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11 09:35:00

앵무새(동음이의어)


1. 조류 앵무새2. 웹툰 메트로놈의 등장인물의 닉네임3. 인터넷 은어4. 인터넷 방송 용어5. 난수방송6. 노래

1. 조류 앵무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앵무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앵무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앵무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 웹툰 메트로놈의 등장인물의 닉네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성강(메트로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성강(메트로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성강(메트로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인터넷 은어

인터넷에서 쓰이는 일종의 비하어로, '앵'을 떼고 '무새'만 접미사처럼 사용된다. 상대방이 무슨 말을 해도 논리와 상관없이 마치 앵무새처럼 한 가지 단어나 논리만을 말하는 사람을 비하하는 용어이며 '○무새'라고 부른다. 무새 앞에는 두 글자 이상의 단어를 붙여 '○○무새' 등으로 남발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앵무새가 사람 말에 대해 뜻을 이해하지 못한 채 단순히 따라만 하는 특성을 따와 만들어졌다. 비슷한 표현으로는 '녹음기' 혹은 '염불을 외다'가 있다.

특정 단어를 시도때도 없이 사용하는 사람을 일컫는 말이기도 하다(예: 망무새, 헬무새, 군무새, 로무새, 페미무새, 핵무새, 개돼지무새, 베이사이드무새, 섹무새, 패싱무새, 표절무새, 주작무새, 여혐무새, 백래시무새 등). 리그베다 위키 시절에 쓰였던 녹음기라는 단어와 비슷하다. 비슷한 영어 표현으로는 spammer가 있다. 스팸메일을 계속 보내는 사람을 일컫는 말인데 인터넷에선 대한민국의 앵무새처럼 계속 어떤 말을 반복하는 사람을 비난하기 위해 쓰인다.

4. 인터넷 방송 용어

과거 트위치에서 자주 사용되었던 단어로 스트리머 간의 대규모 합방할 때마다 같이 합방하는 다른 사람에게 전략이나 팀만의 비밀을 채팅이나 도네이션으로 알려주는 것을 비하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당연히 비밀이 까발려지게 되면 무시하고 싶어도 비밀작전을 알게 된 스트리머 입장에서는 계속 신경쓰이는 등 상황이 애매해지고 급기야 합방 자체가 노잼이 되어 무너지는 경우도 볼 수 있다.

중계와 다른 점은 중계는 한 스트리머의 방송내용을 눈치없이 다른 방에 가서 알려주는 것이고 앵무새는 같이 합방하고 있는 스트리머의 작전이나 게임 내용을 알려주는 것이라 차이가 있지만 중계 안에 앵무새가 포함된다고도 볼 수 있다. 방플과의 다른 점은 방플은 플레이어가 직접 보고 비밀을 캐내는 일종의 사기라고 볼 수 있고 앵무새는 플레이어의 관계없이 시청자들이 치는 어그로 정도로 주어가 다르다는 것이다. 다만 현재는 중계, 방플, 뻐꾸기와 거의 같은 의미로 쓰이는중.

특히 이는 수많은 스트리머들이 참여하는 대형 스트리머 서버에서 문제가 두드러진다. 편을 나누어 대결하는 식으로 진행하는 서버의 경우 아예 방송을 키고는 최소한의 작전도 제대로 세우지 못하는 수준이며, 그게 아니라 인생서버로써의 성격이 강한 서버에서도 WWE로써 풀어나갈 수 있는 일을 이들이 개입함으로써 일을 키우기도 한다.[1] 이 때문에 채팅창에서의 무분별한 앵무새 비난과 욕설로 투기장까지 만들어지는 2차 피해는 덤.

물론 술방, 잠방, 방송을 실수로 끄고 가지 않는 경우처럼 스트리머 본인이 의사표현을 할 수 없는 상황에 비방 이슈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그 방 시청자들이 다른 스트리머들에게 도움을 요청하거나, 스트리머 본인이 모종의 사유로 상대방과 직접 소통이 불가해 누가 가서 저쪽에 알려주라는 식으로 앵무새를 요청하는 경우도 있다.[2] 이 경우 암묵적으로 용인되기도 하나 앵무새를 당하는 스트리머 입장에선 해당 행위가 원래 악질적인 행위이기도 하고 채팅 룰 상으로도 해당 행위를 금지해두는 게 보통이라 제재를 먹을수 있다는 것은 유념해야 한다.

5. 난수방송

한국에서 야간에 단파라디오에서 포착되는 정체불명의 난수방송의 이름도 앵무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난수방송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난수방송#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난수방송#|]]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노래

  • 가수 286283 싱글 'LENS' 수록곡.
  • 싱어송라이터 검정치마 2집 'Don't You Worry Baby (I'm Only Swimming)' 수록곡.
  • 래퍼 기리보이 싱글 '3곡' 수록곡.
  • 래퍼 NO:EL 2집 'DOUBLEONOEL' 수록곡.
  • 록밴드 옐로우 몬스터즈 2집 'Riot!' 수록곡.
  • 가수 윤수일 23집 '앵무새' 타이틀곡.
  • 가수 장덕 1집 '골든앨범 1' 수록곡.
  • 싱어송라이터 주하 EP '거짓 어른' 수록곡.
  • 래퍼 키피쉬 EP 'Lyric Tree' 수록곡.
  • 래퍼 PAAD 3집 '동물농장' 수록곡.
  • 가수 하울 1집 '한 없이 투명에 가까운 블루' 수록곡.

[1] 대표적으로 스트리머 지누가 연 러스트 게임 서버에서 80여명 가까이 되는 수많은 스트리머들이 합방을 진행했는데 이 앵무새들이 쉬지도 않고 여러 방송마다 깽판을 쳐서 다시한번 최악의 골칫거리로 재조명받은 적이 있다.[2] 실제로 위 술방사례방종을 안하고 가는 사례를 둘 다 겪어본 스트리머 라디유의 경우 평소에 본인이 날것의 모습을 최대한 감추려 이미지 관리를 철저히 하는 편이라 해당 일이 일파만파 커질 가능성이 있었고 특히 전자의 술방때는 방송 테러까지 당하고 있던 상황이었는데, 이때 각각 친한 스트리머 러끼하우카우에게 SOS를 날려 겨우 사태를 진정 및 상황을 종료시켰던 적이 있었다. 해당 앵무새 행위에 대해선 상황이 상황인만큼 크게 문제삼진 않았으나, 별개로 라디유가 앵무새가 간 것에 대해서는 해당 스트리머들에게 사과했다. 이는 라디유 본인이 앵무새 행위를 매우 싫어하기 때문.