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에소테리시즘(Esotericism)은 17세기 서양에서 발생한 비밀주의적 종교를 칭하는 표현이다. 고대 그리스어 esôterikós에서 유래한 것으로, '비밀스레 전수되는' 신비적이고 종교적 전통을 칭하는 의미로 조어되었다. 반대 표현은 Exotericism.2. 용법
한자어로 번역 시 밀교(密敎), 비교(祕敎)[1][2], 은비(隱秘)주의 등 일관되지 않은 모습을 보이며 그냥 에소테리시즘으로 옮기기도 한다.그러나 이 용어가 등장한 것은 17세기 서구에서였으므로, 해당 시기에 유행하던 비의적인 종교를 일차적으로 의미한다. 지금에는 17세기 이후로 이어진 이들 흐름을 기본적으로 칭한다. 여기에 이 종교적 흐름을 낳은 고대의 비의적 종교들도 포함해 의미하며, 조금 논쟁적이지만 동방의[3] 비의적 전통들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4] 그러나 기본적으로 에소테리시즘이라고 하면 '서양' 에소테리시즘을 의미하며, '동양' 에소테리시즘이라는 표현은 서양 에소테리시즘의 맥락에서 이와 유사한 동양 전통을 포함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용법이 옳은지 논쟁적인 면이 있다. 즉 이 개념이 중립적이고 보편적 용어라기엔 지나치에 서양 문화의 구체적 종교들을 우선적으로 의미하기 때문이다.[5]
따라서 밀교나 비교같은 불교적 용어로 번역할 때 혼란이 오기 쉽다.[6] 불교의 밀교적 종파를 기준으로 이해를 하려 해봐도 서양 에소테리시즘은 양상이 많이 달라서 잘 이해가 가지 않기 때문. 밀교(불교) 입장에서 에소테리시즘에 참여하고자 혹은 에소테리시즘의 내용을 흡수하고자 하는 입장에서 밀교라고 번역한다면 그런 번역이 가능할 것이나, 대부분의 경우 혼란만 낳는다.
3. 역사
기독교 중심이었던 서양에서 르네상스 시기에 유행한 신비주의적 종교 전통이 직접적 기원이다. 이것이 근대 초입에 여러 결사 형태로 비의적 종교단체로 이어진다. 현대에는 반문화나 뉴에이지와 관련되어 다방면으로 퍼졌다. 최근으로 올수록 자본주의와 결합되어 상품화되어 유통되는 경우도 많다.4. 기타
철학에서도 일부 이 용어를 쓰곤 한다. 최근 인물로 가장 대표적으로는 레오 스트라우스[7]가 있다. 심리학에선 칼 융이 관련된 소재를 활용하는 편이다. 문학에선 예이츠같은 인물이 영향을 받은 바 있다.5. 종류
5.1. 서양
5.2. 동양
6. 유사 개념
[1] 밀교나 비교같은 표현은 불교와 관련되어 널리 쓰이는 용어라 혼란을 주거나(밀교) 혹은 한자를 병기하지 않으면 혼란을 주는(비교) 문제가 있다.[2] 밀교로 번역시 반댓말인 Exotericism은 '현교'로 번역하며 비밀주의적이지 않은 일반 종교를 칭할 때 사용한다.[3] 이슬람, 인도, 나아가 동아시아까지 포함[4] 특히 신지학같이 적극적으로 동양의 전통과 통합주의적 접근을 하는 경우가 그렇다. 비의적 전통의 보편성을 주장하기 때문이다.[5] https://brill.com/view/journals/jrat/10/1/article-p106_5.xml[6] 영어로는 불교의 밀교 종파를 금강승에 해당하는 Vajrayāna를 사용해서 둘을 헷깔릴 일이 없다. Esotericism은 서양 에소테리시즘을 주로 칭하며, 동양 에소테시지즘까지를 범칭할 수는 있어도 불교의 금강승과 헷깔릴 일은 없다. Vajrayāna의 밀교적 측면을 강조하고 싶을 때는 Esoteric Buddhism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7] 다만 용어를 쓰는 것이지 근대 에소테리시즘을 활용하는 것은 아니다.[8] 메소포타미아나 이집트의 고대 종교의 영향도 있으나 대체로 근대 이후 메소포타미아학이나 이집트학을 통해 연구되고 유입된 경우가 많다.[9] 밀교항목 참조[10] 17세기 이후[11] 헬레나 블라바츠키[12] 루돌프 슈타이너[13] 스웨덴보리[14] 최면술[15] 동양 에소테리시즘으로 분류되는 다른 경향들은 대체로 서양 에소테리시즘의 투사인데 반하여, 이슬람 신비주의는 서양 에소테리시즘과 중세부터 영향을 주고받은 관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