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0 12:30:52

에드워드 리히토펜


||<-5><tablealign=center><bgcolor=#000><tablebordercolor=#f00><colcolor=#fff>파일: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콜드 워 로고.svg
블랙 옵스 좀비 모드의 주요 등장인물
울티미스 (Ultimis)
(CoD: WaW ~ CoD: Bo4)
탱크 뎀프시
(미국 해병대)
타케오 마사키
(일본군)
니콜라이 벨린스키
(소련군)
에드워드 리히토펜
(독일 국방군)
빅티스 (Victis)
(CoD: Bo2 ~ CoD: Bo4)
아비게일 미스티 브라이튼말튼 존슨새뮤엘 스털링거러스먼
프리미스 (Primis)
(CoD: Bo2 ~ CoD: Bo4)
탱크 뎀프시
(미국 해병대)
타케오 마사키
(일본군)
니콜라이 벨린스키
(러시아 제국군)
에드워드 리히토펜
(독일 제국군)
레퀴엠 (CIA-Requiem)
(CoD: BoCW)
그리고리 위버
(CIA / 레퀴엠)
사만다 맥시스
(독일 연방 정보원 / 레퀴엠)
세르게이 레베노프
(레퀴엠 / KGB-오메가 그룹)
레퀴엠 화력팀
(NATO/PACT 스트라이크 팀)
오메가 (KGB-ОМЕГА)
(CoD: BoCW)
레프 크라브첸코
(KGB-오메가 그룹)
윌리엄 펙
(KGB-오메가 그룹)
전 레퀴엠 (EX-Requiem)
(CoD: Bo6 ~ CoD: Bo7)
그리고리 위버
(CIA / 레퀴엠)
엘리자베스 그레이
(CIA / 레퀴엠)
메킨지 카버
(CIA / 레퀴엠)
마야 아기날도
다크 에테르 (Dark Aether)
(CoD: BO7)
탱크 뎀프시타케오 마사키니콜라이 벨린스키에드워드 리히토펜
데드볼트 (CIA-Deadbolt)
(CoD: MWIII)
존 "소프" 맥태비시
(태스크 포스 141)
세르게이 레베노프셀마 그린
(CIA)
플레이어블 오퍼레이터
(SpecGru/KorTac 스트라이크 팀)
터미누스 (Terminus Outcomes)
(CoD: MWIII)
빅토르 자카에프
(국수주의파 / 터미누스 아웃컴)
잭 플레처
(터미누스 아웃컴)
바라노프 "레거시"
(터미누스 아웃컴)
에테르 / 다크 에테르 스토리 기준으로 서술.

에드워드 리히토펜
Edward Richtofen
<nopad> 파일:Richtofen_DE_BO3.jpg
소속 및 직책 그룹 935의 일원
CIA 레퀴엠의 국장
(Director of Requiem)
소속 파일:Group_935_logo_WaW.png 그룹 935
파일:미국 중앙정보국 문장.svg CIA 레퀴엠
출생년도 1898년 이전, 독일 제국
Before 1898, German Empire
등장 작품 콜 오브 듀티: 월드 앳 워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2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3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4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콜드 워
콜 오브 듀티: 모바일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6
(등장 맵에 대해선 하단 참조)
성우 파일:미국 국기.svg 놀런 노스[1]

1. 개요2. 원래 세계 (울티미스)3. 디멘션 63 세계 (프리미스)4. 작중 행적
4.1. 울티미스4.2. 프리미스4.3. 다크 에테르
5. 기타

1. 개요

트레이아크가 제작하는 콜 오브 듀티 시리즈의 보너스 모드인 나치 좀비 시리즈의 등장인물.

나치 좀비 시리즈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에테르(Aether) 스토리의 주인공 4인방 중 한 명인 독일인으로, 루드비히 맥시스 박사가 주도하는 그룹 935에 속해있는 과학자이다. 별명은 "Doctor".

