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 및 김치 요리 | ||
{{{#!wiki style="margin:0 -10px -6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김치 | 갓김치 · 겉절이 · 게국지 · 고들빼기김치 · 깍두기 · 깻잎김치 · 나박김치 · 동치미 · 무생채 · 묵은지 · 물김치 · 배추김치 · 백김치 · 보쌈김치 · 부추김치 · 상추겉절이 · 순무김치 · 양파김치 · 열무김치 · 영채김치 · 오이소박이 · 장김치 · 총각김치 · 파김치 |
요리 | 김치김밥 · 김칫국 · 김치덮밥 · 김치만두 · 김치말이국수 · 김치볶음밥 · 김치전 · 김치죽 · 김치찌개 · 김치찜 · 김치피자탕수육 · 동치미국수(막국수) · 돼지고기김치볶음 · 두부김치 · 보쌈 · 부대찌개 · 볶음김치 · 삼합 | |
해외 | 기무치 · 마르코프차 | }}}}}}}}} |
큰다닥냉이(영채)는 중동 지역과 아프리카 북부 지역이 원산지인 식물로, 북한의 문화어로 영채라 부르며 영채김치는 큰다닥냉이(북한문화어: 영채)로 담가 먹는 김치를 말한다. 함경도 지역에서는 영채를 산갓으로 부르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북한의 평안도와 함경도에서 많이 재배하며, 북한 주민들과 연변 조선족들은 이걸로 김치를 담그거나 겉절이식으로 무쳐 먹는다. 영채김치를 담글 때 무나 당근과 같은 채소도 영채김치에 함께 버무리는 경우도 많다.
영채는 알싸한 맛이 나며 식감은 부드러운 편이다. 북한 주민과 중국 연변의 조선족들에게는 영채가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및 여러 가지 비타민과 미네랄이 많고 맛도 뛰어난 장수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원래 남한사람들은 영채김치를 잘 먹지 않았으나, 90년대 이후 탈북민들이 많아지고, 중국 연변지역을 다녀온 남한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점차 남한사람들에게도 많이 알려지고 있는 김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