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09 05:55:14

야코부스 아르미니우스


근세 및 근대 신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중세 철학 근세 및 근대 신학 현대 신학
종교 개혁 <colbgcolor=#fafafa,#191919>루터 · 카를슈타트 · 츠빙글리 · 칼뱅 · 불링거
살라망카 학파 비토리아 · 수아레스 · 몰리나 · 라스 카사스 · 바녜스
청교도주의 그린햄 · 로저스 · 퍼킨스
급진 종교개혁 카를슈타트 · 시몬스 · 후터 · 뮌처 · 재세례파 · 메노나이트
이냐시오 영성 이냐시오
가르멜 신비신학 테레사 · 요한
칼뱅주의 베자 · 오웬 · 하이퍼 칼빈주의
아르미니우스주의 아르미니우스
구개신교 정통주의 후터 · 케커만 · 게르하르트 · 알스테드 · 보에티우스 · 볼레프 · 코케이우스 · 칼로비우스 · 무조이스 · 크벤슈테트 · 쾨니히 · 하이데거 · 뢰셔
영국 이신론 허버트 · 로크 · 틴들 · 울스턴 · 톨런드 · 아넷
계몽주의 신학 데카르트 · 라이프니츠 · 볼프 · 라이마루스 · 칸트 · 레싱 · 헤겔
경건주의 슈페너 · 프랑케 · 랑에 · 진젠도르프 · 퀘이커
과도기 신학 부도이스 · 파프 · 발히
신학적 볼프주의 볼프 · 칸츠 · 슈미트 · 바움가르텐
뉴잉글랜드 신학 에드워즈 · 벨라미 · 테일러 · 아마사 팍
웨슬리주의 웨슬리
신신학 에르네스티 · 예루살렘 · 슈팔딩 · 퇼너 · 젬러 · 뤼트케 · 슈타인바르트 · 에버하르트 · 가블러
초자연주의 신학 슈토르 · 티트만 · 베크
합리주의 신학 티프트룽크 · 벡샤이더
사변신학 다우프 · 마르하이네케 · 비더만
낭만주의 신학 슐라이어마허 · 콜리지
폰드레이 · 묄러 · 폰쿤
신루터파 하름스 · 토마시우스 · 폰하를레스 · 뢰헤 · 클리포트 · 폰호프만
중재신학 베테 · 니치 · 트베스텐 · 뤼케 · 울만 · 움브라이트 · 로테 · 도르너
부흥신학 네안더 · 톨룩 · 뮐러
신 튀빙겐 학파 바우어 · 젤러 · 슈베글러
신스콜라주의 페로네 · 파살리아 · 프란첼린 · 지글리아라 · 가리구라그랑즈
프린스턴 신학 하지
키르케고르주의 키르케고르
리츨 학파 리츨 · 폰 하르낙
신칼뱅주의 카이퍼 · 바빙크 · 흐레이다누스 · 헤프 · 흐로스헤이더 · 드흐라프 · 도예베르트 · 볼렌호벤
성공회 가톨릭주의 키블 · 뉴먼 · 퓨지 · 프루드 · 고어 }}}}}}}}}}}}
<colbgcolor=#dddddd,#000000><colcolor=#000000,#dddddd> 야코부스 아르미니우스
Jacobus Arminius
파일:James_Arminius_2.jpg
본명 야코뷔스 헤르만스
Jacobus Hermansz
출생 1560년 10월 10일
신성 로마 제국 스페인령 네덜란드 아우데바터르
사망 1609년 10월 19일 (향년 49세)
네덜란드 공화국 레이던
국적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신성 로마 제국
[[네덜란드 공화국|]][[틀:국기|]][[틀:국기|]]
학력 제네바 대학교
종교 개신교
사상 아르미니우스주의
직업 목사, 신학자
1. 개요2. 상세

[clearfix]

1. 개요

네덜란드목사이자 신학자아르미니우스주의의 창시자이다.

2. 상세

아르미니우스는 1560년 네덜란드 아우데바터르(Oudewater)에서 태어났다. 어렸을 때에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인하여 그의 홀어머니는 어린 아르미니우스를 개종한 가톨릭 신부의 양자로 맡겼고, 신부가 죽은 후에는 마르부르크의 한 교수가 그를 루터 대학교(Lutheran University)에서 공부를 하게 하였다. 그리고 얼마 되지 않아서 스페인 사람들이 아우데바터르를 점령했다. 주민들이 가톨릭 신앙으로 복귀하기를 거부하자 많은 사람들이 살해되었는데, 그 중에는 아르미니우스의 어머니와 형제들도 있었다. 이러한 정치적 편협성이 준 상처는 그가 후에 종교적 편협성에 반항하는 원인이 되었다. 그는 로테르담의 개혁교회의 목사 페트루스 베르치우스(Petrus Bertius)의 집에 머무르고 베르치우스 목사는 그를 레이던 대학교로 보냈다. 여기서 아르미니우스는 학자로서 명성을 얻었다.