에테르 스토리 내에선 Origins 이전의 울티미스(Ultimis) 버전과 Origins 이후의 프리미스(Primis) 버전으로 나뉘는데, 둘의 성격이나 행보가 극과 극이라 완전 다른 사람이라 봐도 무방할 정도이다. 이는 아래 항목에서 자세히 서술한다.

2. 원래 세계 (울티미스)

파일:NZ_Richtofen.png
"Beware The Doc". A message that was scrawled across walls of every town under Axis control. Starvation may cripple you, dysentery may wreck you, and gunfire may rip the flesh from your bones, but "Beware the Doctor".
추축군 치하의 마을 대부분에 "의사 놈을 피하라"라는 문구가 벽마다 새겨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말대로 굶주림 때문에 삶의 의지가 꺾여도, 이질을 앓아 몸의 구석구석이 망가져도, 총알에 맞아 뼈에서 살을 발라내게 될 지라도 의사는 피해야 한다.

This is Dr. Richtofen, known affectionately as "The Butcher" to his victims as they scream in agony moments before he snuffs out their light. All through his career, Richtofen has been at the forefront of torture and information extraction research. Richtofen is an incurable sociopath and sees no moral distinction between natural death and murder; the victim is the victim, regardless of how their demise manifests itself.
이번에 소개할 인물은 리히토펜 박사로, 희생양들의 마지막 유언이 비명이 될 정도로 고문에 도가 튼 탓에 "도살자"라는 애정 어린 별명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복무 내내 고문으로 정보를 빼내는 연구에 앞장설 정도로 구제 불능인 소시오패스기도 한데, 그 정도가 자연사와 살해의 도덕적인 차이를 인지하지 못하는 수준이다. 그러니까 리히토펜에게 있어 희생양은 어떻게 죽던 간에 그저 희생양에 불과할 뿐인 것이다.

Doctor Richtofen has a collection of stuffed animals, most of them posed in positions of terror at the instant of their death.
또한 리히토펜은 수집품으로 동물들을 박제하고 다니는데, 박제된 동물들이 하나같이 죽음을 앞둔 공포에 몸부림치는 자세를 취하고 있다는 것이 그 잔혹함에 향을 더한다.

월드 앳 워의 맵 팩 2 DLC에 추가된 소개 문구.

딱 잘라 말해서 미치광이로, 피와 살이 난무하는 상황에서 즐거움을 느끼는 정신나간 인간이다. 사실 원래부터 이랬던건 아니고, 자기 자신으로 텔레포트 실험을 거치다 M.P.D.에 접촉한 이후로 이 꼬라지가 되기 시작했다.

작중에선 리히토펜의 방대한 계획을 실행하기 위해 탱크 뎀프시, 니콜라이 벨린스키, 타케오 마사키를 데리고 이곳저곳 열심히 구르고 다닌 끝에 달에서 사만다와 영혼을 바꿔서 좀비들의 통제권을 얻게 된다.

이후 블랙 옵스 2 시점에선 루드비히 맥시스와 리히토펜이 에테르의 조종권을 두고 서로 싸우면서 빅티스에게 일을 시키는데, 빅티스 크루들은 결국 맥시스 쪽을 계속 따랐기에[2] 그의 영혼은 지구의 좀비에게 옮겨지게 된다. 이후 1963년의 펜타곤으로 텔레포트되어 자신의 몸을 되찾고, 울티미스 일행과 함께 좀비들을 상대하다 프리미스 세계관의 자신과 만나게 된다.

===# 플레이 가능한 맵 #===
  • 블랙 옵스
    • 시체 극장
    • 어센션
    • 샹그릴라
    • 언데드의 밤 & 정신병원: 원래 주인공들을 대체하여 등장.
  • 블랙 옵스 3
    • 언데드의 밤 & 정신병원: 원래 주인공들을 대체하여 등장.

