의 의성어로만 소통하는 기믹은 사라졌으며, 작중에서 정체도 밝혀진다.
4.2. 애니메이션
- DC Nation - Green Arrow
어린이용 단편 영상이라 로봇들을 만들어 도시를 침공하는 유치한 빌런으로 등장. [4] 작중에서 그린 애로우가 이름을 제대로 발음 못하는 개그를 선보인다.
- 배트맨: 케이프 크루세이더
살인청부업자로 등장해 배트맨과 맞붙는다. 여기서는 원작의 컨셉을 제대로 살려서 등장하며, 격투 끝에 배트맨에게 역으로 '퍽'이라는 대사를 들은 후 펀치를 맞고 퇴장한다.
4.3. 게임
- 스크리블너츠 언마스크드: DC 코믹스 어드벤처
소환 캐릭터로 등장한다.
5. 기타
- 웬만한 그린 애로우 빌런들은 다 얼굴을 보인 애로우에서는 드라마가 종영할 때까지 등장하지 못했다. 제작진의 말에 따르면 처음에는 출연을 고려했으나 원작자 케빈 스미스가 오노마토피아의 컨셉이 실사에 어울릴지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을 보고 마음을 바꿨다고 한다. 비록 애로우에는 출연이 없었지만 대신 같은 CW버스 계열인 슈퍼맨과 로이스에서 실사화 되었다.
[1] 영어로 의성어라는 뜻이다.[2] 이때 화살을 여러 발 맞아 피를 흘리는 상황에서도 탈출하기 위해 자진해서 건물 옥상에서 떨어졌음에도 죽지 않고 탈출해, 인간을 초월한 신체 능력의 소유자로 보인다.[3] 다만 이 코믹스는 배트맨이 배트맨: 이어 원 당시 부패 세력들을 위협하는 인상적인 장면에서 사실 폭약 양을 잘못 계산해 오줌을 지렸다는 등 배트맨의 이미지를 한없이 추락시키는 괴작으로 악평만 받았기 때문에 뒷내용이 나오지 못하고 그대로 묻혔다.[4] 마찬가지로 피그 교수 역시 원본이 너무 잔혹하다 보니 어린이용 애니메이션에서는 에코테러리스트로 순화되어서 등장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