그는 암스테르담의 교회의 후원자들로부터 목사로 돌아와야 한다는 조건으로 제네바 대학교에서 최상의 교육을 받도록 했다. 그곳에서 아르미니우스는 칼뱅주의 주창자인 테오도르 드 베즈(Théodore de Bèze)[1]와 다른 스승들로부터 신학을 배웠다. 그는 이 때에 극단적인 칼뱅주의의 입장을 제대로 이해하게 되었다. 그는 제네바 교육 후에 암스테르담 교회의 목사가 되었다. 그는 훌륭한 설교가이자 천부적인 성경 주석가였으며, 또한 겸손하고 헌신적인 그리스도인이였다. 그는 특히 강해 설교(Expository message)로 유명했고, 많은 사람들이 그의 설교를 듣기 위해 모여들었다.

1589년 평신도 디르크 폴커르츠 코른허르트(Dirck Volkertsz. Coornhert)가 주장한 베자의 이중예정론 반박에 대한 강연과 저서가 네덜란드 신학계에 돌풍을 일으켰는데, 교계는 칼뱅주의가 위협받는다 느끼고 아르미니우스에게 코른허르트의 주장을 검증하는 임무를 맡겼다.[2] 아르미니우스는 이 주장에 대하여 성경적으로 살펴보고, 교부들의 책을 통하여 살펴보고 나서 이 주장이 성경적으로 타당하고 베즈의 이중예정론의 오류를 발견했다. 이것이 후에 개신교의 구원론 중 아르미니우스주의의 시작이 되었다.

그는 이 발견을 한 후에 로마서강해를 더욱 열심히 전했으므로 반발이 터져나왔다. 어린 시절 신부와의 관계로 인하여 가톨릭적이고 펠라기우스적인 성향이 드러났다든지, 친구와 함께 여행갔던 로마 여행은 그의 가톨릭적인 성향이 드러낸 것이라는 음해를 받았다. 그의 성경주석에 대한 그의 입장을 변호할 기회가 공적으로 주어질 때마다 아르미니우스는 건전하고 차분한 학식으로 매번의 논쟁을 승리로 이끌었고, 아무도 성경해석을 기초로 하여 그를 논박할 수 없었다. 그는 생전에 자신으로 인하여 교회의 분쟁이 발생하는 것에 대하여 마음 아파했으며, 공식적인 공청회를 원했지만 그의 생전에는 실현되지 못했다.

신학적으로 성숙한 후에 레이던 대학교의 신학교수가 되었고, 거기서 프란치스쿠스 고마루스(Franciscus Gomarus)의 극단적 칼뱅주의(hiper Cavinism)과 부딪쳤다. 신약교수인 고마루스는 아르미니우스에게 성경적 권위에 근거해서 도전했고, 아르미니우스는 자신의 성경적 해석을 신조들이 종속시키기를 거부했다.

누구도 예정론적인 입장을 옹호하는 데에 있어서 성경사용에 실패한 일 외에는 아르미니우스의 성경 사용에 관하여 비난하지 않았다. 아르미니우스는 권위가 사람들의 의견이 아닌 하나님의 말씀에 있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사람들은 하나님의 말씀이 무엇을 뜻하는지 알아야한다고 말했다. 사실 당시 네덜란드의 교회지도자들은 아르미니우스가 성경을 최종적 권위로써 설교하는데에 불만을 품었다. 그들은 칼뱅주의적 신조를 실제적인 최종 권위로 만들 것을 주장했기 때문이다.

아르미니우스는 신적 작정에 관한 타락 전 예정설의 개념을 다음과 같은 이유로 거부했다.
1. 그것은 성경의 지지를 받지 못한다.
2. 과거 1500년간, 그것은 책임 있는 기독교학자들에 의해 주장되지도 않았었고 전체 교회에 의해 수용되지도 않았었다.
3. 그것은 하나님을 죄의 창시자로 만든다.
4. 그것은 창조되지 않은 사람에 관해 선택의 작정을 만든다.
만약 베즈와 고마루스가 가르친 대로 하나님께서 인간으로 하여금 죄를 짓게 하는 원인이라면, 하나님은 곧 죄의 창시자이다.

아르미니우스는 타락 전 예정설의 논리는 결코 이런 결론을 피할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하나님에 대한 신성모독 중 가장 심각한 것은 하나님을 죄의 창시자로 보는 것이다."라고 말하면서 이러한 오류를 지적했다.

그리고 아르미니우스는 1609년에 세상을 떠났다.
[1] 칼뱅의 제자이자 칼뱅 신학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칼뱅주의의 기반을 다진 인물이다.[2] 이는 초기 개신교권에서도 칼뱅주의에 반발하는 사람이 많았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