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0em; min-height:2em" {{{#!folding [ 게임 관련 정보 ] {{{#!wiki style="margin:0 0 -25px; padding-bottom:10px" | <colbgcolor=#000><colcolor=#fff>관련 정보 | 문명 · 지도 · 유닛(영웅 · 연대기) · 동물 및 자원 · 건물 · 기술 · 도전 과제 · 방어 유형 | |||||
시리즈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에이지 오브 킹| 에이지 ]]오브 킹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정복자| 정복자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포가튼| 포가튼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아프리카 왕국| 아프리카 ]]왕국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라자의 부흥| 라자의 ]]부흥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s-5| 마지막 ]]칸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확장팩#s-2| 서쪽의 ]]군주들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확장팩#s-3| 군주들의 ]]여명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확장팩#s-4| 인도 ]]왕조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로마의 귀환| 로마의 ]]귀환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확장팩#s-6| 마운틴 ]]로열스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확장팩#s-7| 승자와 ]]패자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확장팩#s-9| 삼국지 ]] | ||||||
연대기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확장팩#s-8| 그리스 전쟁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확장팩#s-10| 알렉산더 대왕 ]]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0em; min-height:2em" {{{#!folding [ 캠페인 목록 ] | {{{#!wiki style="margin:-15px -10px" | 결정판 이전 캠페인 공략 목록 | 에이지 오브 킹 · 정복자 · 포가튼 · 아프리카 왕국 · 라자의 부흥 | }}} | |||
결정판 캠페인 공략 개괄 | |||||||
아프리카 | |||||||
아메리카 | |||||||
아시아 | |||||||
유럽 | |||||||
서유럽 | |||||||
동유럽 | |||||||
남아시아 | |||||||
코카서스 | |||||||
중국 | |||||||
역사적인 전투 | |||||||
승자와 패자 | |||||||
로마의 귀환 |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 |||||||
그랜드 캠페인 |
- [ 문명 목록 ]
- ||
1. 개요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 DLC 연대기에 추가된 캠페인.2. 특징
2.1. 호위병
캠페인에서만 뽑을 수 있는 전용 특수 유닛들. 성에서 생산이 가능하며, 각 문명의 첫번째 미션에서 호위대 선택을 하면, 이후 해당 문명의 미션 내내 그 유닛들만 뽑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각 문명별로 보병/기병/궁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따로 해상 호위대 유닛은 없다. 머릿수는 보병이 최대 24기, 궁병이 18기, 기병이 12기까지 뽑을 수 있다.근접 호위병은 일종의 차징 샷 같은 게이지가 존재한다. 대략 +3~+4 정도의 화력을 보유하고 있다.
아테네와 스파르타의 경우 기본 근위대가 같으나, 스파르타는 추가적으로 근위대가 한 종류 더 있다.
보통 호위병의 스팩은 해당 문명의 상응하는 병력보다 스팩이 좋기 때문에 보너스에 맞춰 유닛을 뽑거나, 기병 호위대를 선택해 부족한 기병대를 벌충하는 방안으로 나아가는 경우가 많다.
2.2. 오라클 미션
간혹 미션들 중 '오라클'이라는 세력이 포함될 경우에 주어지는 보조 임무로, 해당 임무를 완수하면 오라클 신전에서 '오라'를 선택할 수 있다. 해당 오라는 각 미션들의 주인공 유닛들에게 부여된다. 오라클 미션은 한 미션당 최대 3개가 존재한다.각 문명별로 선택하는 오라가 다르다.
3. 구성
<rowcolor=#fff> 연도 | 시나리오 | 장소 | 문명 | 주역 |
기원전 522년 | 프롤로그: 신들의 문 | 메소포타미아 | 아케메네스인 | 아르타페르네스 |
기원전 499년 | 선물을 가지고 온 그리스인 | 이오니아 | ||
기원전 499년 | 이오니아 반란 | 이오니아 | ||
기원전 498년 | 불타는 도시 | 사르디스 | ||
기원전 498년 | 연기를 쫓아서 | 에페소스 | ||
기원전 494년 | 반역자에게 죽음을 | 밀레토스 | ||
기원전 490년 | 흙과 물 | 에게해 | 다티스 | |
기원전 490년 | 마라톤 전투 | 아티카 | 아테네인 | 테미스토클레스 |
기원전 483년 | 돛을 올리다 | 아티카 | ||
기원전 480년 | 성문 앞의 격전 | 테르모필레, 아르테미시온 | ||
기원전 480년 | 신성한 살라미스 | 살라미스 만 | ||
기원전 478년 | 와인처럼 어두운 바다를 건너 | 키프로스 | ||
기원전 478년 | 섭정의 분노 | 비잔티움 | ||
기원전 471년 | 제국의 열매 | 델로스 | ||
기원전 431년 | 긴 성벽 안 | 아티카 | 페리클레스 | |
기원전 431년 | 나는 브라시다스다 | 메토네 | 스파르타인 | 브라시다스 |
기원전 430년 | 해안의 장작더미 | 펠로폰네소스 | ||
기원전 424년 | 말과 창 | 칼키디케 | ||
기원전 414년 | 성벽으로! | 시칠리아 | 리산드로스 | |
기원전 407년 | 피와 금 | 이오니아 | ||
기원전 404년 | 아테네의 함락 | 아티카 | ||
기원전 339년 | 마케도니아인 | 알렉산더 | ||
기원전 339년 | ||||
기원전 338년 | ||||
기원전 336년 | 마케도니아인 | |||
기원전 335년 | 트라키아인 | 랑가루스 | ||
기원전 335년 | 마케도니아인 | 알렉산더 | ||
기원전 334년 | ||||
기원전 334년 | ||||
기원전 333년 | ||||
기원전 332년 | ||||
기원전 331년 | ||||
기원전 329년 | ||||
기원전 327년 | 푸루족 | 포루스 | ||
기원전 326년 | 마케도니아인 | 알렉산더 | ||
기원전 326년 | ||||
기원전 325년 | ||||
기원전 325년 | ||||
기원전 324년 |
모드 문명으로 추가된 아케메네스, 아테네, 스파르타 문명을 1개의 그랜드 캠페인에서 연대기로 플레이하며, 시대순으로 진행된다. 전체적으로는 다리우스 1세 말기에 일어난 페르시아 전쟁에서 아테네와 스파르타 사이에 벌어진 펠로폰네소스 전쟁까지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기존 캠페인들은 한 문명의 캠페인을 클리어하지 않더라도 다른 문명의 캠페인을 시작할 수 있었지만, 이번 DLC에선 순서상 먼저 나오는 문명을 클리어하지 않으면 다음 문명을 플레이할 수 없다.
한국어판의 나레이션 더빙은 동유럽 캠페인에 수록된 야드비가 캠페인과 에오엠 4의 특전 영상[1] 나레이터를 담당한 엄현정 성우가 맡았다.
4. 둘러보기
||<table width=100%><rowbgcolor=#7c4584><tablebordercolor=#7c4584><tablealign=center> 그랜드 캠페인 ||
[1] 시나리오 클리어 이후에 해당 미션과 관련된 다큐멘터리 영상이 해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