===# 보조 출연 #===
  • 블랙 옵스
    • 언데드의 밤 (모바일 버전): 튜토리얼에서 건물 바깥에 부상을 입은 상태로 등장하며, 플레이어를 훈련시키는 역할이다...만 마지막에 결국 좀비로 변하는 최후를 맞이하게 되고 그 모습에 감격한 플레이어가 직접 훈련의 성과를 보여줘서 결국 두 번 죽게 된다(...). 당연히 정식 설정은 아니다.
    • FIVE: 울티미스와 함께 펜타곤에 걸린 초상화로 등장.
    • 콜 오브 더 데드: 시설 내부에 갇혀있는 관계로 목소리만 들을 수 있다.
  • 블랙 옵스 2
    • Origins를 제외한 모든 맵: 시스템 아나운서
      • Nuketown Zombies: 라운드 25 이후부터 아나운서를 맡는다.
  • 블랙 옵스 3
    • The Giant: 컷신에서만 등장하며 프리미스의 자신을 소환하자마자 바로 총에 맞고 사망.
  • 블랙 옵스 4
    • 망자의 날: 울티미스 일행들과 연회 중인 목소리만 들을 수 있다.
이외에도 이스터에그 형식으로 등장하기도 한다. 좀비화된 자신의 모습이 담긴 그림을 띄우는 점프 스케어라던가...

3. 디멘션 63 세계 (프리미스)

파일:Origins_Richtofen_Bio_BO3.jpg

조금 맛이 간 듯한 모습은 여전히 있지만 울티미스 버전의 자기 자신보단 훨씬 정상적이다.

작중에선 대의를 위해, 그리고 세계를 구원하기 위해 크로노리움의 안내를 따라 겉만 같고 속은 다른 뎀프시, 니콜라이, 타케오 3인방을 이끌고 모험을 떠난다.

이때 원래 세계의 리히토펜을 막기 위해 차원을 이동하며 자기 자신들을 죽이고 다니다가(...) 이 영향으로 살짝 바뀐 원래 세계의 Der Riese 연구 시설[3]에 도달해 울티미스 리히토펜을 죽여버리고, 이로 인해 역사가 또 한번 바뀌게 된다.

울티미스 버전의 자기 자신과는 더 젊다는 점과 콧수염으로 쉽게 구분 가능하다. 나이차도 나이차지만 콧수염 하나로 아예 다른 사람인 수준.

===# 플레이 가능한 맵 #===
  • 블랙 옵스 3
    • The Giant
    • Der Eisendrache
    • Zetsubou no Shima
    • Gorod Krovi
    • Revelation

===# 보조 출연 #===

4. 작중 행적

4.1. 울티미스

4.2. 프리미스

4.3. 다크 에테르

블랙 옵스 콜드 워로 새로 시작된 다크 에테르 세계관에서 디렉터의 정체는 이 세계관의 리히토펜이었다는 반전이 포세이큰 이스터에그의 엔딩에서 밝혀졌다. 외모는 프리미스 때와 수염만 빼면 판박이. 블랙옵스 4의 '망자의 혈흔' 엔딩에서 니콜라이의 마지막 호의로 사만다 맥시스와 같이 다른 시간선으로 넘어온 꼬마 에디랑 동일인물로 추정된다. 어린 애였던 에디는 전후 1954년 8월 10일 고아원에 입소하였다. 고아원 기록에서는 당시 8살로 추정되었다고 한다. 기억상실증 때문에 자신의 이름 외에는 많은 것을 기억하지 못하고 있었다. 가브리엘 크라프트 박사가 고아원을 들러 에디를 보고선 입양해서 키웠는데, 고아원에서 만났을 당시 자신의 죽은 아내였던 사샤를 보는 듯 했고 세상을 탐구하려는 것에서 자신과 죽이 잘 맞아 거두기로 결심했다고 한다.

