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768 0%, #284687 20%, #284687 80%, #003768); color: #f6d251;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필리핀 제1공화국| 제1공화국 ]]  |  [[필리핀 자치령| 자치령 ]]  |  [[필리핀 제2공화국| 제2공화국 ]]  |  [[필리핀 자치령| 자치령 ]]  |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 에밀리오 아기날도 | 마누엘 케손 | 호세 라우렐 | 세르히오 오스메냐 | |
|  [[필리핀 제3공화국| 제3공화국 ]]  | ||||
|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 마누엘 로하스 | 엘피디오 키리노 | 라몬 막사이사이 | 카를로스 가르시아 | |
|  [[필리핀 제3공화국| 제3공화국 ]]  |  [[필리핀 제4공화국| 제4공화국 ]]  |  [[필리핀| 제5공화국 ]]  | ||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 디오스다도 마카파갈 |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 코라손 아키노 | 피델 라모스 | |
|  [[필리핀| 제5공화국 ]]  | ||||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
| 조지프 에스트라다 |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 | 베니그노 아키노 3세 | 로드리고 두테르테 | |
| 제17대 | ||||
|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 | ||||
|   엘피디오 키리노 관련 틀   | |||||||||||||||||||||||||||||||||||||||
 
  | |||||||||||||||||||||||||||||||||||||||
| <colbgcolor=#233f89><colcolor=#f6d251> | |
|   KGCR   | |
|   | |
| 출생 | 1890년 11월 6일 | 
| 필리핀 도독령 남일로코스주 비간 (現 필리핀 남일로코스주 비간)  | |
| 사망 | 1956년 2월 29일 (향년 65세) | 
| 필리핀 메트로 마닐라 케손 시티 | |
| 재임기간 | 제6대 대통령 | 
| 1948년 4월 17일 – 1953년 12월 30일 | |
| 학력 | 필리핀 법대 마닐라 대학교 필리핀 대학  | 
| 직업 | 정치인 | 
| 가족 | 배우자:알리시아 시퀴라(1921~1945) 슬하 3남2녀  | 
|   | 
| 공식 초상화 | 
1. 개요
필리핀 제6대 대통령이며 1950년 대한민국에서 6.25 전쟁이 발발하자 7,450여명의 필리핀군를 필리핀 원정군 (PEFTOK)으로 한반도에 파병시킨 대통령이기도 하다.재임 중 미국과 미국-필리핀 상호방위조약이 체결된다.
2. 선거 이력
|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1919 | 필리핀 하원의원 선거 | 남일로코스 제1선거구 |   [[국민당(필리핀)| 국민당 ]]  | - (%) | 당선 (1위) | 초선 | 
| 1925 | 필리핀 상원의원 선거 | 필리핀 제1선거구 | ||||
| 1931 | 필리핀 상원의원 선거 | 재선 | ||||
| 1941 | 필리핀 상원의원 선거 | 필리핀 선거구 | 1,013,095 (%) | 당선 (5위) | 3선 | |
| 1946 | 필리핀 부통령 선거 | 필리핀 |   | 1,161,725 (52.36%)[1] | 당선 (1위) | 초선 | 
| 1949 | 필리핀 대통령 선거 | 1,803,808 (50.93%) | ||||
| 1953 | 필리핀 대통령 선거 | 1,313,991 (31.08%) | 낙선 (2위) | 
[1] 1948.4.17. 대통령직 승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