후속 스토리에서의 등장을 암시하듯 배경음악인 We'll meet again[4]에 맞춰 플레이어 쪽을 의미심장한 표정으로 한번 흘긋 보고는 퇴장하는 에디의 모습이 인상깊다. 사라지기 전에 책상 위에 있는 사진이 잠시 비춰지는데 이를 보면 다크 에테르 시간대에선 결혼까지 해 가정을 꾸린 모양이다. 비록 원래 시리즈의 우리가 아는 그 리히토펜은 아니지만, 어쨌든 오리지널 좀비 시리즈 주인공 4인방들 중에선 유일하게 살아있는 캐릭터가 되었다

모던 워페어 III의 좀비 모드 티저에서 정황상 레퀴엠 간부들 구금 직후 화력팀에게 남긴 전보가 공개되기도 했다. 내용은 대충 아웃브레이크 사태는 끝을 맺었고 책임자들은 구금되는 것을 끝으로 레퀴엠이 해체됐으니, 소독 절차를 위해 상급자에게 보고하라는 것. 물론 시대상 간극이 있는만큼 끝까지 직접 등장은 없었으며, 엔딩 때 얀센 박사가 훑어보는 프로젝트 야누스 관련 서류 속의 사진으로 간접 등장만 했다.

블랙 옵스 6의 좀비 모드 티저에서 공공의 적으로 언급되며, 콜드워에서 레퀴엠 작전팀을 방해하던 윌리엄 펙 박사가 리히토펜을 칠 것을 주장하면서 리히토펜에 의해 구금됐던 전직 레퀴엠 4인방에게 협력을 제안한다.

이후 리버티 폴즈 시네마틱에서 처음으로 직접 등장하는데[5]1991년 2월 18일 좀비들이 기지를 기습하는 비상상황이 발생하자[6]리버티 폴즈를 봉쇄하라는 명령을 내린 뒤, 좀비들을 혼자서 분더바페로 처리하고 지하로 내려가려했으나 다크 에테르의 존재에 의해 잡혀가 실종된다.

부서진 장막에서 획득 가능한 오디오 로그에 의하면 아내인 메리 리히토펜, 아들 새뮤얼 리히토펜이 있었고, 화재로 인해 가족을 모조리 떠나보냈다. 그래서 리히토펜은 가족들을 부활시키는 것에 혈안이었는데, 생명공학자인 레바티 모디를 고용한다던가[7], 이전까지 과학을 신봉하고 오컬트와 미신을 믿지 않았던 태도를 버리고 아버지인 크라프트 교수에게 도움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하자 아발론의 프랜치 신디케이트 두목 프랑코를 고용하여 납치하기까지 하였다.

당연히 전 레퀴엠 팀원들과 펙이 내리는 평가는 최악인데, 특히 슈트라우스의 경우에는 혼자서 뭐 하나 이룰 줄 모르는 도둑놈이라고 디스한다. 그 예로 터미누스에 나오는 섬 한 곳의 전력을 다 커버해주는 에테리움 성숙 포드는 슈트라우스가 감옥에 있을 때 대충 벽에다가 설계도를 그린 물건인데 그걸 보고서 그대로 베껴먹었다고 한다.

부서진 장막에서 드디어 본인이 출현한다. SAM에 의해 레퀴엠 일행이 리히토펜과 같은 위치로 순간이동되었고, 복수를 벼르던 위버 앞에서 위버와 맥시스가 CIA의 작전 중에 자신의 아내와 아이들을 불태워 죽인 것을 언급하며 되레 도발하면서 시시껄껄한 복수를 하던지 맥시스가 되려고 하는 저 맥시스를 사칭중인 SAM을 막기 위해 이곳에서 탈출하고 손을 잡던지 선택하라고 말한다. 결국 위버는 사소한 감정은 접어두고 리히토펜과 같이 방에서 탈출하고 SAM이 만든 좀비 공룡을 상대하게 된다. 여기서 리히토펜은 언덕에서 저격을 하여 레퀴엠 크루를 지원한다.

좀비 공룡을 해치우면 리히토펜은 절벽을 등에 지고 이번에도 어디 복수를 끝내던지, 자신과 함께 SAM을 막자고 제안을 하게 되고 레퀴엠 크루는 사적인 감정은 일단 뒤로하고 SAM을 막기 위해 리히토펜과 일시적인 동맹을 맺게 된다. 이 시나리오에서 나온 진실로, 리버티 폴즈 시네마틱에서 나온 리히토펜의 꿈에서 그의 아내와 아이들이 불에 타 죽은 묘사는 실제로 일어난 일이었고, 리히토펜은 이를 잊지 않고 위버를 휘하로 차출받아 자신의 손아귀 안에 넣은 것이었다.

이후 마지막 좀비 스토리인 심판에서 더 보충된 과거사와 함께 리히토펜의 가족이 살해당한 사건의 전말이 밝혀지는데, 블랙 옵스 4 좀비 스토리 이후 다크 에테르 스토리라인 세계선으로 넘어온 리히토펜은 크라프트 교수에게 거두어들여져 성장한 뒤 미 공군에 입대하여 베트남 전쟁에서 "푸른 남작(Blue Baron)" 으로 불리며 활약하게 된다. 베트남 전쟁에서의 활약이 크루거(Krueger)라는 한 CIA 요원의 이목을 끌게 되었고, 리히토펜은 이후 크루거의 추천을 받아 CIA에 들어가게 되는데 이 때 크루거의 비서로써 근무했던 여성이 후일 리히토펜의 아내가 되는 메리였다. 리히토펜과 가정을 이루고 아들까지 보게 된 메리는 어느 날 자신의 상사인 크루거가 아발론 공국의 범죄조직 프렌치 신디케이트에게 무기를 빼돌려 팔아 치우거나 프렌치 신디케이트의 인신매매 범죄 행각을 비호하는 등 부패를 일삼고 있다는 것을 눈치채고 에디에게는 비밀로 내부 고발을 시도했었다. 그러나 이를 눈치챈 크루거가 마치 본편의 판테온이 그러했듯, 메리가 자신의 부패를 고발하기 전 위버와 맥시스에게 거짓 정보를 흘려 그 둘이 리히토펜 일가의 집을 불태우도록 조종한 것. (#)[8] 이 정보를 알려 주는 장본인이 다른 누구도 아닌 리히토펜이 창조한 SAM이었다는 것을 생각해 보면 아마 리히토펜 역시 SAM이 처음으로 기동된 1989년 7월 14일(#) 이후에는 뒤늦게 이 사실을 눈치챘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크루거의 이후 행보는 명확히 드러나지 않는다.

====# 출연 맵 #====
  • 블랙 옵스 2
    • Origins - 이스터에그 엔딩에서 사만다 맥시스와 함께 등장.

  • 블랙 옵스 4
    • 망자의 날 - 이스터에그 엔딩에서 사만다 맥시스와 함께 등장.

  • 블랙 옵스 콜드 워
    • 망자의 벽: 사만다 맥시스가 레퀴엠 화력팀 및 랩터 1을 구출한 장면을 모니터로 보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사만다 맥시스의 힘이 커지고 있다는 것을 암시하는 보고를 남긴다.
    • 포세이큰: 마지막 쿠키 영상에서 정체를 드러내며 등장.

  • 블랙 옵스 6
    • 부서진 장막: SAM에 의해 감금된 채로 발견, 사만다 맥시스가 아닌, 그녀 자체가 되려는 SAM을 막기 위해 원수였던 레퀴엠 팀과 임시 동맹을 맺고 저격 지원을 한다.
    • 심판: 스토리 진행 마지막 분기점에서 SAM 혹은 리히토펜 둘 중 한 명의 편을 들어주는 분기가 발생하는데, 리히토펜의 편을 들어준다면 격분한 SAM이 최종보스로 등장하고 이후 센티넬 유물을 통한 다크 에테르의 힘으로 리히토펜의 아내와 아이가 되살아나 감동의 재회를 하게 되며, 반대로 SAM의 편을 들어 준다면 격분한 리히토펜이 최종보스로서 등장해 주인공들에게 사망한다.

5. 기타

프리미스 버전의 자기 자신과는 모자와 제복, 그리고 콧수염 유무로 쉽게 구별 가능하다. 사실 다른 플레이어 캐릭터와 마찬가지로 리히토펜은 캠페인 "피의 복수" 미션의 에임젤 장군의 모델링을 재탕한 것이다.

울티미스와 프리미스 모두 과학자라는 설정답게 다양한 발명품을 만들었다. 설정상 울티미스 리히토펜이 분더바페 DG-2, 원숭이 폭탄, Q.E.D.를 발명했다고 한다. 프리미스 리히토펜은 판처솔타트의 슈트를 개발했고 거대 로봇의 제작에도 참여했다.

블랙 옵스 1의 리히토펜의 1인칭 모델은 블랙 옵스 1의 캠페인 부활(Rebirth) 편의 제이슨 허드슨의 1인칭 모델이다.

선호하는 무기는 MP40, M4스펙터가 있다.

감자 샐러드스피드 콜라를 좋아한다고 한다. 사실, 굉장히 맛에 대해 악평이 심한 다른 콜라와 다르게 스피드 콜라는 맛에 대한 나쁜 쪽의 호불호가 적은 편이다.

왁타버스의 고멤 클래식의 멤버 캘리칼리 데이비슨의 모델링으로 무단 도용을 당한 적이 있다. 이것 자체는 굉장히 오래전에 있었고 국내 콜 오브 듀티 시리즈 팬덤이 굉장히 작은지라 별로 화제가 되지 않았으나, DJMAX RESPECT V KIDDING 수록 논란으로 인해 왁타버스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폭발하면서 이것 역시 재조명되었다. # 심지어 이 과정에서 해당 스트리머를 모티브로 만든 캘칼티콘이라는 것을 네이버 OGQ마켓을 통해 상업적으로 판매했다는 사실까지 드러났다. # # 이에 한 모던워페어 갤러리 유저가 블리자드 코리아에 해당 내용을 제보했다. # 네이버에 제보한 내용에 대해서는 해당 이모티콘을 제작 및 판매한 사람에게 소명을 요청할 것이라는 답변을 받았다. #
[1] 음성이 존재하지 않는 콜드 워를 제외한 모든 블랙 옵스 시리즈에서 담당했다. 이후 블랙 옵스 2 트랜짓에선 등장인물들인 버스 기사 T.E.D.D와 아보가드로도 같이 맡았다.[2] 물론 리히토펜 쪽을 따를수도 있다.[3] 울티미스 리히토펜이 사만다와 맥시스 박사를 텔레포터로 날려버린 직후[4] 원곡은 2차대전기의 유명가수 베라 린We'll meet again으로, 2차 세계 대전기의 인기곡이자 유럽 전승기념일마다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음악이다.[5] 등장 장면에서 흘러나오는 음악이 바로 콜드 워 좀비의 엔딩 곡이자 다크 에테르 스토리 내 에디의 첫 등장 공이였던 We'll meet again이라는 점도 나름 재밌는 요소.[6] 사건 발생 전엔 가족이 등장하는 악몽을 꾸고 있었다. 잘 놀던 아내와 아들이 갑자기 기괴한 미소를 지으며 산채로 불에 타버리는 끔찍하기 그지없는 악몽이였는데, 실제로 겪은 일인지 아니면 얀센처럼 다크 에테르의 영향을 받는 사람 특유의 환각 증상인지는 불명. 참고로 콜드 워의 인텔에 따르면 적어도 아들이 무언가 안 좋은 일을 당한 것은 사실으로 보인다.[7] 모디 박사의 협조를 받아 자신의 아들을 복제의 방식으로 부활시키려고 한 것으로 보이나, 그것이 잘 되지 않고 점차 사람이 아닌 흉측한 괴물의 모습이 되어 리히토펜은 결국 안락사시키는 결정을 내린다.[8] 심판에서 발견 가능한 기록들 중 "잘못된 명령(misdirection)" (#) 이 바로 크루거가 위버에게 거짓 정보를 흘리는 내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